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막짓을 겪고 보면 : 막짓을 겪을 적에 곰곰이 생각한다. 이러면서 ‘유체이탈’을 한다. 왜 유체이탈을 하느냐 하면, 나한테 막짓을 일삼으려 하는 이는 내가 그이 막짓을 고스란히 받아들여서 ‘싫거나 밉다는 감정’을 시커멓게 일으키기를 바라는 줄 바로 느낄 수 있으니까. 그래서 그이가 실컷 막짓을 하도록 내버려 두고서 가만히 넋으로 그이를 지켜본다. 다만 유체이탈을 하더라도 내 몸이 다치지 않도록 파란거미줄을 쳐 놓는다. 자, 나도 내 하루를 즐겁게 쓰고 싶으니 막짓이 어느 만큼 흘렀으면 “이제 좀 후련하십니까? 저는 제 일로 바빠서 이만.” 하고 고개를 살짝 숙이고서 돌아선다. 막짓에는 대꾸를 할 까닭이 없다. 또 막짓을 일삼는 이는 그이 스스로 막짓을 한 줄 모르기도 한다. 아마 그이들 마음자리에 시커먼 아이들이 스며들어서 마치 허수아비 부리듯 막짓을 시켰을 수 있다. 이러거나 저러거나 숱한 막짓을 지켜보노라면 ‘막짓을 받는 우리가 싫거나 밉다는 마음을 일으켜서 마음자리에 시커먼 기운’이 생기기를 꾀하고, 이 시커먼 기운은 ‘시커먼 것들’이 빨아들여서 숨을 이으려 한다. 이런 얼거리를 읽고서 스스로 차분히 다스릴 수 있다면, 온갖 막짓을 둘러싼 새로운 길을 엿볼 수 있다. 저이는 밑길을 읽지 않으니 막짓을 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아직 밑길을 더 읽거나 깊이 보거나 넓게 살피지 않은 탓에 막짓을 겪기도 한다. 막짓이 아닌 삶짓을, 사랑짓을, 슬기짓을, 이러하여 빛나는 몸짓이 되는 길을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고 느껴서 삭이고 받아들여 살아내어야 할 만하니, 누가 우리한테 찾아와서 막짓을 하는구나 싶다. 내가 왜 글을 쓰는가 하고 스스로 물으면 이런 실마리가 떠오른다. 온누리 온갖 막짓에 얽힌 밑길을 읽고서, ‘싫거나 밉다는 대꾸’가 아닌, 그러한 뒷자리에 흐르는 삶을 이루는 사랑스러운 기운을 하나하나 풀어내어 담는 일을 하는 셈이랄까. 글쓰기 하나로. 1998.12.3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만화책이라 깔보니 : 한국처럼 만화책을 깔보는 나라도 드물리라 본다. 만화가 무엇이고 만화책이 무엇인가를 너무 모르는 터라 만화책을 깔보기도 하지만, 스스로 만화책이 무엇인가 하고 알아보려고조차 하지 않으니 만화책을 얕보기도 한다. 더구나 스스로 만화책을 사서 읽을 생각이 없고, 이렇게 안 하다시피 하니, 만화책을 어떻게 읽고 나누며 알려주고 이야기하고 새롭게 누려서 마음빛으로 삼는 길이 있는가를 영 모르기까지 한다. 만화책은 그림하고 글이 어우러진다. 그림만으로는 못 읽는다. 글로만도 못 읽지. 그림하고 글을 한꺼번에 읽으면서 줄거리를 살펴야 하고, 두 가지를 나란히 마음에 담고서 줄줄이 나아가야 비로소 즐긴다. 다시 말해, 그림도 글도 알뜰히 여미지 못한다면 좀 어설픈 만화책이 된다. 그림이며 글을 함께 알뜰히 여미도록 갈고닦거나 힘쓰거나 익힌 뒤에라야 만화책을 지을 수 있는 셈이다. 곧, 만화책을 그리는 님이라면 그림님이면서 글님이다. 두 가지를 함께 잘해야 하는데, 두 가지를 잘하기만 해서는 또 만화책이 덜 여문다. 왜 그럴까? 두 가지를 잘한 다음에 또 잘해야 하는 대목이 있으니, 그림하고 글 가운데 어느 하나만 두드러지지 않도록 찬찬히 다스려야 한다. 그림만 앞서지 않고, 글만 앞서지 않으며, 둘이 사이좋게 어깨동무를 하듯 흐르도록 칸칸을 엮을 줄 알 때에 비로소 ‘만화님(만화 작가)’이란 이름을 얻는다. 만화책을 ‘애들이나 보는 책’쯤으로 친다든지, 열 자락 스무 자락 쉰 자락으로 잇는 기나긴 만화책은 아예 거들떠보지 않는다든지, 이른바 한국에서 만화책을 꾸준히 내는 ‘학산문화사·서울문화사·대원사 만화책은 추천도서 심사에서 처음부터 뺀다’든지, 이런 짓을 한다면 만화라는 밭에서 아무 맛을 못 보리라. 가만 보면 한국에는 만화책을 제대로 읽어서 제대로 느낌글을 쓰거나 알리는 글님(기자나 작가)도 찾아볼 수 없다. 하도 알쏭달쏭한 한국이란 나라인 터라, 아름만화를 뽑아서 하나하나 알리거나 밝히는 글(비평)을 써서 곳곳에 보내기도 하는데, 만화책을 다루는 글(비평)은 다들 싫어하더라. 만화책이 사람들 생각날개를 얼마나 한껏 키우거나 북돋우며서 살리는가 하는 대목을 다들 안 읽거나, 어쩌면 가로막거나 틀어막으려고 하더라. 만화책이란, 생각날개를 그림하고 글로 사이좋게 북돋우면서 스스로 새로운 생각빛으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2019.11.7.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사춘기 걱정 : 사람들은 ‘사춘기’를 걱정한다. 왜 걱정해야 할까? 죽음을 걱정하듯 걱정하지 싶으나, 굳이 걱정해야 할까? 우리한테 찾아온다면 죽음이든 사춘기이든 기꺼이 맞이하면 될 노릇 아닌가? 죽음이나 사춘기가 저 앞에 있으니 오늘 이곳에서 싫은 낯이나 미운 얼굴로 짜증을 내며 살아야 하나? 어른들은 아이들을 보며 ‘고3병’이라느니 ‘고2병’이라 하다가 ‘중2병’이란 말까지 지어서 쓴다. 참 철딱서니가 없는 모습이다. 왜 푸르디푸른 아이들한테 이런 ‘앓이(병)’란 말을 끼워맞추려 할까? 그렇잖아도 입시지옥으로 힘든 아이들을 굳이 아프게 몰아세워야 할까? 모든 아이들은 봄날을 지나간다. 봄날이다. 사춘기가 아니다. 모든 아이들은 꽃철을 거친다. 꽃철이다. 사춘기도 중2병도 아니다. 2005.11.5.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나이 : 삶에 걸맞게 바라보는 나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어릴 적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떤 살림이요 손길이었을까? ‘늙어 가는’ 몸에 붙이는 나이 이름보다는 ‘생각이며 마음이 깊고 넓어 가는 결’을 살피는, 우리 나이 이름을 지으면 좋겠다. 나는 ‘이립’이니 ‘불혹’이니 하는 이름이 뭔지 모르겠다. “의젓한 나”이고 싶으며 “홀가분한 나”이고 싶다. “고운 나이”를 살고 “사랑 나이”를 살림하면서 “온길을 가로지르는 나이”로 날아오르고 싶다. 1994.5.17.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그것밖에 못 읽는다 : 그것밖에 못 읽는다면, 그것밖에 귀를 안 열었다는 뜻이니, 이이한테 더 입을 열어 본들 더 들어갈 수 있는 이야기가 없다. 굳이 입이 아프게 덧말을 하지 말 노릇이다. 그것밖에 못 읽는다면, 그래도 그것이나마 귀를 열고서 읽는다는 뜻이니, 이이로서는 그것이라도 읽도록 지켜보면 된다. 다른 이야기나 새로운 이야기나 이어지는 이야기가 수두룩하지만, 그것만 읽는 눈빛인 그이한테 구태여 다른 이야기나 새로운 이야기나 이어지는 이야기를 들추지 말자. 자칫 그이는 뒤죽박죽이 되어 그나마 그것이라도 읽은 머리가 터져 버릴 수 있다. 1994.10.15.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