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하나의


 또 하나의 가족 → 또 한 식구 / 또 다른 식구 / 새로운 식구

 단 하나의 사랑 → 오직 한 사랑 / 오직 하나인 사랑

 하나의 나라 → 하나인 나라 / 하나된 나라 / 한 나라

 하나의 중국 → 한 중국 / 하나인 중국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 세포 하나가 어떻게

 하나의 책을 읽고 → 책 한 권을 읽고

 하나의 터부처럼 → 어떤 터부처럼 / 마치 터부처럼 / 터부 가운데 하나처럼


  한국말사전에서 ‘하나’를 살피면 “5. (‘하나의’ 꼴로 쓰여) ‘일종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같은 뜻풀이가 나옵니다. ‘일종(一種)’은 “1. 한 종류. 또는 한 가지 2. 어떤 것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고 ‘어떤, 어떤 종류의’의 뜻을 나타내는 ”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뜻풀이를 살피면, ‘하나의’는 “한 가지”나 ‘어떤’으로 써야 할 자리에 들어선 셈이로구나 하고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흐름을 살펴서 ‘한’이나 ‘하나’나 ‘다른’이나 ‘새로운’을 알맞게 쓸 만하고, ‘-의’가 아니라 ‘-인’을 붙이면 됩니다. 2016.3.6.해.ㅅㄴㄹ



칼날의 또 하나의 면이다

→ 칼날에서 또 다른 쪽이다

→ 칼날에서 뒤쪽이다

→ 또 다른 칼날이다

《로맹 롤랑/장만영 옮김-톨스토이》(신구문화사,1974) 118쪽


하나의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의 악이 없어지리라

→ 악 하나를 뿌리뽑아라, 그러면 악 열이 없어지리라

→ 악 한 가지를 뿌리뽑아라, 그러면 악 열 가지가 없어지리라

→ 한 가지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 가지 악이 없어지리라

→ 한 악을 뿌리뽑아라, 그러면 열 악이 없어지리라

《톨스토이/박형규 옮김-톨스토이 인생독본 1》(신구문화사,1974) 40쪽


어떠한 낱말도 그 자체로서 하나의 고정된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에 붙박히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으로 굳어지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만을 나타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그대로 한 가지 뜻에 매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한 가지만 뜻하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한 가지 뜻으로만 쓰이지 않는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로운 뜻이 담기는 법이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롭게 쓰이기 마련이다

→ 어떠한 낱말도 새로운 뜻으로 쓰이게 된다

《김우창-궁핍한 시대의 詩人》(민음사,1977) 379쪽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것입니다만

→ 나눌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쪼갤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떼어 놓을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 뗄 수 없는 하나입니다만

《렉스프레스지 엮음/홍순호 옮김-현대 지성과의 대화 1》(중앙일보사,1979) 33쪽


집단적 무의식의 중심 속으로 찾아가는 하나의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복판으로 찾아가는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복판으로 찾아가는 먼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긴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고된 여행이었다

→ 집단 무의식 한가운데로 찾아가는 이른바 여행이었다

《J.L.페리에/김화영 옮김-피카소의 게르니카》(열화당,1979) 51쪽


하나의 보기

→ 한 가지 보기

→ 조그마한 보기

→ 작은 움직임

《분도출판사 편집부 엮음-십자가의 길》(분도출판사,1981) 4쪽


하나의 방향으로 결론짓는

→ 한쪽으로 결론짓는

→ 한 가지로 마무리짓는

→ 한쪽 길로 끝을 짓는

→ 한쪽으로 끝맺는

《반시》(열쇠) 6집(1981) 106쪽


아보지의 경우가 하나의 예외일 거라고

→ 아보지가 예외일 거라고

→ 아보지가 좀 다른 보기일 거라고

→ 아보지가 조금은 다를 거라고

→ 아보지가 다르다고

→ 아보지가 다른 사람이라고

《오다 마코토/양선하 옮김-오모니》(현암사,1992) 43쪽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하나의 구심력을 갖는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구심력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힘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 마음에 무게 중심이 되는 든든한 힘이 있다는 이야기일 게다

《김병걸-실패한 인생 실패한 문학》(창작과비평사,1994) 13쪽


하나의 건물처럼 보이고

→ 한 건물처럼 보이고

→ 같은 건물처럼 보이고

→ 하나처럼 보이고

《윌리엄 에이어스/양희승 옮김-법정의 아이들》(미세기,2004) 63쪽


또 하나의 학교이기도 하다

→ 또 다른 학교이기도 하다

→ 또 하나 있는 학교이기도 하다

《김용희-선이골 외딴집 일곱 식구 이야기》(샨티,2004) 87쪽


감염주술과 다른 또 하나의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다른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또 다른 주술이다

→ 감염주술과는 다른 새 주술이다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여성 농업인의 삶과 전통문화》(심미안,2005) 26쪽


제3세계에서 하나의 모범이 되고자 했다

→ 제3세계에서 모범이 되고자 했다

→ 제3세계에서 좋은 보기가 되고자 했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반다나 시바/홍수원 옮김-진보의 미래》(두레,2006) 142쪽


그 아파트 단지가 하나의 도시처럼 여겨졌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도시처럼 여겨졌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도시와 같다고 여겼다

→ 그 아파트 단지가 마치 도시 같다고 여겼다

《이시다 이라/김윤수 옮김-날아라 로켓파크》(양철북,2013) 5쪽


어쩌면 이곳은 하나의 나라가 아닐까

→ 어쩌면 이곳은 한 나라가 아닐까

→ 어쩌면 이곳은 나라와 같지 않을까

→ 어쩌면 이곳은 나라와 같다고 할 만하리라

《이시다 이라/김윤수 옮김-날아라 로켓파크》(양철북,2013) 5쪽


그 자체로 각각 하나의 동사이지만

→ 그대로 따로따로 동사이지만

→ 저마다 따로 동사이지만

→ 저마다 따로 쓰는 동사이지만

《김정선-동사의 맛》(유유,2015) 72쪽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의 시간 속에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인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같은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똑같은 시간으로 흐른다

→ 연어들은 바닷물과 하나로 흐른다

《고형렬-은빛 물고기》(최측의농간,2016) 43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 혼자의 힘


혼자의 힘으로는 할 수 없었던 일

→ 혼잣힘으로는 할 수 없었던 일

→ 혼자서는 할 수 없었던 일

《정숙영·심우장·김경희·이흥우·조선영-옛이야기 속에서 생각 찾기》(책과함께어린이,2013) 40쪽


  혼자 내는 힘이란 ‘혼잣힘’입니다. 혼자서 내는 힘이란 혼자서 어떤 일을 하려고 내는 일이니, 이 자리에서는 “혼자서는”처럼 단출하게 적어도 잘 어울립니다.


순백색의 진눈깨비가 내립니다. 엄마는 진눈깨비를 가을의 비라고 부릅니다

→ 새햐안 진눈깨비가 내립니다. 엄마는 진눈깨비를 가을비라고 합니다

《리타 얄로넨/전혜진 옮김-소녀와 까마귀나무》(박물관,2008) 16쪽


  ‘순백색(純白色)’은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하양을 가리키는데, ‘새하얗다’라는 한국말을 쓰면 ‘-의’가 끼어들 틈이 없습니다. 그리고, 가을에 내리는 비는 ‘가을비’입니다. 봄에는 ‘봄비’이고요.


그림물감에는 없는 이상한 느낌의 색이었어요

→ 그림물감에는 없는 이상한 느낌인 빛깔이었어요

→ 그림물감에는 없는 이상한 빛깔이었어요

→ 그림물감에는 없는 알쏭달쏭한 빛깔이었어요

→ 그림물감에는 없는 아리송한 빛깔이었어요

《다카도노 호코/이서용 옮김-달라도 친구잖아!》(개암나무,2012) 10쪽


  이 자리에서는 ‘-의’가 아니라 ‘-인’을 붙여야 어울립니다. 그리고 ‘느낌의’를 통째로 덜 수 있어요. ‘이상(異常)하다’는 ‘알쏭달쏭하다’나 ‘아리송하다’로 손볼 만합니다.


밖의 움직임이 부산하다

→ 바깥 움직임이 부산하다

→ 바깥이 부산하다

《손관승-그림 형제의 길》(바다출판사,2015) 43쪽


  밖은 ‘밖’이나 ‘바깥’이라 하면 됩니다. 안은 ‘안’이라 하면 됩니다. 따로 ‘-의’를 붙이지 않아도 돼요. 그리고 ‘부산하다’라는 말마디는 움직임을 가리키니까 “바깥이 부산하다”처럼 가볍게 적어 보아도 잘 어울립니다. 2016.3.6.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영리 怜悧/伶俐


 영리한 소년 → 똑똑한 소년

 영리하게 생기다 → 똑똑하게 생기다

 영리하게 대답하다 → 똑똑하게 대답하다 / 똑똑하게 말하다

 머리가 영리하다 → 머리가 똑똑하다 / 머리가 좋다

 아이는 매우 영리했다 → 아이는 매우 똑똑했다


  ‘영리(怜悧/伶俐)하다’는 “눈치가 빠르고 똑똑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 성발(性發)하다”가 덧붙는데, ‘성발하다 = 영리하다’로 풀이해요. 그렇지만 ‘성발하다’ 같은 한자말을 쓰는 사람은 없다고 느낍니다. 


  한국말 ‘똑똑하다’를 살피면 “1. 또렷하고 분명하다 2. 사리에 밝고 총명하다 3. 셈 따위가 정확하다”로 풀이합니다. 이 풀이에서 나오는 ‘총명(聰明)’은 “1. 보거나 들은 것을 오래 기억하는 힘이 있음 2. 썩 영리하고 재주가 있음”으로 풀이해요. 그러니 ‘영리하다 → 똑똑하다 → 총명하다 → 영리하다’로 빙글빙글 돌아요. ‘영리하다’와 ‘총명하다’ 모두 ‘똑똑하다’를 가리키는 한자말이라는 셈입니다. 2016.3.5.흙.ㅅㄴㄹ



얼마나 영리한 녀석인데요

→ 얼마나 똑똑한 녀석인데

→ 얼마나 머리가 좋은 녀석인데

《마리 데플레솅/김민정 옮김-나는 사랑 수집가》(비룡소,2007) 48쪽


영리한 라니는 꾀를 냈습니다

→ 똑똑한 라니는 꾀를 냈습니다

→ 머리 좋은 라니는 꾀를 냈습니다

→ 슬기로운 라니는 꾀를 냈습니다

《데미/이향순 옮김-쌀 한 톨》(북뱅크,2015) 13쪽


모두가 자신을 영리하다고 인정해 주기를 바랐습니다

→ 모두가 저를 똑똑하다고 여겨 주기를 바랐습니다

→ 모두가 저를 머리 좋다고 여겨 주기를 바랐습니다

《로타르 J. 자이베르트/배정희 옮김-나는 곰처럼 살기로 했다》(이숲,2016) 19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공통의


 공통의 과제 → 똑같은 과제 / 모두한테 주어진 일

 이웃들이 겪고 있는 공통의 빈곤 → 이웃들이 겪는 똑같은 가난

 공통의 취미 → 같은 취미 / 똑같은 취미

 인류 공통의 유산 → 인류가 함께 받은 유산 / 인류가 함께 누릴 유산

 부부 공통의 화제 → 부부가 같이 나눌 이야기 / 부부가 함께 나눌 얘깃감

 공통의 적을 가지고 있다 → 똑같은 적이 있다 / 같은 맞잡이를 두다


  한자말 ‘공통(共通)’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여럿 사이에 두루 통하고 관계됨”을 뜻한다고 해요. 둘이나 여럿 사이에 두루 이어지거나 얽히는 일을 가리킨다면 ‘같다’라는 낱말로 담아낼 만합니다. “공통된 태도”라면 “같은 몸짓”일 테고, “공통분모”라면 “같은분모·같은꼴”일 테지요. 2016.3.5.흙.ㅅㄴㄹ



공통의 목적을 향해 가는 데

→ 같은 목적으로 나아가는 데

→ 같은 뜻으로 나아가는 데

→ 한뜻으로 나아가는 데

→ 한마음으로 뜻을 모으는 데

→ 똑같은 길로 나아가는 데

→ 서로 같은 길로 나아가는 데

→ 서로 같은 뜻을 모으는 데

《고다 미로누/장윤·이인재 옮김-숲을 지켜낸 사람들》(이크,1999) 76쪽


공통의 언어와 문화를 가졌고

→ 같은 말과 문화가 있고

→ 똑같은 말과 문화가 있고

→ 다 같은 말과 문화이고

→ 서로 같은 말과 문화이고

→ 한 가지 말을 쓰며 같은 문화이고

《존 맨/남경태 옮김-구텐베르크 혁명》(예·지,2003) 56쪽


노인들의 농사짓는 공통의 화제로

→ 어르신들은 농사짓는 똑같은 이야기감으로

→ 어르신들은 다 같이 농사짓는 이야기를 나누며

→ 어르신들은 저마다 농사짓는 이야기로

→ 어르신들은 서로 농사짓는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공선옥-마흔에 길을 나서다》(월간 말,2003) 210쪽


공통의 관심사가 있으니

→ 같은 관심사가 있으니

→ 똑같이 눈길을 두니

→ 눈길 두는 곳이 같으니

→ 같은 일을 좋아하니

→ 똑같은 일을 하니

《유기억·장수길-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제비꽃》(지성사,2013) 99쪽


신화를 통해서 공통의 신을 섬길 수 있었고

→ 신화를 빌어서 함께 신을 섬길 수 있었고

→ 신화를 세워서 똑같은 신을 섬길 수 있었고

→ 신화를 앞세서 다 같은 신을 섬길 수 있었고

→ 신화를 나누며 서로 같은 신을 섬길 수 있었고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95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파격적


 파격적 방법 → 대단한 방법 / 틀을 깨는 길 / 틀깨기

 파격적 조건 → 엄청난 조건 / 틀을 깬 조건 / 아주 좋은 조건

 파격적 인사를 단행했다 → 놀라운 인사를 했다 / 틀을 깬 물갈이를 했다

 파격적인 대우 → 틀을 깬 대우 / 어마어마한 대우 / 놀라운 대우

 파격적인 옷차림 → 틀을 깬 옷차림 / 생각도 못한 옷차림 / 새로운 옷차림

 파격적인 가격 → 매우 싼 값 / 놀랍게 깎은 값 / 엄청나게 깎은 값

 파격적인 디자인 → 틀을 깬 디자인 / 새로운 디자인


  ‘파격적(破格的)’은 “일정한 격식을 깨뜨리는”을 뜻한다고 해요. 곧 ‘주어진 어느 틀’을 깨뜨리는 일을 가리키는 자리에서 씁니다. 그래서 “격식을 깬” 옷차림이나 디자인이나 조건이나 정책이라고 말할 만합니다. “틀을 깬”이나 “틀을 깨뜨린”이라 할 수도 있어요. 격식이나 틀을 깬다고 할 적에는 ‘놀라운’ 일이요 ‘대단한’ 일이며 ‘엄청난’ 일입니다. ‘어마어마한’ 일도 되고 ‘생각도 못한’ 일이 되지요. 이렇게 어마어마하거나 생각도 못한 일이란 ‘새로운’ 일이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어느 자리에서는 ‘눈부신’ 일이나 ‘돋보이는’ 일이 되기도 합니다. 아무튼 “틀을 깨는” 일이니 ‘틀깨기·틀부수기·틀허물기·틀버리기’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어서 써 볼 만합니다. 2016.3.5.흙.ㅅㄴㄹ



당시로서는 대단히 파격적이었다

→ 그때로서는 대단히 파격이었다

→ 그때로서는 대단한 틀깨기였다

→ 그때로서는 대단히 놀라운 일이었다

→ 그무렵으로서는 꿈도 꾸기 어려운 일이었다

→ 그무렵으로서는 생각도 못한 일이었다

→ 그무렵으로서는 대단한 일이었다

→ 그무렵으로서는 엄청난 셈이었다

《하진희-샨티니케탄》(여름언덕,2004) 61쪽


이러한 지면 할애는 파격적이었다

→ 이러한 지면 나누기는 파격이었다

→ 이러한 지면 나누기는 여태 없었다

→ 이러한 자리 내주기는 틀깨기였다

→ 이러한 자리를 내준 일은 놀라웠다

→ 이러한 자리를 내준 일은 대단했다

→ 이러한 자리를 내준 일은 엄청났다

→ 이만한 자리 내주기는 아주 큰일이었다

《최경봉-우리말의 탄생》(책과함께,2005) 61쪽


파격적으로 대우해 준 것이었다

→ 틀을 깨고 대우해 준 셈이었다

→ 틀을 깨고 맞아들여 준 셈이었다

→ 틀을 깨고 높이 모셔 준 셈이었다

→ 이제껏 없던 대우를 한 셈이었다

→ 엄청나게 생각해 준 셈이었다

→ 아주 높게 받들어 준 셈이었다

→ 대단하게 헤아려 준 셈이었다

《이두호-무식하면 용감하다》(행복한만화가게,2006) 264쪽


오늘날에도 상당히 파격적인 일입니다

→ 오늘날에도 대단한 틀깨기입니다

→ 오늘날에도 대단히 놀라운 일입니다

→ 오늘날에도 무척 대단한 일입니다

→ 오늘날에도 몹시 찾기 어려운 일입니다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73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