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태도 불량 2023.6.27.불.



배우려는 사람은 받아들이려는 마음이기에, 받아들이려면 여태까지 쌓고 닦아서 이룬 길을 녹이려고 하지. 배우지 않으려는 사람은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마음이기에, 이제까지 하던 틀을 단단히 지키고 높이 쌓으려고 해. 받아들여서 배우려는 마음일 적에는 여태 하거나 쌓거나 담거나 이룬 모든 것을 바꾸거나 갈거나 고쳐서 새롭게 살아가려는 뜻이야. 안 받아들이고 안 배우려는 마음은 언제나 단단하게 담벼락을 이으려는 뜻이지. 물그릇에 물을 담을 적마다 ‘그릇이라는 몸’이 바뀌면 물을 못 담아. 그릇은 제 몸을 늘 똑같이 지켜주기에 물이나 여러 가지를 담지. 그런데 그릇은 스스로 짓거나 가꾸지는 않아. ‘누가 담아 주어’야 비로소 속에다 놓는데, 그릇은 속에 놓더라도 ‘속에 놓은 것’을 스스로 누리지 않아. 그릇이 물을 마시면 너희가 물을 못 마시겠지? 그릇은 ‘네가 시키는 대로 고스란히 하면서 스스로 생각하지 않아’야 한단다. 그러면 보겠니? 너희는 ‘사람이라는 숨결’이니? 너희는 ‘사람이라는 몸’은 입었으나, ‘남이 시키는 대로 하는’ 모습은 아니니? ‘남이 들려주는 말·이야기’를 고스란히 받아서 똑같이 따라하는 ‘틀’이지는 않니? 배우려 하고, 배울 수 있고, 배우는 삶이기에, 너희 마음에 생각이 솟아나. 너희를 물그릇으로 삼으려는 무리(권력자)는 너희가 고분고분하지 않으면 ‘버릇없다(태도 불량)’고 여기며 나무란단다. 그러나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른 몸짓(태도)으로 배우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찬국수 2023.7.1.흙.



찬국수(냉면)를 맛있고 즐겁게 먹는 사람이라면, 찬국수를 못 먹을 뿐 아니라 한 가닥조차 안 건드리는 사람이 어떤 몸이고 마음인지 모를 수 있어. 찬국수를 먹든 안 먹든 대수로울 수 없어. 먹을 적에는 ‘먹으면서 즐거우’면 넉넉하고 스스로 빛나. 안 먹을 적에는 ‘안 먹으면서 즐거우’면 넉넉하고 빛나지. ‘먹기’에 ‘좋아’하지 않을 수 있으면 되고, ‘안 먹기’에 ‘싫어’하지 않을 수 있으면 돼. “어떻게 못 먹니?” 하고 묻거나 따질 까닭이 없어. 거꾸로 물어보렴. “어떻게 먹을 수 있니?” ‘잘못’이라 여길 일이 없고, ‘잘’이라 여길 일이 없어. 모든 일은 ‘늘 다르게 흐르는 하루를 읽고 새겨서 받아들이는 길을 새로 열려’는 뜻으로 여기에 있어. ‘한 일’을 보면 되고 ‘한 일이 무엇인지 돌아보기’를 하면 돼. 다만, ‘한 일’을 옳거나 그르다고 가르거나 다그치지 않을 노릇이야. ‘해야 할 일’하고 ‘안 해야 할 일’을 갈라서 다그치거나 따지거나 나무라면, 이 일은 곧 다시 찾아온단다. ‘스스로 그린 하루’를 처음부터 다시 살피고 ‘스스로 오늘 한 말과 일’이 ‘내 마음에 무엇을 남겼는가’를 고스란히 살피고, ‘앞으로 그리려는 삶’이 무엇인지 새롭게 마음에 담을 노릇이야. 어떤 일이건 그대로 받아들인 다음에, 이튿날 누릴 ‘새그림’을 마음에 담으면, ‘바뀌기’가 아니라 ‘새로 나타나는 삶’으로 나아간단다. ‘버릇 고치기·바꾸기’가 아닌, ‘오늘과 새날 그리기’에 마음을 기울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토닥 2023.7.2.해.



너는 톡 건드린다고 여기지만, 네 손길이 닿은 쪽에서는 툭 친다고 여길 수 있어. 너는 턱 소리나게 쳤다고 여기지만, 맞은 쪽에서는 아무것도 안 느낄 수 있어. 무슨 뜻일까? 네가 하는 모든 말은 네가 너한테 들려주어서 네가 늘 다시 살피고 새로 배울 이야기를 담아. 그래서 넌 남을 나무라거나 타이르거나 꾸중하지 못해. 너는 너를 나무라고 탓하고 타이르고 꾸중할 뿐이야. 네 말을 듣는 쪽도 같아. 어느 누구도 마찬가지야. 남이 나를 치켜세우거나 올릴 수 없듯, 남이 나를 치켜세우거나 올리지 않아. 내가 남을 치켜세우거나 올리지 않고, 내가 남을 낮추거나 깎을 수 없어. 아프거나 괴로울 적에는 어떡해야 할까? 얼핏 ‘남’이 ‘나’를 주무르거나 돌보거나 토닥이는 듯싶기도 하지. 그런데, 바로 내가 나를 주무르거나 돌보거나 토닥이면 늘 곧장 나아. 내가 나를 안 주무르고 안 돌보고 안 토닥이니 안 낫지. ‘약’을 먹거나 ‘병원’에 다니는데 왜 안 나을까? ‘약·병원’은 너희가 아프다고 여기는 굴레를 자꾸 마음에 담아서 ‘언제까지나 아프구나’ 하고 길들이려고 하지. 낫고 싶으면 나으면 돼. 남(의사·치료사)을 부르지 않고서, 스스로 토닥이면 얼른 낫지. 무엇을 먹으면 네 몸이 튼튼할까? 넌 어떤 마음이 되어 무엇을 받아들이니? ‘말·밥·옷·집·그림·책·노래·영화’ 모두 같아. 너는 받아들이기 앞서 어떤 마음이었니? 받아들이고 나서는 어떤 마음이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현수막 2023.7.3.달.



네가 사는 나라에서 네가 깃든 마을인 전남 고흥 도화면 기스락에 “우리 면은 마을발전기금을 받지 않겠습니다”라 적은 걸개천이 있더라. 넌 이 걸개천을 보며 무엇을 느끼니? ‘마을발전기금’이 궁금하니? ‘마을이장단’이 걸개천으로 밝힐 만큼 바뀌거나 거듭난다고 느끼니? 음, 너는 “그동안 받은 돈(발전기금)을 뱉어낼 뿐 아니라, ‘그동안 돈을 마구 받아서 잘못했습니다!’ 하고 밝혀야 걸개천을 제대로 걸었다고 할 수 있지!” 하고 느끼는구나. 그래, 네가 그처럼 느낄 만해. 여태 낼름낼름 온갖 돈을 받아먹은 짓을 먼저 뉘우쳐야지. 이 뉘우침이 거짓이 아닌 줄 밝히겠다면 ‘먹은 돈’이 얼마인지 낱낱이 밝히고, 어디에 썼는지 밝히고, 다 돌려줘야 할 테고. 걸개천 하나 달랑 걸면 누가 알까? 시골에 살려고 온 사람한테 여태 받아온 것이 ‘돈’뿐일 수 없겠지. 돈을 비롯해 숱한 것으로 괴롭히거나 들볶았을 테지. 이런 걸개천으로 엿볼 수도 있는데, 글 한 줄이나 시늉이나 몸짓 하나로는 바꾸는지 고치는지 알 길이 없지. 참말로 바꾸거나 고치는 사람은 ‘바꾼다·고친다’라고 말부터 안 해. 부끄럽고 창피하니까 ‘마음으로 먼저 녹여’버리는 날을 보내고, ‘녹인 자리에 심을 사랑을 생각’하면서 보내지. 바꾸거나 고치는 사람은 어느 누구도 “난 이렇게 나를 바꿨어!” 하고 걸개천을 안 건단다. ‘바꿈’도 ‘지음’ 가운데 하나이기에, ‘고치에 깃든 애벌레가 고요히 고이 꿈을 그리’듯 말없이 먼저 모두 녹여서 바꿀 뿐이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눈물 2023.7.4.불.



마음에 닿아서 움직여야 하기에 무엇이 일어나. ‘일어나는’ 기운은 ‘일’이야. 무엇이 일어나든 너로서는 어제와 다른 무언가를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는 때라는 뜻이야. ‘일어나는 일’이 ‘무엇’이든, 너는 ‘좋아’할 수 있고, ‘싫어’할 수 있지. 좋아하기에 ‘이 일어나는 일’을 더 느끼고 더 보고 더 담아. 싫어하기에 ‘이 일어나는 일’을 등지고 지나치려 하고 안 보려고 하지. 그러면, 좋아하는 일이 자꾸 있고, 싫어하는 일이 더 없을까? 잘 보렴. 네 마음에는 네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일’이 끊이지 않고 일어난단다. 네가 ‘좋아함·싫어함’이라는 마음을 바라보니, 이 일이 잇달아. 그러니까 ‘좋고 싫은 일’이 일어나기에, 다른 일이 스미거나 일어나거나 찾아올 수 없어. 이를테면 ‘좋음·싫음’이 가득하니, 꿈이나 사랑이 안 일어나고 안 찾아온단다. 꿈이나 사랑은 좋을 수도 싫을 수도 없어. ‘꿈그림·사랑그림’은 네가 네 몸과 마음을 새빛으로 이루어 가려는 하루이자 오늘인 삶이란다. 그래서 꿈을 이루는(이루어 가는) 하루일 적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마음’이 없이 ‘일어나는 일’을 곰곰이 짚고 생각해서 받아들이고 배워. 사랑을 펴는(지어서 펴는) 하루일 적에는 무슨 일이든 즐겁거나 반갑거나 새롭게 바꾸어서 네 마음에 꽃을 피워. 이 꽃은 웃음이기도 하고 눈물이기도 해. 그런데 네가 ‘좋거나 싫어서 흘리는 눈물’도 있어. 둘 사이를 느낄 수 있을까? 꿈그림·사랑그림으로 펴는 눈물은 새롭게 일어나는 살림이고, 좋거나 싫어서 흐르는 눈물은 마음을 갉는 죽음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