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쑥 책읽기

 


  오천 해를 자랑한다는 한겨레 옛이야기를 살피면, 범과 곰이 마늘이랑 쑥을 먹고 사람이 되려 하는 대목이 있다. 그래, 범과 곰은 마늘이랑 쑥 두 가지를 먹고 숲속에서 빗물과 햇살과 풀밭에서 지내면 ‘사람이 되는’구나. 그러면, 우리들 사람도 마늘과 쑥을 꾸준히 먹을 때에 사람다운 빛을 보여준다고 할 만할까? 마늘과 쑥을 늘 먹지 못한다면 사람다운 빛, 곧 사람빛을 잃는다고 할 만할까?


  그런데, 곰곰이 헤아려 보면, 마늘과 쑥은 ‘사람이 먹는 풀’을 두 가지로 나누어 보여주는구나 싶다. 먼저, 마늘은 ‘사람이 키운 풀’이다. 쑥은 ‘숲에서 스스로 돋는 풀’이다. 곧, 마늘을 들며 ‘사람이 손수 사랑을 담아 돌보며 얻는 고마운 풀’이 있다고 밝히는구나 싶다. 쑥을 들면서 ‘사람 둘레에서 사랑스레 스스로 돋는 고마운 풀’이 함께 있다고 보여주는구나 싶다.


  다시 말하자면, 사람은 스스로 씨앗을 심어서 돌보는 풀 한 가지하고, 숲에서 스스로 씨앗을 맺고 흙으로 드리우면서 씩씩하게 돋는 풀 두 가지, 이렇게 나란히 섞어서 먹을 때에 아름다운 빛이 된다는 이야기라고 느낀다.


  이를테면, 마늘과 벼와 보리와 수수와 서숙과 무와 오이 같은 여러 가지는 사람이 사랑을 들여 심어서 거두는 고마운 먹을거리이다. 쑥과 냉이와 질경이와 민들레와 고들빼기와 미나리와 부추와 도라지 같은 여러 가지는 사람이 씨앗을 안 심어도 스스로 씩씩하게 돋아서 얻는 고마운 먹을거리이다.


  하나는 스스로 일구고, 다른 하나는 숲에서 얻으라는 사람살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뿌리거나 나누는 사랑이 하나 있고, 다 함께 어우러지는 지구별에서 샘솟는 사랑이 둘 있구나 싶다. 4346.7.1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꽃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아지풀 책읽기

 


  강아지풀 하나 있으면 온갖 놀이 즐길 수 있다. 강아지풀 하나로 오랫동안 놀이를 즐긴다. 강아지풀 한 포기 꺾어 귓등에 꽂거나 머리에 꽂는다. 강아지풀 살살 쓰다듬으며 얼마나 보드랍고 따사로운가를 느낀다. 강아지풀로 아이들 귀와 목과 코를 간질인다. 강아지풀을 들고 달리면서 바람 따라 나풀나풀 휘는 모습 바라본다. 아이들은 강아지풀 놀이를 하고, 어른들은 강아지풀 놀이를 물려준다. 4346.7.8.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꽃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걀꽃 예쁜 빛

 


  꽃을 꽃으로 바라보면 예쁘다. 사람을 사람으로 마주하면 아름답다. 아이를 아이로 바라보고, 어른은 스스로 어른다이 살아가면 저마다 곱다. 돈으로 사고파는 꽃이 아니라, 철에 맞추어 피고 지는 꽃이다. 돈을 벌거나 써야 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랑을 지어 삶을 일구는 사람이다. 학습하고 공부하며 지식쌓기 해야 하는 아이들이 아니라, 꿈과 사랑을 물려받아 즐겁고 신나게 하루를 누릴 아이들이다.


  달걀꽃을 달걀꽃 그대로 바라본다. 흔히 달걀꽃이라 가리키기도 하지만, 달걀치고는 참 작다. 달걀꽃이라기보다는 메추라기알꽃쯤 되어야지 싶고, 크기만 따지자면 제비알꽃이나 참새알꽃이라고 하면 되려나.


  작은 꽃들이 한껏 무리지어 피어난다. 작은 꽃들이 셀 수 없도록 많이 한꺼번에 피어나 무리짓기에 하얀 물결이 흐르듯 바람에 살랑거리며 꽃내음 풍긴다. 꽃내음은 우리 집안을 감돌다가 마을을 감싼다. 꽃내음은 우리 집을 비롯해 마을을 떠돌다가 이웃 마을로 스미고, 온누리 골골샅샅 천천히 퍼진다.


  사람들 살아가는 살림집마다 냄새가 피어난다. 저마다 다른 냄새를 피워서 이웃한테 퍼뜨린다. 우리는 어떤 냄새를 피워서 이웃한테 퍼뜨릴까. 꽃내음을 퍼뜨리는가, 자동차 배기가스를 퍼뜨리는가, 에어컨 뜨거운 바람을 퍼뜨리는가. 이 여름에 우리들은 저마다 어떤 빛이 되어 하루를 짓는가. 4346.7.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꽃과 책읽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04 09:11   좋아요 0 | URL
아...달걀꽃, 이름이 신기하고 귀엽다고 생각했는데
사진을 보니 정말 그렇군요~ ㅎㅎ
달걀부침꽃, 또는 메추리알부침꽃...아고..너무 그런가요~^^ ㅋ

숲노래 2013-07-04 09:26   좋아요 0 | URL
뭐, 그냥 그렇게 예쁜 이름 불러 주어야지요~ ^^

Grace 2013-07-05 20:24   좋아요 0 | URL
꽃이 맘에 들어 퍼가요~
감사합니다.ㅎㅎ
 

달개비꽃 책읽기

 


  달개비를 언제부터 알았는지 잘 떠오르지 않는다. 여름날 조그맣게 맺힌 꽃이 풀밭에 파랗게 아롱지면 으레 걸음을 멈추고 물끄러미 들여다보았다. 웬 꽃이 이리도 작나 하면서 한참 들여다보곤 했다. 어릴 적부터 들에 피는 꽃을 보며 꼭 한 가지 생각이 들었는데, 거의 모든 들꽃은 크기가 참 작다 싶었다. 사람들이 곁에 따로 씨앗 받아 심는 꽃들은, 이른바 한자말로 ‘화초’라 일컫는 꽃은 크기가 참 크다 싶었다. 꽃송이만 너무 큰 꽃을 보면 저 꽃들이 비바람에 어찌 견디노 싶었다. 들꽃은 들에서 살아갈 만한 가장 알맞춤한 크기로 피고 지는구나 하고 느꼈다. 들꽃도 비바람에 지곤 하지만, 드센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에도 안 지기 마련이다.


  달개비라는 이름을 어머니가 가르쳐 주었을까. 학교에서 교사가 가르쳐 주었을까. 아마 어머니가 가르쳐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어머니하고 저자마실을 하다가 풀밭에 아롱진 파란빛 보면서 “어머니, 저기 무슨 꽃이에요?” 하고 여쭈었겠지. 어머니는 “달개비.” 하고 짧게 한 마디만 하셨겠지. 표준말로는 ‘닭의장풀’이라 한다는데, 어릴 적부터 익히 보고 들은 대로 ‘달개비’라는 이름이 늘 마음속에 있다.


  달개비는 우리 집 풀밭이나 마을 들판에서 아주 쉽게 본다. 큰 렌즈 있으면 커다랗게 찍을 수도 있겠지만, 큰 렌즈 없이 작은 꽃을 그예 작게 바라보며 사진으로 담아도 좋다. 작으니까 작게 담을 뿐이다. 그리고, 작은 꽃인 만큼 더 가까이 다가가서 쪼그려앉는다. 작은 꽃이기에 작게 나온 사진을 더 찬찬히 들여다본다.


  그러고 보면, 작은 사람들이 서로 어깨동무하는 까닭을 알 만하다. 작은 사람은 서로서로 작으니 더 가까이 다가선다. 작은 살림 가난한 주머니를 더 가까이에서 살갑게 느낀다. 사랑과 평화와 민주 모두 작은 자리에서 태어나는구나 싶다. 작은 자리에 가까이 다가설 때에 모든 사랑이 깨어난다. 작은 사람 되어 눈을 더 동그랗게 뜨며 물끄러미 바라볼 수 있을 때에 평화가 자란다. 달개비꽃처럼 피고 지면서 민주가 이루어진다. 달개비꽃 같은 마음을 품으면서 지구별에 따스한 바람이 분다. 4346.7.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꽃과 책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04 09:49   좋아요 0 | URL
오늘은 작고 파란
이쁜 달개비꽃, 마음에 담고 사는 하루~.

숲노래 2013-07-04 09:54   좋아요 0 | URL
꽃잎이 살짝 일그러진 달개비꽃을 찍었어요 ^^;;;

오롯하게 펼쳐진 꽃잎인 달개비꽃을 찍을 수도 있었는데...
다음에는 꽃잎 곱게 펼쳐진 달개비꽃도 찍어야겠구나 싶어요.

그러나, 이 사진을 굳이 올린 까닭은,
달개비꽃 찍는 사람들도
어느 모로 보면 좀 '한쪽으로 치우친' 예쁜 모습에만
길들여졌구나 싶은 생각이 들어서예요..
 

여름과 달맞이꽃

 


  한여름으로 접어들면 들판 곳곳에 노란 꽃망울 넘실거리는 키 큰 풀포기 솟는다. 봄에서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봄꽃과 봄풀이 수그러들 뿐 아니라, 장마와 잦은 비에 풀포기가 시들시들하곤 하는데, 바야흐로 한여름으로 접어들면서 한여름 들풀로 자리바꿈을 하는구나 싶다. 이때에 들판을 가득 누비는 여름풀이자 여름꽃으로 달맞이꽃이 퍽 많다. 도시에서는 어떠할까. 도시에서는 달맞이꽃이 얼마나 골목골목 깃들 만할까. 도시에서도 달맞이꽃을 곧잘 만나곤 하지만, 논둑이나 밭둑에서 한꺼번에 올라와 바람 따라 찰랑찰랑 나부끼는 노란 물결을 이루지는 못하리라.


  애기똥풀에 이어 노란 꽃송이로 꽃물결 빛내는 달맞이꽃이 한여름을 불러 더 파란 하늘과 더 하얀 구름과 함께 얼크러진다. 큰아이가 묻는다. “아버지, 쟤는 왜 꽃이 안 피어?” “달맞이꽃은 달과 함께 꽃송이가 벌어져. 그래서 달을 맞이하는 꽃이라는 이름이 붙지.” “엥?” 4346.6.2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꽃과 책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6-28 09:26   좋아요 0 | URL
달맞이꽃 보러,
달님 나오신 밤에.. 꽃 보러 가시겠네요~^^

숲노래 2013-06-28 15:54   좋아요 0 | URL
저녁에는 아이들 재우느라 꽃마실은...
거의 못 나옵니다 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