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수레아이 : 우리 집 두 어린이는 아기수레에 탄 적이 없다. 두 어린이는 어머니나 아버지가 업거나 안은 품에서 자랐다. 언제인가 곁님이 말했다. “아기를 수레에 태우는 짓은 차마 못하겠어요. 우리나라는 가뜩이나 길이 안 좋아서 반반한 길이 없어 수레를 밀면 덜덜 떨릴 텐데, 아기를 수레에 태우면 아기는 내내 덜덜 떨리는 채 살아야 해요.” 두 아이를 낳기 앞서 혼자 살 무렵에는 늘 자전거를 탔기에 우리나라 길바닥에 얼마나 엉터리인지 잘 안다. 곁님 말마따나 엉터리투성이 길바닥에서 아기수레를 굴리자면 아기는 수레를 벗어나는 날까지 ‘덜덜덜거리는 길바닥’에서 둘레를 쳐다보아야 한다. 잠인들 제대로 잘까? 포대기나 처네에 감겨 어머니나 아버지한테 업히는 아기는 온누리에 둘도 없이 해맑은 낯빛이기 마련이다. 아기를 업은 어버이는 한여름에도 땀을 뻘뻘 흘리면서 아기를 업어야 하는데, 우리 집 두 아이를 떠올리노라면, ‘아기는 어버이 땀내음에 밴 싱그러운 사랑’을 고스란히 받아먹으면서 착하고 아름답게 크는구나 싶다. 업혀서 자라는 아기는 어버이를 사랑하고 이웃을 아끼는 마음을 저절로 배운달까. 이와 달리 수레에 덜덜덜 끌리면서 보내야 하는 아기는 어버이를 사랑하기 어렵겠다고 느낀다. 내내 덜덜 떨리면서 길바닥을 구르면서 시끄럽고 고단하니 자꾸 악에 받치고 사나운 마음으로 바뀌는구나 싶다. 아기를 수레에 앉히지 않으면 좋겠다. 아기수레가 아예 없으면 좋겠다. 아기는 안거나 업으면 좋겠다. 어버이는 아기를 안거나 업기만 하면서도 아기한테 사랑을 가르치면서 물려주고, 아기는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배우면서 물려받으니까. 수레에 탄 아기는 뭘 보고 느낄까? 덜덜질 빼고 뭐가 있을까? 2020.6.26.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길잡이 : 생각해 보면, 슬기로운 길잡이는 과학책도 만화책도 사진책도 그림책도 시집도, 그 어느 책도 가리지 않고 읽는다. 길잡이라는 사람은 가릴 까닭도 일도 자리도 없겠지. 처음부터 한켠으로 기울지 않고, 나중에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비로소 길을 볼 테니까. 길잡이라면 스스럼없이 마주한다. 길잡이라서 선선히 맞아들인다. 길잡이일 적에는 받아들이는 바람에 새롭게 마음을 얹어 따스하거나 너그럽게 바꾼다. 스스로 배울 대목은 배우고, 즐길 대목은 즐기고, 노래할 대목은 노래하면서 살림을 짓는 길을 가기에 길잡이라고 할 만하다. ‘아는 길만 가는 사람’은 길잡이가 아니다. 아는 길만 가는 사람은 ‘종’이거나 ‘심부름꾼’이거나 ‘허수아비’이거나 ‘쳇바퀴·톱니바퀴’이다. 길잡이는 알든 모르든 어느 길이든 간다. 왜냐하면, 길잡이는 길잡이 스스로뿐 아니라 우리한테 ‘판에 박히거나 틀에 박히거나 뻔하거나 똑같거나 되풀이하거나 쳇바퀴를 돌거나 제자리걸음을 시키는 길’이 아닌 ‘어제 갔던 길도 새롭게 보도록 이끄는 길’로 다스려 내는 사람이거든. 1991.3.5. ㅅㄴㄹ


+ + +


道しるべ:考えてみると、賢い道しるべは、科学の本も漫画も写真本も、絵本も、詩集も、どの本も区別なく読む。 道しるべという人はわきまえるわけも仕事も席もないだろう. 片方に偏らず、後に片方に偏らず、初めて道を見ることができます。 道しるべなら気兼ねなく向き合う。 道しるべなので快く迎え入れる. 道しるべである時は受け入れたため、新しく心を入れ替えて暖かく寛大に変える。 自ら学ぶべきことは学び、楽しむことは楽しみ、歌うべきことは歌いながら、生活を営む道を行くのに道しるべと言える。 「知る道だけ行く人」は、道案内人ではありません。 知る道を行く人は「奴隷」か「使い魔」か「案山子」か「車」か「歯車」だ。 道しるべは知るか知らんがどの道を行く。 なぜなら、道しるべは道しるべ自らだけでなく、私たちに「板にはまったり型にはまったり同じだったり、繰り返したり、車輪を回ったり、足踏みさせたりさせる道」ではなく、「昨日行った道も新しく見えるように導く道」として治める人だから。 1991.3.5. (作 : 森の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글쓰기’를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잘할 만하느냐고, 글을 좀 쓰고 싶다고 묻는 분한테는 언제나 ‘말하기’를 하자고 이야기한다. ‘말하기’를 할 줄 알면 누구나 ‘글쓰기’가 된다고 이야기하지. 말이랑 글은 다르지 않느냐고 으레 되묻는데, 나는 “말이랑 글이 왜 달라야 하지요?” 하고 거꾸로 되묻는다. 모든 글은 말에서 비롯하니까, 말하기를 할 줄 아는 사람은 글쓰기를 할 줄 안다. 자, 보라. 나는 혀짤배기에 말더듬이인 몸을 입고 태어났다. 그래서 나는 혀짧은 소리를 내고 더듬더듬 말했다. 이제 이 말씨를 매우 많이 가다듬었는데, 혀짧은 소리를 가다듬는 동안 내 말씨뿐 아니라 글씨를 저절로 가다듬었다. 말더듬는 소리를 추스르는 사이 내 말씨에다가 글씨를 어느덧 추슬렀다. 못난 말씨나 글씨란 없다. 혀짧배기 소리가 나면 이 소리대로 말하면 되고, 이렇게 글을 쓰면 된다. 맞춤길이나 띄어쓰기가 엉망이어도 좋다. 사투리를 써도 아름답다. 사투리를 억지스레 서울말로 고쳐서 말하거나 글로 옮겨야 하지 않거든. ‘있습니다’ 아닌 ‘있음니다’로 써도 대수롭지 않다. 틀린 글씨라서 틀린 생각이 되지 않는다. 그저 몇 군데가 슬쩍 소리가 새거나 다른 모습일 뿐이지. 우리가 나누는 말에는 ‘번듯하거나 듣기 좋은 말씨’가 아닌 ‘서로 나누고 싶은 생각하고 사랑하고 뜻하고 꿈’이 흐르면 된다. 투박하거나 어설프거나 좀 드세거나 여려도 좋다. 모두 좋다. 우리는 모두 다르게 생겼고 다르게 살아가는 사람이니, 다 다른 말씨로 이야기를 하고, 다 다른 글씨로 옮겨쓰면 될 뿐이다. 다른 사람을 흉내내면 글쓰기도 말하기도 아니다. 다른 사람 꽁무니를 좇으면 내 글도 네 글도 아니다. 이웃을 사랑하되 우리부터 스스로 사랑할 일이다. 투박한 우리 말씨를 사랑하자. 사투리가 푼더분한 우리 말씨를 사랑하자. 혀짤배기에 말더듬이인 나를 사랑하자. 쭈뼛거리거나 망설이는 우리를 사랑하자. 이런저런 잘못을 저지른 일 때문에 멍울이 있거나, 이래저래 마음이 다쳐서 괴롭다면, 이 모든 멍울하고 생채기를 사랑하자. 그리고 고스란히 말씨로 옮기고 글씨로 담자. 그러면 된다. ‘있는 그대로 글쓰기(말하기)’가 아니라 ‘스스로 사랑하며 글쓰기(말하기)’이다. 나는 사내여도 깡똥치마를 입고 웃으면서 돌아다니고 춤춘다. 둘레를 보라. 가시내이면서 긴바지를 입고 머리카락을 짧게 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가시내여도 바지가 좋으면 바지를 입으면 된다. 사내여도 치마가 좋으면 치마를 두르면 된다. 대수로울 까닭이 없다. 몸매가 미끈해야 치마를 두른다고? 아니다. 즐겁게 춤추며 노래하고 싶으면 바지이든 치마이든 마음이 끌리는 대로 걸치면 된다. 남이 잘 보아주거나 책을 내거나 신춘문예에 뽑히거나 등단을 할 만한 글을 써야 하나? 아니다.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 우리 꿈·사랑·삶을 눈물웃음으로 적바림하면 되는 글이다. 이리하여, 이러한 글쓰기인데, 한 가지를 보탤 만하다. “보고 그리고 노래하고”이다. 먼저 가만히 본다. 다음으로 차분히 그린다. 그리고 신나게 노래한다. 글쓰기 석걸음은 이렇다. 2020.6.9.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몸나이 : 어느 나이라 하더라도, 마음에 품은 빛에 따라 늘푸름으로 오늘을 맞이하겠지. 열 살이어도 다 죽어 가는 얼굴이 될 적이 있고, 여든 살이어도 피어나는 꽃낯이 될 적이 있다. 오늘날 이 나라 어린이는 열 살에도 학교·학원·숙제 짐이 무시무시해서 늙은이 얼굴이나 말씨이곤 하다. 풀꽃나무를 늘 마주하면서 상냥히 어루만지는 손길이라면 여든이건 아흔이건 참말로 빛내는 얼굴로 해맑게 웃음짓는 노래가 흐르곤 한다. 몸나이란 부질없다. 마음나이를 보아야 사람다운지 아닌지 알아챈다. 1998.5.3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반기다 : 좋으니 반긴다. 좋아하니 반긴다. 사랑스럽기에 반기고, 설레거나 기다리면서 반긴다. 좋지 않은데 반기지 않고, 좋아하지 않으니 반기기 어렵다. 사랑이 아니기에 반길 마음이 없고, 설레거나 기다릴 뜻이 없는데 반기지 않겠지. 마음을 산뜻하면서 따사롭게 띄울 줄 안다면, 갑작스레 찾아오는 발걸음이라도 반기고 싶다는 생각을 일으키겠지. 2020.5.3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