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이들은 얼마나 좋을까



  にしまき かやこ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글로는 니시마키 카야코라 적는 이름입니다. 일본에서 1939년에 태어나 숱한 그림책을 그렸다고 하는데, 한국말로 나온 이분 그림책은 몇 가지 안 됩니다. 일본에서는 무척 널리 사랑받는다고 하니, 일본에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은 이분 그림책 몇 권쯤 으레 보았으리라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나오는 그림책을 살피면 세 갈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일본 그림책. 둘째, 서양 그림책. 셋째, 한국 그림책. 한국말로 나오는 그림책 가운데 ‘일본 그림책’은 따로 갈래를 나눌 수 있을 만큼 아주 많습니다. 그런데 모든 일본 그림책이 한국말로 나오지는 않아요. 아마, 일본 그림책을 모두 한국말로 옮기려면, 이 그림책으로만 하더라도 책방이 가득 차리라 느낍니다.


  한국말로 나오는 일본 그림책을 보면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운지 모릅니다. 그런데, 막상 일본 사회나 정치나 경제를 들여다보면 안 사랑스럽거나 안 아름다운 모습이 곧잘 보여요. 왜 그럴까요?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그림책과 동화책이 엄청나게 많이 나오는 일본인데, 이런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책을 보고 자랐을 일본 어린이는 왜 어른이 되면서 안 사랑스럽거나 안 아름다운 길로 접어들까요?


  일본도 한국 못지않게 제도권 학교교육이기 때문일까요? 일본도 대학시험은 지옥이라 할 만하기 때문일까요? 일본도 한국과 똑같이 도시로 몰리는 사회이고 도시문명이 막다른 곳으로 치닫는 흐름이기 때문일까요?


  일본은 그야말로 책나라입니다. 일본은 어린이책도 어른책도 엄청나게 많이 만들고 많이 읽습니다. 한국은 어떨까요? 한국에서도 책은 꽤 많이 나오지만, 일본만큼 책을 읽지는 않습니다. 책하고 아예 등을 진 채 살아가는 한국사람이 무척 많습니다. 그러면, 책을 덜 읽는 한국은 일본과 맞대어 놓고 살피면 아름답거나 사랑스럽다 할 만할까요? 일본에서도 극우 정치에다가 군국주의로 치달으려는 바보가 많지만, 한국에서도 극우 정치에다가 전쟁무기를 더 갖추자고 닦달하는 바보가 많아요.


  성노예 할머니란 어떤 사람일까요. 전쟁 피해자입니다. 전쟁은 여성을 사람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전쟁은 언제나 여성을 노리개로 다룹니다. 군부대 둘레에는 으레 성매매업소가 있어요. 일본은 군부대 둘레가 아니어도 성매매업소가 많습니다. 한쪽에서는 아름다움과 사랑스러움을 아이들한테 심으려고 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아름답지도 않고 사랑스럽지도 않은 시설과 문화가 퍼집니다.


  아름다운 그림책을 쓰는 어른이 많고 사랑스러운 동화책을 쓰는 어른이 많은 일본이지만, 사회와 정치와 교육과 문화와 경제를 아름답거나 사랑스럽게 가꾸려는 뜻이 없는 어른도 많은 일본입니다. 아마 한국도 이런 틀거리는 엇비슷하리라 느낍니다.


  그러니까, 아름다운 책만 읽힌대서 아이들이 아름답게 자라지 않아요. 사랑스러운 책만 아이한테 베푼대서 아이들이 사랑스럽게 살아갈 길을 열지 않아요. 우리가 지내는 마을부터 아름답게 가꿀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보금자리를 사랑스럽게 돌볼 줄 알아야 합니다. 마을과 보금자리를 맑고 밝게 다스리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책을 아이와 함께 나누려는 넋이 되어야지 싶습니다. 어린이문학은, 책은 책대로 아름답거나 사랑스럽도록 하면서, 이 책을 바탕으로 어린이와 어른 모두 우리 마을과 보금자리를 아름답거나 사랑스럽게 일구는 빛을 스스로 찾아서 나아가도록 돕는 몫을 할 때에 제자리를 찾으리라 느낍니다. 4347.7.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에서 나오는 그림책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으며 곧잘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그리는 그림책이 우리 아이한테 알맞을는지, 다른 나라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그리는 그림책이 우리 한테 알맞을는지 하고. 한국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그리는 그림책이라면 아무래도 ‘한겨레 빛’이 더 서린다고 할 만할 테지요. 다른 나라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그리는 그림책이라면 아무래도 ‘다른 나라 빛’이 더 감돈다고 할 만할 테지요.


  그런데, 요즈음 흐름을 보면, 한국 작가가 그린 그림책이라서 ‘한겨레 빛’을 잘 담는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도시문명 사회에서는 한국 작가이건 중국 작가이건 러시아 작가이건 체코 작가이건 거의 비슷합니다. 아니, 똑같다고까지 할 만합니다. 외려 미국 작가나 독일 작가나 스웨덴 작가한테서 ‘한겨레 빛’이라고 할 만한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한국 작가보다 일본 작가가 ‘한겨레 빛’을 한결 살가이 그린다고도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한국에도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옛날부터 있었고, 한국에서도 그림책이 나온 지 제법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한국에서 ‘창작 그림책’이 제대로 대접을 받은 지는 얼마 안 되었습니다. 그림책을 아이한테 읽히고 싶은 어버이는 아주 많으나, 아이한테 건넬 만한 그림책을 한국사람 스스로 살뜰히 빚은 햇수는 2014년까지도 스무 해가 채 안 된다고 할 만합니다. 한국과 이웃한 일본만 헤아려도 일본 그림책 역사는 백 해 안팎입니다. 아니, 일본은 백 해가 더 넘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담은 그림책이 아니라 ‘어린이와 함께 읽으려고 빚은 그림책’을 놓고 하는 말입니다.


  아직 한국 그림책은 그리 훌륭하게 자리잡지 못했다고 느껴요. 한국에서 그림책을 그리려는 ‘어른’은 더 많이 배우고 더 오래 살펴야 한다고 느껴요. 미술대학을 나왔거나 일러스트라든지 디자인을 좀 했으니 ‘그림책도 그릴 만하다’ 하는 생각은 섣불리 안 하기를 바라요. 그림책은 말 그대로 그림책입니다. 붓질이 여러모로 괜찮아서 그림책을 그리려 하지 않기를 바라요. 그림책을 그리려 한다면 ‘내 아이한테 선물로 주어서 내 아이가 날마다 백 번쯤 들여다볼 만하도록’ 그리기를 바라요.


  그림책에는 세 가지가 깃들어야 합니다. 첫째, 노는 삶입니다. 둘째,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셋째, 즐거운 빛입니다. 이 세 가지가 없으면 그림책이 안 됩니다. 무엇보다 “노는 삶”을 가장 알뜰살뜰 펼쳐 보여야 그림책이요, “노는 삶”을 “아름다운 사랑”으로 빚어서 들려줄 때에 그림책 이름이 빛나고, “노는 삶을 아름다운 사랑”으로 빚어서 들려주는 손길과 눈길은 “즐거운 빛”으로 가다듬어야 그림책 하나가 제대로 피어납니다.


  한국에서 그림책을 그리려는 작가는 누구나 더 몸과 붓질을 낮춰서 아이들하고 ‘노는 길’을 밝힐 수 있기를 빌어요. 그래야 아름다우면서 재미난 그림책이 되겠지요. 먼저 놀아야 합니다. 온몸을 던져 놀아야 합니다. 온몸에 땀이 나도, 옷이 땀으로 옴팡 젖어도, 밥때가 지나도, 아이들은 놀이를 그치지 않습니다. 아이한테 그림책을 주려는 어른이라면, 아이가 즐겁게 읽을 그림책을 바라는 어른이라면, 아이처럼 놀고 아이와 함께 놀아야 합니다. 이렇게 옷을 땀으로 폭삭 적시고 밥때까지 잊으면서 뛰놀고 나서 붓을 손에 쥐고 그림을 그려 보기를 바라요.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먼발치에서 구경하다가 사진 몇 장 찍은 뒤 그리는 그림이 아니라, 그야말로 아이들과 뒤섞여 깔깔 하하 호호 히히 웃으면서 ‘나가 떨어질 때까지 놀고 난 뒤’에 붓을 들기를 바라요.


  왜냐하면, 아직까지도 한국 그림책 작가는 ‘그림을 너무 못 그리’거든요. 제대로 놀아 보지 않았으니 그림을 너무 못 그려요. 어릴 적뿐 아니라 어른이 된 뒤에도 제대로 놀지 않으니 그림을 참 못 그립니다.


  그런데, 그림을 너무 못 그릴 뿐 아니라, 상상력도 너무 모자라고 관찰력까지 떨어져요. 한자말 ‘상상력’은 “생각하는 힘”을 가리킵니다. ‘생각힘’입니다. 한자말 ‘관찰력’은 “바라보는 힘”을 가리킵니다. ‘눈힘’입니다.


  그림을 이럭저럭 그린다 싶으면 생각힘과 눈힘이 떨어지기 일쑤이고, 생각힘이 좋다 싶으면 그림 솜씨와 눈힘이 떨어지며, 눈힘이 괜찮으면 생각힘이 없거나 그림을 못 그리고.


  생각힘이란 무엇일까요. 생각하는 힘이란 무엇인가요. 스스로 날마다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도록 이끄는 힘이 생각힘입니다. 스스로 삶을 새롭게 짓는 힘이 바로 생각힘입니다. 하늘을 날거나 우주를 가로지르는 생각이 ‘생각힘’이 아닙니다. 스물네 시간마다 찾아오는 하루를 언제나 새롭게 맞아들여서 날마다 기쁘게 웃고 노래할 수 있는 삶을 지을 수 있는 생각이 바로 ‘생각힘’입니다.


  아직 한국에는 드물거나 없다시피 한데, 다른 나라에서 그림책을 그리는 이들은 어마어마한 생각힘으로 그림책을 빚습니다. 아주 자그맣구나 싶은 이야기 하나를 바탕으로 놀라운 생각힘을 선보입니다. ‘생활 그림책’을 그리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삶을 언제나 새롭게 바라보고 사랑할 수 있으면서 꿈으로 가꿀 수 있는 생각힘을 그림책 작가 스스로 기르고 가다듬어서 ‘아이와 함께 지구별에서 누리는 이야기’를 노래할 수 있을 때에 그림책이 태어난다는 소리입니다.


  눈힘이란 무엇일까요. 바라보거나 살펴보거나 지켜보거나 들여다보거나 찾아보거나 마주보는 힘이란 무엇인가요. 아이들이 개미 한 마리를 몇 시간 동안 바라볼 수 있듯이, 그림책 작가도 나팔꽃 한 송이를 열 시간쯤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도랑물 흐르는 빛을 한나절 동안 꼼짝 않고 들여다볼 수 있듯이, 그림책 작가도 개울물이나 못물에서 감도는 빛을 한나절 동안 꼼짝 않고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냥 보아서는 안 됩니다. 제대로 보아야 합니다. 속속들이 보아야 합니다. 참답게 보아야 합니다. 슬기롭게 보아야 합니다. 그러고 나서, 아름답게 보는 눈빛과 사랑스레 보는 눈길을 갈고닦아야 합니다.


  이렇게 세 가지를 할 수 있으면, “노는 삶”과 “생각하는 힘”과 “보는 힘”을 즐겁게 추슬러 사랑스레 누릴 수 있으면, 비로소 붓을 들 때입니다. 세 가지를 즐겁게 어우르는 그림을 그릴 때에 그림책이 태어납니다. 이웃한 일본에서 태어나는 그림책이든, 저 먼 미국에서 태어나는 그림책이든, 한국 그림책 작가들 누구나 더 넓고 깊게 배우면서 아름다운 빛을 받아들여서 우리 나름대로 보살필 수 있기를 빕니다. 4347.7.2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상상력과 표현력


  지난날에는 글을 쓰는 사람이 학교를 다니는 일이 없었습니다. 지난날에는 학교란 데가 없기도 했어요. 그러면 옛날 글꾼은 어떻게 글을 썼을까요? 삶을 가꾸면서 글을 썼어요. 날마다 하루를 새롭게 짓고, 밥이며 옷이며 집이며 스스로 지으면서 글을 썼어요. 예전에는 삶도 밥도 집도 살림도 글도 생각도 스스로 지었습니다.

  들과 숲에서 풀을 뜯으며 글을 씁니다. 멧골에서 나무를 하며 글을 씁니다. 아이를 낳고 돌보며 글을 씁니다. 사람을 둘러싼 모든 것을 골고루 누리거나 마주하면서 글을 씁니다.

  지난날에는 상상력이라든지 표현력 같은 말을 안 썼습니다. 그저 글을 써서 나누었을 뿐이요, 이야기를 오순도순 주고받았습니다. 기나긴 날에 걸쳐 슬기와 사랑을 가다듬어 삶글을 이루고 빛글을 낳아 물려주었어요. 그러니까, 작품이 되도록 하거나 문학이 되게끔 하지 않았습니다. 마음으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저마다 이녁 삶에 비추어 들려주고 이녁 말씨로 밝혔어요.

  스스로 늘 삶을 지으니 생각도 늘 짓습니다. 생각힘, 곧 상상력을 걱정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늘 삶과 밥과 집을 지을 뿐 아니라 말을 지으니 말힘, 곧 표현력을 근심하지 않습니다.

  참말 예전에는 마을마다 집집마다 말을 스스로 지었습니다. 바로 사투리입니다. 오늘날에는 삶도 밥도 집도 말도 스스로 짓지 않고 학교만 다니고 책만 읽습니다. 오늘날에는 새로 짓는 삶이 깃든 새로운 말이 태어나지 못하고 새 글이 좀처럼 태어나지 못해요.

  문학이 나오고 대학교 문예창작학과가 생기며 문학강의가 넘칩니다. 그러나 삶을 밝히거나 가꾸려는 빛은 자리를 잃어요. 글은 늘 삶을 담았으나, 학문이나 예술이나 문화나 문학이 되면서 삶을 잃거나 등집니다. 노래가 되지 못하고 이야기로 뻗지 못하니 오늘날 문학은 어린이책에서도 어른책에서도 표현력만 자꾸 따져요. 상상럭이 없으니 억지로 쥐어짜요. 가장 쉽고 사랑스러운 길에서 그예 멀어지기만 합니다. 4347.7.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한테 들려주는 동화



  어린이문학상을 받았다는 작품을 읽다가, 요즈음 여러모로 널리 사랑받는다는 작품을 읽다가, 히유 하고 한숨을 쉽니다. 그러고 보니, 이 작품에서는 한숨 소리를 ‘휴’로 적습니다. 꽤 잘 팔리고 많이 읽히는 동화를 쓴다는 ㅂ이라는 분은 국어교사라 하는데, 이분은 ‘휴’가 일본말인 줄 느끼지 않습니다. 한숨 소리를 한국말로 옳게 적으려면 ‘후유’나 ‘히유’입니다. 동화를 쓰는 국어교사는 ‘微笑’ 같은 일본 한자말을 곧잘 쓰고, ‘急하다’라든지 ‘救하다’ 같은 한자말도 꽤 즐겨씁니다. 한국말로 ‘서두르다’라든지 ‘살리다’를 제대로 쓰지 못합니다. 조선이라든지 백제라든지 옛날을 발판으로 삼아 이야기꽃을 펼치려 하지만, 정작 그무렵 아이와 어른이 어떤 말로 삶을 밝히려 했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구나 싶기도 하고, 요샛말로 어린이문학을 하면서도 한국말에 밝지 않습니다.


  어린이문학은 그냥 문학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어른문학도 이와 같아요. 문학은 문학으로 그치는 일이 없습니다. 문학은 늘 ‘말’로 짓습니다. 말로 짓는 문학이기에, 문학을 읽는 사람은 늘 ‘말을 배웁’니다. 문학이라는 틀로 담은 ‘말’을 읽으면서 이야기를 누리고 말을 새롭게 익혀요.


  문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주 마땅히 ‘말을 말답게 가눌’ 줄 알아야 하며, 한국에서 문학을 하는 사람은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바라볼’ 줄 알아야 합니다. 더욱이, 어린이문학을 한다면 말을 훨씬 깊고 넓게 바라보면서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글솜씨가 있기에 문학을 할 수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문학은 솜씨자랑이 아니거든요. 글재주가 있대서 문학을 잘 하지 않습니다. 아주 마땅하게도, 문학은 재주잔치가 아니니까요.


  문학은 말꽃이면서 이야기꽃입니다. 말이 곱게 피어나는 꽃처럼 되도록 가꿀 문학입니다. 이야기가 눈부시게 피어나는 꽃처럼 되게끔 돌볼 문학입니다. 이를 헤아리지 않는다면, 어린이문학으로서 어떤 값어치가 있을까 궁금합니다.


  모든 문학은 우리를 가르칩니다. 어른문학이건 어린이문학이건 늘 가르침(교훈)을 담습니다. ‘교육 효과가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어떤 문학이건 삶을 보여주기 때문에, 삶을 읽는 사람(독자)은 이웃을 느끼고 나 스스로를 톺아볼 수 있습니다. ‘문학을 읽으면서 삶을 배운다’는 뜻입니다.


  다만, ㅂ이라는 작가 한 사람을 나무랄 일이 아닙니다. 오늘날 어린이문학을 하는 분들이 한국말을 제대로 배우거나 살피거나 바라보지 않습니다. 오늘날 어른문학을 하는 분들은 더더욱 한국말을 제대로 안 배우거나 제대로 안 살피거나 제대로 안 바라봅니다. 그러면, 문학은 어떤 빛이 될까요. 말빛이 없는 문학이라면, 말꽃으로 피어나지 못하는 문학이라면, 이런 문학은 우리 삶에 어떤 빛이 될 만한가요. 4347.6.2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한테 시를 읽힐 때에



  문학이 태어났을 적에 어른이 써서 어른이 즐길 뿐이었습니다. 어른이 써서 아이한테 들려주는 문학은 따로 없었습니다. 지난 백 해 사이에 비로소 어린이문학이 새롭게 태어나 아이들이 읽을 문학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어린이문학이 따로 태어나기는 했지만, 정작 아이들한테 삶을 보여주거나 밝히는 글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낱말을 이쁘장하게 엮는 문학이 너무 많습니다. 어른이 만든 제도권 사회 울타리에서 시름시름 앓거나 괴로운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문학이 너무 많습니다. 아이들한테 빛이 될 문학은 너무 드물고, 아이들이 스스로 빛을 찾아나서도록 돕는 문학도 너무 드뭅니다.

  어린이문학은 아이들만 읽지 않습니다. 아이들부터 누구나 누리는 문학이 어린이문학입니다. 아이들과 읽을 시와 동화는 그야말로 아이들이 삶을 노래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될 수 있을 때에 아름답습니다.

  생각해 보면, 어린이문학이라는 이름이 아닌 옛이야기라는 이름으로 흐르던 ‘말’은 아이와 어른이 한 자리에 앉아서 누렸어요. 콩쥐와 팥쥐 이야기이든, 풀개구리 이야기이든, 해와 달 이야기이든, 언제나 아이와 어른이 한 자리에 둘러앉아서 함께 즐겼습니다. 종이에 글을 쓰던 어른은 으레 중국글로 어른문학만 했지만, 중국글을 모르고 훈민정음조차 모르던 시골사람은 입에서 입으로 물려주는 ‘말’로 ‘이야기’를 지어서 주고받았습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어린이문학을 하는 ‘새로운 젊은 작가’들이 내놓는 작품을 보면, 으레 ‘이쁘장한 동시’이거나 ‘학교생활 동화’입니다. 오늘날 새로운 젊은 작가들은 좀처럼 ‘삶글’을 못 씁니다. ‘삶빛’을 밝히려 하지 못합니다. 알맹이를 담는 이야기가 아니라, 껍데기를 꾸미는 문학일 뿐입니다. 지난날에는 지식인과 권력자가 중국글로 문학을 했다면, 오늘날에는 ‘한글(훈민정음)’을 쓰기는 하지만 아직 ‘이야기’와 같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한테 동시(시)를 읽어 주고 싶습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과 노래를 부르고 싶습니다. 여러 동시집을 장만해서 먼저 읽는데, 좀처럼 내 마음을 사로잡거나 이끌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이원수, 권정생, 이문구, 윤동주, 이오덕, 임길택, 백석, 권태응 같은 님들이 빚은 이야기는 무척 아름다울 뿐 아니라 사랑스럽습니다. 이 어른들은 언제나 노래를 불렀고, 이 어른들이 부른 노래는 언제나 삶말입니다.

  왜 오늘날 ‘새로운 젊은 작가’는 삶말을 빚지 못할까요. 왜 오늘날 책마을에서는 삶책을 펴내려 하지 않을까요. ‘말을 갖고 노는 시’가 아니라, ‘삶을 사랑하는 시’를 쓰기가 어려울까요. 아이한테 들려주면서 즐거울 시란, 어른끼리 주고받을 적에도 즐거울 시요, 아이와 어른이 함께 즐겁게 웃고 노래할 수 있는 시일 때에 비로소 ‘문학’이라는 이름하고도 걸맞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음으로 환하게 받아들일 만한 이야기를 읽고 싶습니다. 마음으로 밝게 맞아들일 만한 말을 입으로 읊고 싶습니다. 4347.6.23.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