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07] 씨톨 (유전자, DNA)



  어머니 몸과 아버지 몸에 씨(씨앗)가 있습니다. 어머니와 아버지는 서로 ‘같은 사람’이면서, 서로 ‘다른’ 사람입니다. 그래서 어머니와 아버지 몸에 깃든 씨는 서로 같으면서 다릅니다. 씨라는 테두리에서는 같고, 한쪽은 ‘받아들이는 씨(어머니)’요 다른 한쪽은 ‘내어주는 씨(아버지)’라는 얼거리에서는 다릅니다. 두 가지 씨가 만나서 한 가지 씨로 새로 태어납니다. 이때에 새로운 목숨이 나오지요. 나는 어머니와 아버지한테 있던 ‘두 가지 씨’가 하나된 ‘새로운 씨’로 거듭났을 때에 이 땅에 나타납니다. 아직 사람 꼴을 하지 않더라도 어머니 뱃속에는 내 숨결이 있습니다. 어머니 뱃속에서 천천히 알맞게 꾸준하게 자라면서 꼴을 갖추고, 넋이 깃들며, 이야기를 얻습니다. 어머니는 ‘받아들이는 씨’를 품는 사람이기에 아기를 뱁니다. 아버지는 ‘내어주는 씨’를 품는 사람이기에 언제나 끝없이 내어줍니다. 어머니는 아기 하나만 뱃속에 오래도록 품어서 돌보되, 두 아기까지 돌보도록 젖이 둘이고, 아버지는 언제나 끝없이 내어줄 수 있는 사람이기에 어머니를 여럿 거느릴 수 있습니다. 나는 두 사람(다르면서 같은 두 사람)한테서 물려받은 씨를 간직하면서 꿈을 품습니다. 내가 앞으로 갈 길을 어떻게 지으면 재미있고 즐거울까 하고 생각합니다. 두 사람한테서 받은 씨이기에, 내 씨는 내 어버이(어머니와 아버지)가 품은 씨와 ‘같으면서 다릅’니다. 그래서, 나는 새로운 씨가 되도록 언제나 새로운 생각을 지어 새로운 마음이 됩니다. 나는 내 씨가 ‘어버이와 같으면서 다른’ 씨가 되도록 내 씨를 바꿉니다. 바꾸어 줍니다. 내가 나로, 내가 나답게 일어서려 합니다. 나는 내가 나로서 나답게 일어설 적에 다치지 않습니다. 내가 나로 일어서기에 모든 것, 이를테면 전쟁이나 재앙 같은 것조차, 나를 다치게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다르면서 같은 두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씨’에서 ‘씨톨’을 내 생각에 따라 내 마음그물에서 바꾸었기 때문입니다. 내 씨를 이루는 낱낱 씨톨을 내가 스스로 바꾸면서 나는 아름다운 사람이 됩니다. 4348.1.23.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06] 술그릇



  어른 가운데 술을 즐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술을 즐기는 사람은 즐겁게 술을 마십니다. 왜냐하면, 즐기니까요. 술을 즐기지 않는 사람은 억지로 몸에 술을 퍼넣습니다. 즐기지 못하면서 퍼넣는 사람은 몸을 망가뜨립니다. 아무래도 힘들거나 아프거나 괴롭거나 고단한 일이 쌓여서 이 모든 앙금을 풀거나 털려고 몸을 들볶는 퍼넣기를 하지 싶습니다. 사람은 밥을 먹기에 밥그릇을 쓰고, 사람마다 먹을 수 있는 부피가 달라서, 제 밥그릇에 따라서 밥을 먹습니다. 그리고, 술을 즐기는 사람은 저마다 다른 술그릇을 써서 술을 마시거나 퍼넣습니다. 처음부터 틀을 세워서 어느 만큼만 마시려는 사람이 있고, 딱히 틀을 세우지 않고 때에 따라 적게 마시거나 많이 마시거나 알맞게 마시는 사람이 있습니다. 밥그릇과 술그릇처럼, 우리한테는 누구나 마음그릇이 있어, 생각을 지어서 펼치는 마음그릇을 다르게 키우거나 가꿉니다. 마음그릇 곁에는 사랑그릇이 있으니, 삶을 어떠한 사랑으로 꽃피우려 하느냐 하는 대목을 사랑그릇으로 보여줍니다. 그러면, 말그릇도 있을 테고, 꿈그릇도 있을 테지요. 노래그릇과 춤그릇도 있을 테지요. 4348.1.2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05] 석 장



  종이 석 장을 받습니다. 나누어 주는 종이를 석 장 받습니다. 나는 “네, 석 장 받았습니다.” 하고 말하는데, 내 옆에서는 “네, 세 장이요.” 하고 말합니다. 그래도 나는 “여기 석 장이요.” 하고 또 말합니다. 한 장을 보태면 “넉 장”이라고 말합니다. ‘석’과 ‘넉’으로 쓰지 못하는 사람한테 따로 ‘석’과 ‘넉’을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궁금해서 물을 때까지 가만히 있습니다. 우리 집 큰아이는 가끔 아버지한테 묻습니다. “아버지, 왜 ‘세’라고도 하고 ‘석’이라고도 해?” “응, 책은 세 권 있다 하고, 종이는 석 장 있다고 해. 사람은 네 사람 있다 하고, 능금은 넉 알 있다고 해. ‘세’를 쓰는 자리가 있고, ‘석’을 쓰는 자리가 있어.” 그러면 왜 ‘세’와 ‘석’을 쓰는 자리가 다를까요? 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어떤 마음으로 말을 달리 쓸까요? 아마, 말 한 마디마다 다 다른 숨결을 담아서 썼을 테지요. 4348.1.16.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04] 어린이노래



  우리 집 아이들과 노래를 부를 적에는 늘 ‘노래’라는 낱말만 씁니다. 따로 ‘동요(童謠)’라는 한자말을 안 씁니다. 우리 집 아이들과 글쓰기를 할 적에는 늘 ‘글’이라는 낱말만 씁니다. 따로 ‘동시(童詩)’라는 한자말을 안 씁니다. ‘어린이노래’나 ‘어린이시’ 같은 말을 쓸 수도 있지만, 아이만 부를 노래가 아니기에 ‘노래’라 말하며, 아이만 즐길 시가 아니기에 ‘글’이라 말합니다. 문학이나 문화나 예술로 가르자면 이런저런 말을 새로 지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학이나 문화나 예술은 책이나 전시관에 갇히지 않습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누리고 즐길 때에 비로소 문학이고 문화요 예술입니다. 가만히 보면 아이들한테는 ‘문학·문화·예술’ 같은 말을 안 써도 됩니다. 모두 다 놀이요, 삶이며, 하루입니다. 놀면서 노래하고, 웃으면서 살고, 춤추면서 하루가 흐릅니다. “자, 우리 그림 그리면서 놀까?” 하고 말할 뿐, “자, 우리 회화예술이나 행위예술을 할까?” 하고 말하지 않습니다. 새롭게 갈래를 나누어야 하기에 새롭게 이름을 붙여야 하면 ‘어린이노래’라 하면 되고, 여느 삶자리에서는 수수하면서 투박하고 단출하게 말합니다. 4348.1.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03] 몸띠



  ‘폴리’라고 하는 만화영화를 본 우리 집 두 아이가 ‘안전벨트’라는 낱말을 넣어 노래를 부릅니다. ‘폴리’라고 하는 만화영화에서는 늘 ‘안전벨트’라고 나오기 때문입니다. 두 아이가 아주 어릴 적부터 옆에서 ‘안전띠’라고 말했지만, 만화영화는 하루아침에 두 아이 말투를 ‘띠’에서 ‘벨트’로 바꿉니다. 가만히 보면, 만화영화뿐 아니라 둘레 다른 어른들도 으레 ‘벨트’라고만 말할 뿐, ‘띠’라는 한국말은 잘 안 씁니다. 그러면 여덟 살 아이와 다섯 살 아이는 ‘안전벨트’가 어떠한 뜻인지 알까요? 자동차를 탈 적에 몸에 채우라고 하는 띠인 줄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릴 테지만, ‘안전’이나 ‘벨트’가 따로따로 무엇인지는 알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몸띠’라는 낱말을 두 아이한테 새로 들려줍니다. 자동차를 탈 적에 너희 몸에 띠를 두르니, 이 띠는 ‘몸띠’라고 알려줍니다. 다섯 살 아이는 만화영화에 나오는 대로 그냥 ‘안전벨트’로 노래하지만, 여덟 살 아이는 “몸에 하는 띠로구나?” 하면서 ‘몸띠’라는 낱말을 곧바로 받아들여서 씁니다. 큰아이가 보여주는 모습을 살피면서 한 가지를 새로 깨닫습니다. 한국말로 곱고 바르게 가다듬어서 쓰는 끼닭이라면, 외국말을 털거나 고치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오늘 이곳에서 삶을 또렷이 헤아리면서 즐겁게 나눌 만한 한국말을 찾을 때에 서로 웃고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4348.1.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