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힘을 들이다 2023.7.24.달.



누구는 ‘힘들다’고 말을 하더구나, 툴린 말은 아니야. 그이 스스로 “힘이 들고” 싶었으니까. 그런데 누구는 ‘힘들이다’라 말을 하는구나. 사이에 ‘-이-’ 한 마디를 넣으면서 말도 말결도 말씨도 바꾸니, 새롭게 말꽃이 피는 말길로 나아가는구나. 누구는 “힘들다 = 하면 힘들다 = 할수록 힘들다 = 그저 힘들다”라는 굴레를 스스로 말하면서 짓고 누려. 누구는 “힘들이다 = 하려고 힘을 들이다 = 할수록 힘을 늘리다 = 늘 스스로 새로 빛나면서 짓다”라는 살림을 스스로 말하면서 이루고 나눠. 그러면, 너는 너한테 ‘어떤 말’을 ‘어떻게’ 들려주니? 넌 ‘힘들다’라는 말을 일삼니? ‘힘들이다’라는 말을 삼가 모시니? 모든 씨앗은 싹트고 뿌리내려서 숲을 이뤄. 네가 심는 말씨는 어떻게 싹트고 뿌리내려서 네 살림숲을 이루는 바탕으로 가니? ‘씨앗’은 ‘심’어. ‘심다 = 심 = 힘’이야. 심는 씨앗은 ‘힘’을 모습·몸으로 나타내고 움직이도록 북돋우는 빛이야. 그래서 ‘씨앗으로 움트’듯, ‘힘으로 움직’여. 네 넋은 몸을 입고 살기에 ‘움트고 움직일 씨앗·힘’을 바라지. 그리고 네 넋은 그저 ‘빛씨(빛알)’이기에, 오직 빛으로 흐르는 ‘마음’을 펴려 하고, 이 마음은 스스로 ‘기르는’ 밭이기에 ‘기운’이라는 빛을 일으킨단다. 타오르는 힘(씨)이라면, 기르며 자라나는 기운이야. ‘기름’이란다. 흐르는 물이고, 일어나는 ‘바다’이지. 바다요 바탕이고 밭인 마음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그동안 겪은 2023.7.23.해.



비가 내리면서 비우기에,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빚을 자리가 생겨. 비운 곳이기에 빛을 담아. 비우지 않은 곳은 빛이 튕겨나가. 비운 곳에 빗물을 담으니, 어느새 우리가 손을 내밀어서 흙을 만지고, 한 손은 빗물을 담고 한 손은 흙을 다루면서, 누구나 스스로 이루고 싶은 빛을 일구게 마련이야. 하나씩 한단다. 너도 나도 하나씩 하기에, 함께 이루고, 한꺼번에 일구고, 하늘빛을 담아. 너도 나도 쓸데없는 일(경험)은 한 가지조차 없어. ‘그 짓’을 ‘그때’ 했기에, 넌 너대로 ‘비울’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 수 있어. 알아차리렴. 그동안 겪은 모든 일은 이제부터 제대로 들여다볼 ‘어제’이면서, 이제부터 걷는 ‘오늘’이자, 앞으로 빛낼 ‘모레’야. 나쁘거나 슬프거나 아픈 어느 일을 겪었으면, 넌 몸도 마음도 ‘앓’아. 끙끙거리느라 드러눕지. 눈물을 흘리면서 밥도 끊어. 자, 보렴. 먹지 않고 몸을 누여서 오직 삶을 바라보고 꿈을 그리느라 앓기에, 넌 알을 깨뜨리고 나오면서 스스로 알아보는 눈으로 피어나. 알려고 묻고, 물어보면서 안으로 담고, 하나하나 담으려고 삶을 겪고, 겪은 모든 하루로 “나를 이루”니 ‘나이’란다. 나무에 나이테가 생기듯, 너희는 “나를 보고 아는 눈금”인 ‘나이’를 쌓아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배기가스 2023.7.21.쇠.



너희는 ‘쇳더미(자동차)’에 너희 몸을 싣거나 짐을 올리고서 달릴 적에 기름(연료) 한 방울조차 쓸 일이 없어. 어떤 기름도 없이, 오직 ‘빛’ 한 줄기로 쇳더미를 움직이면 되거든. 너희 몸이나 집도 빛살에 실어서 가볍게 스윽 어디로든 갈 수 있어. 그저 너희 스스로 빛을 등지고 빛살을 잊기에, 길을 잃고 기름을 써버리지. ‘기름’은 태워 없애는 곳이 아니라, 너희를 살찌우고 살리는 데에 쓰는 ‘기름물(기르는 물)’이야. ‘빛나는 살림물’이지. 살림길에 안 쓰고 쇳더미를 움직이느라 마구 태우니까, 쇳더미(자동차·배·비행기·기차……)에서 ‘죽음김(배기가스)’기 피어나와. 마땅한 일이지. 살리고 기르고 나누면서 즐겁게 빛나며 아름다우려는 삶에 안 쓰는 기름이니, 느닷없이 ‘죽음김’이 푸른별을 뒤덮어. 그런데 풀꽃나무는 너희 사람이 숨막혀 죽지 않기를 바라면서 힘껏 ‘죽음물 치우기’를 한단다. 들숲바다는 한몸이 되어 ‘사람들 죽음물·쓰레기’를 치워주지. 사람들은 사람으로서 얼마나 알까? 아예 모르고, 몰라보고, 등돌리고, 잊지 않니? 기를 숨결을 안 헤아리면서, 나눌 기쁨을 안 보면서, 스스로 빛날 하루를 안 그리면서, 자꾸자꾸 기름을 태우기만 하지 않니? 기름은 푸른별을 이루는 ‘피’이기에 마를 일이 없이 늘 다시 솟아. 그런데 너희 몸을 돌아보렴. 너희 몸에 늘 ‘새피’가 솟아서 흐르기에 너희 넋이 ‘산몸’을 입고서 오늘 이곳에 있어. 새로 솟은 피가 가만히 너희 몸을 돌 틈이 없다면 어찌할까? 너희 몸을 살림길에 안 쓰고 죽임길에 자꾸 굴리면, 너희 몸을 이루는 기름(기름물·피)은 어떤 김을 내놓을까? 푸른별은 언제 쉴 수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온실가스 2023.7.20.나무.



비가 내리면서 고루 씻어. 빗물이기에 어디이든 안 가리고 씻어. 너희는 비처럼 온누리를 씻을 수 있을까? 네가 눈물을 흘리면, 너를 비롯해서 온누리를 씻지. 네가 웃음을 터뜨리면, 너와 함께 온누리를 일으키고. 비랑 눈물은 모두 씻고 털어서 비워. 해랑 웃음은, 이렇게 비운 곳에 새롭게 숨결이 일어나도록 살려. 씻김물인 비랑 눈물이 있기에, 푸른별이 맑고 밝단다. 살림빛인 해랑 웃음이 있으니, 푸른별이 즐겁고 새롭단다. ‘온실가스’란 무엇이겠니? 너희가 눈물·웃음을 잊고서 비·해를 잊는 동안에, 푸른별에 ‘씻음·살림’을 하나도 안 펴고 안 일으키면서 불어나는 ‘갑갑한 김’이 바로 ‘온실가스’야. 비로 안 씻고 해로 안 살리니까, 갑갑할밖에. ‘1회용품·플라스틱 줄이기’로는 온실가스를 없애지도 줄이지도 못 해. 푸른별 어느 곳이든지 비랑 해가 고루 덮을 수 있도록 집·마을·나라·터전을 모조리 갈아엎고서, 들숲바다를 이룰 노릇이란다. ‘비·해’를 바라보면서 받아들이는 마음에 몸으로 하루를 지낼 적에, 너희는 스스로 ‘눈물·웃음’을 되찾고서, 푸른별에 스미거나 끼어든 온갖 부스러기랑 티끌을 털거나 씻어. 억지로는 못 고치고 못 바꿔. ‘과학·기술·지식·진보·교육·종교·문화·예술·정치·경제’로는 온실가스뿐 아니라, 전쟁도 갈등도 그저 부추길 뿐이야. 울고 웃는 하루를 그리고 짓고 누리렴. 비를 반기고 해를 노래하렴. 스스럼없이 울고 웃으렴. 허물없이 춤추고 노래하렴.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스스로 갉는 짓을 끝내고, 네 이야기를 이루고 이을 오늘을 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양복 2023.9.29.쇠.



아무 소리나 노래라 하지 않고, 아무 소리나 말이라 하지 않지. 그런데 어떤 소리이든 노래나 말이 된단다. 마음을 담은 소리일 적에, 사랑을 싣는 소리이기에, 살림을 짓는 씨앗을 이루기에, 삶을 반짝이는 별빛으로 가꾸는 소리일 적에, 노래가 되거나 말이 되고, 이야기가 돼. ‘듣기 좋은 소리’여야 노래나 말일까? ‘-기 좋다’는 허울로 싸이거나 감쌀 적에는 ‘겉소리·꾸밈소리’일 뿐이야. ‘사랑하고 살림하는 숲빛이자 별빛인 삶’을 담는 소리이기에, 노래일 때가 있고 말일 때가 있고 이야기일 때가 있어. 네 소리를 네가 스스로 돌아보렴. 너는 무슨 소리이니? 네 모습을 네가 스스로 바라보렴. 너는 어떤 모습이니? 한옷(한복)이나 하늬옷(서양옷·양복)을 차려야 ‘보기 좋은’ 모습일 수 있어. 그러나 ‘듣기 좋은·보기 좋은·먹기 좋은·하기 좋은·쓰기 좋은·주기 좋은’ 모든 것은 사랑도 아니고 살림도 아니고 빛도 아니고 씨앗도 아니란다. 사랑을 담아야 사랑이야. 살리는 빛이어야 살림이야. 별이나 초처럼 초롱초롱하니 빛이야. 숲으로 피어나도록 숨결을 품고서 수수하게 풀어내기에 씨앗이야. ‘듣기 좋은 소리’나 ‘보기 좋은 모습’에 얽매이지 않기를 바라. ‘주기 좋은 선물’이나 ‘알기 좋은 책’을 곁에 두지 마. 속빛을 보고, 속살을 가꾸고, 속알을 풀고, 속눈을 뜨고, 속속들이 사랑인 차림새를 스스로 자아내기를 바라. 겉모습은 참모습이 아니지. 겉말(거짓말)은 참말이 아니야. 겉옷이 참빛일 수 없고, 네 참나일 수조차 없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