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비누 2023.8.5.흙.



걸어다니는 사람은 걸으면서 맞이하고 보고 느껴. 집에 머무는 사람은 책을 읽든 안 읽든, 늘 스스로 마주하고 스스로 마음을 들여다볼 틈을 내. 그런데, 밖에 나가서 돈을 버는 일을 하거나, 쇳덩이(자동차)를 몰면서 오간다면, 돈벌이를 봐야 하고 숱한 쇳덩이 흐름을 보아야 하기에, 마음을 들여다볼 틈이 없고, 마음을 들여다볼 틈을 낼 기운이 사라지지. 너는 오늘 어디에서 어떻게 하루를 여니? 너는 구름을 보고 해를 보니? 들숲바다에서 철마다 어떤 노래가 흐르고 퍼지는가를 느끼거나 아니? 구름이 가득해도 해가 있고 별이 있어. 넌 구름이 낀 하늘이기에 “해가 없다”거나 “별이 없다”고 믿거나 말을 하니? 구름이 짙어도 해랑 별이 있는 줄 똑똑히 알 뿐 아니라, 구름 너머 해랑 별을 알아볼 수 있니? 몸에 때가 끼거나 냄새가 나면 잘못일까? 너는 때랑 냄새를 옷으로 가려서 ‘마치 없다는 듯’ 꾸미니? 아니면, 때랑 냄새가 얼마나 어떻게 있는지 낱낱이 보고 느끼면서 ‘비누’로 씻고 물로 헹구고 바람으로 말리고 해로 북돋우니? 때는 씻어내면 돼. 부끄러울 일이 아니야. 즐겁게 씻고 웃으렴. 비누가 있으니 고맙게 받아들여서 씻으렴. 이 물줄기가 네 모든 때를 기꺼이 씻어 주고서 온누리를 맑게 돌보아 주는구나. ‘때를 벗겨서 가벼운 몸’으로 새롭게 오늘을 보고 하루를 그리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자폐 2023.8.6.해.



‘사회 일반인’이라는 틀로 가를 적에는, ‘자폐(自閉)’를 “스스로 가두는 병”으로 여기더구나. 그런데 보렴. 모든 사람은 “나를 닫음”이 아니라 “내가 너랑 다름”을 느끼고 알지 않아? 모습·빛·세기·크기·잦기가 다 다를 뿐, 모든 사람은 “스스로 속으로 닫기”를 한단다. ‘자폐’라는 이름을 아주 굴레로 삼아서 가르거나 가두지 않기를 바라. 아기는 아기야. 아이는 아이야. 아기나 아이가 자라고 살아가는 길을 그대로 보고서 고스란히 받아들이기를 바라. 너는 능금을 손에 쥐어 먹을 적에 ‘딸기맛’을 떠올리거나 바라니? 너는 물을 한 모금 마실 적에 ‘커피’나 ‘콜라’이기를 바라니? 감자를 먹을 적에는 오롯이 감자인 줄 알아보고 느끼고 받아들여야겠지? 배추는 배추맛을, 버섯은 버섯맛을 보고 느끼고 받아들일 노릇이야. 곁이나 둘레에 있는 사람이 어떤 숨결인지 네 온마음을 열고서 받아들이고 함께하렴. 네 온몸을 다해서 온눈을 틔워 마주하고 만나렴. “이 사람(아기·아이·어른)”을 “저 사람(아기·아이·어른)”으로 여기면서 굴지 마. 천천히 가는 아이를 왜 다그치니? 가만히 쉬는 아이를 왜 닦달하니? 서로 나란히 있으면서 눈높이를 맞추고 눈빛을 나누렴. 철을 읽고 느끼면서 어질고 슬기로이 사랑을 펴는 살림을 보이렴. 속으로 달려가면서 길을 찾는 몸짓을 느끼렴. 다가가야 닿으면서 담을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철학자 2023.8.7.달.



‘철학자’라는 이름으로 푸른별 동서양 발자국(역사)에 남은 사람들을 보면, 죄다 사내(남자)이더구나. 뭔가 아리송하다고 느끼니? 왜 여태껏 ‘철학자’는 죄다 사내일까? ‘철학자인 사내’는 무엇을 헤아리고 무슨 말을 했을까? ‘철학자’는 어느 때 어느 곳에서 어느 켠에 섰든 모두 ‘나라지키기·나라세우기’에 온힘을 기울였고, ‘나라돈(나라가 주는 돈·이름·힘)’을 누리면서 이름을 날리고 남겼단다. 그러면 ‘철학자 아닌 가시내(여자)’는 뭘 해왔을까? ‘나라’가 아닌 ‘나’하고 ‘너(아이·새숨결)’를 바라보면서 언제나 ‘살림’을 짓는 ‘삶’을 ‘사랑’으로 ‘숲’에서 일구고 가꾸었지. 넌 아니? 웬만한 풀꽃나무 이름은 먼먼 옛날에 ‘살림순이(보금자리에서 살림을 짓는 여자)’가 사랑을 담아서 지었단다. 풀벌레·새한테 붙인 이름도, ‘해·별·꽃·바다·바람·하늘’ 같은 말도, ‘철학자 아닌 살림순이’가 지어서 아이들한테 가르치고 물려주었어. 요즈음은 ‘여성 철학자’가 늘어나지? 그런데 ‘살림짓는 사랑’을 생각(철학)에 녹여서 마음에 말씨앗을 심는 길이 아니라면, ‘여·남 철학자’는 모두 ‘사람들 마음을 나라틀(국가질서)에 맞추는 굴레’를 펼 뿐이란다. 넌 무엇을 보고 들으면서 마음에 담겠니? 넌 마음에 씨앗을 심을 말로 생각을 지으면서 하루를 새롭게 그리는 살림을 가꾸겠니? ‘나라’나 ‘나라틀’이 아닌, ‘나와 너’를 ‘생각날개’로 바라보고 펴면서, ‘너머’로 나아가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미리내 2023.6.19.미리내.



낮에 해를 쬐는 사람은, 햇볕·햇빛·햇살에 햇내음·햇소리·햇기운으로 넉넉한 줄 느끼고 알아. 이 해를 고루 듬뿍 받아들이기에 늘 튼튼하면서 싱그러운 줄 느끼고 알기도 해. 낮이어도 해를 안 쬐는 사람은, ‘해랑 얽힌 말 이름’도 모르고, ‘하늘·하나·하얗다’나 ‘맑다·밝다’가 ‘해’랑 맞닿으면서 쓰는 줄 어림조차 못 해. 그러면 보렴. 밤에 별을 안 보는 사람은 ‘밤빛’도 ‘별빛’도 모를 테지. 별을 안 바라보기에 ‘별’하고 얽힌 ‘벼르다·베다·벼락·번쩍·반짝’을 모를 테고, 밤하고 만나는 ‘밝다·바다·바람·바탕’을 모를 뿐 아니라, 낮에 보는 ‘해’랑 이어가는 ‘하다·해보다’를 생각은커녕 느끼지조차 않아. 별을 안 보고 안 느끼니 미리내(은하수)가 늘 드리우는 줄 아예 모르고, 먼나라 얘기로 여기고 말아. 그런데 너희 몸이 바로 “별 하나”이면서 “가득한 별”인 미리내란다. 너희는 스스로 ‘사람’이자 ‘알(씨앗)’이고 ‘별’이자 ‘미리내’요 ‘누리(우주)’란다. 어느 하나면서 모든 빛이야. 너희가 저마다 스스로 빛이니, ‘눈빛’이 밝거나 어두워. 너희가 누구나 스스로 빛이니, ‘살림빛’을 일구거나 죽음수렁을 뒤집어써. 너희는 서로 비추는 거울이고, 서로 마음이 비치는 사이야. 너희 숨빛이 너희를 살리면서 이웃을 살리고, 이웃 숨빛이 너희를 살찌우면서 마을과 이 별을 함께 살찌우는 얼거리야. 하늘을 볼 줄 알기에 ‘하나이면서 함께인 숨빛’을 나누는 낮해로 만나고 밤별로 마주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황무지 2023.6.21.물.



“거칠고 말라서 씨앗이 싹트지 않아 숨결이 자라거나 살아갈 수 없는 땅”을 한자말로 ‘황무지’라 한다지. 곰곰이 보면 빙 둘러서 가리키는 셈이야. ‘빈터’나 ‘죽음터’나 ‘잿터’라 하면 바로 느끼고 알 만하지 않겠어? 왜 있는 그대로 가리키거나 듣거나 마주하려 하지 않니? 꺼풀을 씌울수록 참하고 멀어. 겉을 치워야 속으로 차오르지. 꺼풀·겉·허울에 마음을 쏟으니, 속으로 스며서 자라는 기운이란 없이, 겉모습만 자꾸 매만지느라, 오히려 겉이 낡아가지. 겉으로 반드레하더라도 씨앗이 싹틀 수 없어. 씨앗은 흙을 품고서 깊이 스미고 싶거든. 뿌리를 죽죽 내리면서 줄기를 올리니, 속이 메마른 죽음터(황무지)는 푸른길하고 멀어. 씨앗이 어느 곳에서 깨어나는지 살펴보렴. 네가 살아갈 곳은 나무씨앗이 싹터서 자라는 곁에서 스스로 꿈씨앗을 틔울 만한 빛살이 있어야겠지. 또는 네가 일부러 죽음터(황무지)에 집을 짓고서 ‘살림터’를 바꿀 수 있어. ‘이미 잘 갖춘 숲’도 살아갈 만하고, ‘아무것도 없구나 싶은 죽음터’여도 네 숨빛으로 몽땅 바꿔낼 만하단다. “잘 갖춤 = 좋음”이요 “아무것도 없음 = 나쁨”으로 여겨 버릇하는 나라(사회·학교)야. 너는 ‘겉’이 아닌 ‘속’을, ‘오늘 겉모습’이 아닌 ‘앞으로 깨어날 씨앗으로 푸르게 이룰 숲’을 그리기를 바라. 네가 손들고 떠나기에 죽음터로 달려간단다. 네가 웃고 춤추며 지내기에 살림터로 피어나. 네가 가꾸고, 네가 바꾸고, 네가 일구어서, 네가 품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