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사전


주파수 : 이 지구라는 별에서 사람이 가장 낮은 결(주파수)이라고 느낀다. 사람은 스스로 ‘만물의 영장’이란 말을 함부로 쓰는데, ‘모든 목숨붙이 우두머리’라 하면서 어떻게 파리나 모기가 들려주는 말을 못 들을까? 고양이나 개가 들려주는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더러 있으나, 웬만해서는 못 알아듣는다. 사람은 개미나 풀벌레를 낮춰보지만, 막상 개미나 풀벌레는 사람보다 높은 결(주파수)이지 싶다. 생각해 보자. ‘사람눈으로만 따지며, 고양이나 개나 코끼리나 고래도 개미나 풀벌레가, 사람말을 못한다’고 여기지만, 거꾸로 ‘고양이나 개나 코끼리나 고래나 개미나 풀벌레가 주고받는 말을 모르는 사람’이 아닌가? 사람은 아무것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서 엉뚱하게 다른 숨결을 깎아내리는 말을 일삼지 않는가? 우리들 사람은 스스로 결(주파수)을 끌어올려야 비로소 파리나 모기하고 이야기를 하겠지. 결을 안 끌어올리면 코끼리나 고래나 개미나 풀벌레하고 마음으로 이야기를 끝내 못하겠지. 2019.9.2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읽기 사전


쇠사슬 : 우리 몸은 쇠사슬에 친친 감기곤 한다. 첫째, 사회·정부·학교·마을·집에서 쇠사슬을 감는다. “그건 하면 안 돼”라든지 “그렇게 하면 넌 안 받겠어” 같은 틀을 세워서 쇠사슬을 감는다. 이를테면 “여자라 안 돼”나 “남자라 안 돼” 하면서 쇠사슬을 감는다. 한국에서는 “머리가 길면 불량해”나 “치마가 짧으니 불량해” 같은 쇠사슬도 참 오래 있었다. 그런데 사회·정부·학교·마을·집에서 쇠사슬을 감으려 할 적에, 그만 우리 스스로 쇠사슬을 감기도 한다. 우리가 스스로 감은 쇠사슬은 사회·정부·학교·마을·집이 감은 쇠사슬보다 더욱 단단하고 무시무시하다. 이른바 ‘자기검열’이자 ‘자기학대’이다. 남이 나를 가두는 쇠사슬도, 내가 나를 가두는 쇠사슬도, 누구나 말끔히 홀가분히 끊어내면 좋겠다. 2019.9.2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노래] 외국사람


1994.4.6. “미국사람이에요?” 버스를 기다리는데 일곱 살쯤 되어 보이는 아이가 나를 빤히 쳐다보다가 묻는다. 옆에서 아이 아버지가 “야, 그런 말은 묻는 게 아니야.” 하고 말하지만, 아이는 내 얼굴을 빤히 쳐다보며 내 말을 기다린다. 나는 빙긋 웃으며 “우리 아가씨, 내가 미국사람이라면 한국말로 물어보면 못 알아들을 테지요? 그런데 한국말을 잘 하는 미국사람도 있어요. 아저씨는 별나라에서 왔어요.”


2001.5.4. “웨어 아 유 컴 프럼?” 매우 엉성한 영어로 누가 나한테 묻는다. 나는 “와이?” 하고 대꾸한다. 내가 어느 나라에서 왔든, 내가 어느 나라 사람이든 그이가 왜 궁금해야 할까. 생각해 본다. 외국사람을 처음 보았기에 그 외국사람이 가는 길을 멈춰세우고서 “웨어 아 유 컴 프럼?”이라고 물어도 되는가?


2009.6.7. “어느 나라 사람이세요?” “저는 푸른별에서 온 사람입니다.” “네?” “저는 다른 나라에서 오지는 않았고요, 다른 별에서 왔습니다.” “어, 어, 어.” 내가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이라면 적어도 영어로 물어보면 좋겠다. 이제 이런 물음이 지긋지긋해서, 아니 지긋지긋해 하지 않기로 생각하면서, 즐겁게 생각하자고 여기니, 어떻게 대꾸하면 될는지 떠올라서 ‘나는 다른 나라가 아닌 다른 별에서 온 사람입니다’ 하고 대꾸를 하자고 생각한다.


2019.8.30. “헬로우, 테이크 픽쳐 오브 미. 예스? 원 모어? 투, 쓰리.” 나는 아무 대꾸를 하지 않고서 그이가 내미는 사진기를 받아서 사진을 찍어 준다. 나더러 사진을 찍어 달라고 하는 분은 내가 옆에 있는 사람하고 ‘한국말로 말한 모습’을 보았는데도, 굳이 영어로 묻는다. 그이는 그이 딴에 점잖게 묻는 셈일는지 모르나, 참 멋도 모르는 셈이다. 외국 아닌 한국에서라면 한국말로 물어볼 노릇 아닌가. 그리고 나 말고 옆에 다른 사람도 많았는데, ‘한국사람으로 보이는 사람’한테 한국말로 물으면 될 테고. 어쩌면 영어를 써 보고 싶어, 그이 눈에 ‘한국사람처럼 안 보이는 사람’인 나를 부러 콕 집어서 영어를 읊었는지 모른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노래] 심사평


2019.8.30. 국립한글박물관에서 2019년에 다섯걸음을 맞이하는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편지 공모전’을 열었다고 한다. 온나라 어린이가 보낸 손글씨 글월이 어마어마하다고 한다. 그 어마어마한 손글씨 글월 가운데 꼭 하나만 ‘대상’으로, 꼭 여섯만 ‘으뜸’으로, 꼭 스물만 ‘버금’으로 가리는 일이란 터무니없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누구는 뽑고 누구는 안 뽑고, 이런 말을 들을 수 있겠구나 싶은데, 따지고 보면 손글씨로 느낌글을 쓴 모든 어린이는 공모전에 보내기 앞서 스스로 종이에 저희 생각을 얹으면서 기쁨을 누렸으리라 여긴다. 상을 받으려고 쓴 손글씨 느낌글이 아닌, 스스로 삶이 피어나는 보람을 맛본 손글씨 느낌글이라고 할까. 이리하여 스물일곱 글자락을 애써 고르면서 다음처럼 ‘심사평’이라는 글을 손글씨로 남겨 보았다.


“책이란 우리 마음이 새롭게 나아가도록 이야기로 북돋우는 씨앗이라고 느껴요. 어린이 여러분은 저마다 즐겁게 이야기씨앗을 마음에 품으면서 즐거웠을 테지요? 손으로 쓴 느낌글에는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심은 씨앗뿐 아니라, 글씨라는 씨앗, 바로 ‘글이 씨가 되어 이야기로 꽃이 피는 사랑’을 담는 보람도 누렸으리라 생각해요. 누구보다도 잘 쓰려는 글이 아닌, 가장 잘 알려진 책을 골라서 읽는 길이 아닌, 어린이 여러분이 스스로 믿고 사랑해서 곱게 아끼는 숨결을 찬찬히 헤아리는 자리였기를 바랍니다. 1학년부터 6학년 어린이까지 저마다 다른 꿈·걱정·사랑·시샘·슬픔·괴로움·바람·아쉬움을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비록 대상·으뜸·버금 같은 이름을 붙였습니다만, 모든 글은 ‘꽃글’이었어요. 버금 자리에 들지 않았어도 어김없이 ‘꽃글’입니다. 이 꽃글을 늘 기쁘게 어린이 여러분 마음에 담으면 좋겠어요. 하루하루 노래하는 걸음으로 배우고 익혀서 펼쳐 보셔요. 어른은 아이를 가르치지만, 거꾸로 아이한테서 배우기에 어른이랍니다. 두 손 가득 아름다이 피어나는 오늘을 듬뿍 품고 가득 나누어 보셔요. 고맙습니다. 숲에서 태어난 바람 한 줄기를 모든 분들한테 띄웁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노래. 다시


1996.1.6. “다시 하겠습니다!” “뭘 다시 해? 이 ○○○○○야! ○○○○ ○○○가 어디에서 말대꾸야!” “죄송합니다. 다시 하겠습니다!” 한 사람은 이 한겨울에 더욱 차가운 내무반 바닥에 대가리를 쿵쿵 소리를 내며 박고 버티면서 “죄송합니다. 다시 하겠습니다!” 하고 외치고, 다른 한 사람은 머리박기를 하는 사람을 군홧발로 있는 힘껏 걷어차면서 갖은 막말을 끝도 없이 늘어놓는다. 다시 하겠다는 데에도 그토록 두들겨패야 할까. 너희가 이등병이나 일등병일 적에 그렇게 얻어맞고 살아서 너희가 병장이란 작대기를 넷 달면 그렇게 죽도록 두들겨패야 할까. 그런데 있잖아, 너희들, 다시 살고 싶지 않니? 발길질도 막말질도 따귀질도 없는 고요하며 사랑스러운 나라에서 다시 살고 싶지 않니?


2009.3.8. “다시 빨면 돼.” 새로 빨아서 보송보송 말린 이불에 아이가 쉬를 신나게 누어 주셨다. 내 입에서 나오는 말은 한 마디 “다시 빨자.” 신나게 이불빨래를 한다. 오줌쟁이 아이는 아버지가 뭘 하나 갸웃갸웃 구경하더니 저도 발로 복복 이불을 밟으면서 물놀이를 하고 싶은 눈치이다. 그래, 이불빨래가 아니라 물놀이란다. 이불을 빨래한다는 핑계로 아직 물이 꽤 차가운 이 삼월에도 즐기는 물놀이란다.


2013.12.14. 꼭 마흔 살 먹은 그림책을 다시 장만한다. 일본에서 1973년에 처음 나오고 한국에서 2008년에 처음 옮긴 그림책인데, 몇 해 앞서 한 자락 장만했는데, 도무지 어디에 두었는지 못 찾아서 다시 장만하기로 한다. 아이들은 아버지가 그림책 하나 다시 장만한 줄 모른다. 그동안 찾던 책이 짠 하고 나타나니 반가울 뿐이다. 어디엔가 있는 책을 다시 산다면, 같은 책을 집에 두 자락 건사하는 셈일 텐데,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 책이라면 두 자락 아닌 석 자락이나 넉 자락이 있어도 즐겁다고 느낀다. 아이들과 살아가며 새롭게 느낀다. 하나는 예쁘게 건사하는 책으로 삼아, 아이들이 자라 어른 되어 저희 아이를 낳을 적에 물려주거나 선물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아이들이 자라는 동안 닳고 낡도록 신나게 들여다보는 책으로 삼을 수 있다. 예전에는 ‘같은 책 다시 살 돈’이 있으면 ‘새로운 다른 책을 하나 더 사자’고 여겼지만, 이제는 굳이 이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새로운 다른 책을 장만할 돈은 언제라도 새롭게 벌어서 누릴 수 있다고 깨닫는다. 스스로 돈이 없다고 생각하니 새로운 책을 장만하지 못한다고 깨닫는다. 나한테는 내가 즐겁게 읽고픈 책을 모두 읽을 수 있을 만큼 넉넉한 살림이라고 생각할 때에 비로소 책을 장만할 만하다고 깨닫는다. 왜냐하면, 한 달에 오백만 원이나 천만 원을 번다 하더라도 이것 하랴 저것 하랴 한 달에 책값 만 원조차 못 쓰는 사람이 있다. 한 달에 천만 원 벌면서 이웃돕기에 만 원을 못 쓰는 사람이 있다. 한 달에 이십만 원이나 오십만 원 벌면서 이웃돕기에 만 원을 잘 쓰는 사람이 있지. 우리 집 살림을 돌아보면 한 달에 십육만 원 벌던 신문배달부 적에도 다달이 구만 원을 적금으로 부으면서 남은 돈으로 책을 사서 읽곤 했다. 돈이 아니라 마음에 걸린 일이 책읽기라고 할까. 마음이 있을 적에 책을 장만한다. 마음이 있을 적에 책을 펼쳐 읽는다. 마음이 있을 적에 책에 서린 넋을 즐겁게 받아안는다. 마음이 있을 적에 책 하나 읽으며 삶을 새롭게 가다듬어 스스로 거듭난다. 마음이 없을 적에는 책을 장만하지 않는다. 마음이 없을 적에는 책을 펼칠 틈이 없다고 여긴다. 마음이 없을 적에는 애써 책을 읽어도 책에 서린 넋을 제대로 맛보거나 살피지 못한다. 마음이 없을 적에는 책 하나 읽으며 스스로 삶을 새롭게 가꾸지 못한다. 둘레 이웃들 누구나 마음 느긋하고 넉넉하며 아름답게 하루를 누릴 수 있기를 빈다. 마음이 느긋하고 넉넉하며 아름다울 적에 비로소 책을 읽으며, 다른 이웃한테 사랑스레 손길을 건넬 수 있고, 이 지구별을 푸르게 가꾸는 빛을 베풀 테니까.


2014.1.4. 경상남도 진주에 있는 헌책집 〈소소책방〉에 들렀는데, 마침 《스타가 되고 싶어?》 1권과 2권이 있다. 아, 강경옥 님 옛날 만화책이네. 고등학생 때 읽은 만화책인데 아주 새삼스럽다. 아무 망설임 없이 장만한다. 숱하게 읽은 만화책이고, 우리 책숲에도 갖춘 만화책이지만 다시 장만한다. 차근차근 읽는다. 고등학생이던 지난날 느낌을 떠올리고, 마흔 살 오늘날 느낌을 되새긴다. 아름답구나. 예쁘구나. 이런 이야기를 그무렵 푸름이는 얼마나 두근두곤 설레면서 읽었던가. 강경옥 님 만화를 놓고서 얼마나 오랫동안 신나게 수다를 떨었던가. 그런데 1993년에서 스무 해가 흐른 2013년에 강경옥 님 만화책 가운데 《설희》를 표절한 연속극이 공중파에서 흐른다. 적잖은 사람들은 표절이고 아니고를 안 따지면서 공중파 연속극을 즐긴다고 한다. 더 많은 사람들은 표절인 줄 아닌 줄 하나도 모르면서 공중파 연속극에 사로잡힌다고 한다. 아름다움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사람은 예나 이제나 아름다움을 사랑스러운 빛으로 선보인다. 꿈씨앗을 마음밭에 심으며 살아가는 사람은 어제도 오늘도 꿈씨앗을 스스로 가꾸고 돌보면서 하루를 맑게 빛낸다.


2019.8.7. 달포쯤 앞서부터 몇 해 만에 다시 쓰는 글이 있다. 전국 곳곳 헌책집이 눈에 뜨이게 사라지면서 ‘헌책집 이야기’를 글로 쓰기가 몹시 힘들었다. 어느 곳은 미처 다시 찾아가지 못했는데 그만 문을 닫아서 끝절을 못하기도 했고, 어느 곳은 헌책집지기가 조용히 눈을 감으면서 문을 닫기도 했다. 이밖에 다른 아픈 일이 있어서 몇 해 동안 ‘헌책집 이야기’를 안 썼다고도 할 텐데, 나로서는 한국말사전을 새로 쓰는 데에 온힘을 쏟느라 한동안 못 썼다고도 할 만하다. 전남 고흥이란 두멧시골에서 살며 어찌 헌책집으로 마실을 다니고 이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겠는가. 한 해에 고작 서너 곳조차 가까스로 다니면서 헌책집 이야기를 쓰기 어렵더라. 그런데 아이들을 낳고 돌보면서 못 쓰고 미룬 글이 많다. 2008년에 다닌 헌책집을, 2012년에 다녀온 헌책집을, 2014년에 다녀온 헌책집을, 또 2018년에 다녀온 헌책집을 그저 미적미적하면서 그때 그곳 이야기를 안 쓰고 지나갔다. 이제 이 해묵었다 싶을 이야기를 하나씩 틈을 내어 써 놓으려고 한다. 비록 이제 아무도 다시 찾아갈 수 없는 사라진 헌책집 이야기라 하더라도, 어쩌면 그만 사라지고 만 헌책집 이야기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 헌책집이 책을 사랑하고 꿈꾸던 맑고 밝은 숨결을 새롭게 살려서 쓰고 싶다. 속이 저리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