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438 : 가사일·가사 노동



가사일의 부담을

→ 집안일 짐을

→ 집안일을

→ 집일을

→ 집에서 할 일을


가사일(家事-) : → 가사(家事)

가사(家事) : 1. 살림살이에 관한 일 2. 한 집안의 사사로운 일

집안일 : 살림을 꾸려 나가면서 하여야 하는 여러 가지 일



  한자말 ‘가사’는 “집(家) + 일(事)” 얼거리입니다. ‘집일’을 가리켜 한자말로 ‘가사’로 적어요. 그러니 ‘가사일’처럼 쓰면 ‘집일 + 일’ 꼴이 되어 겹말입니다. ‘가사 노동’처럼 쓰려 한다면 ‘가사’를 쓸 만할 텐데, ‘가사 노동’이라 하더라도 ‘노동(勞動)’이라는 한자말도 ‘일’을 가리켜요. ‘집일’이나 ‘집안일’로 손질해 줍니다. 2016.8.25.나무.ㅅㄴㄹ



남편이 가사일의 부담을 공평하게 나누려고 진지하게 노력하는 경우라고 해도

→ 남편이 집안일 짐을 고루 나누려고 찬찬히 애쓴다고 해도

→ 남편이 집안일을 고르게 나누려고 찬찬히 힘쓴다고 해도

《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여성의 우정에 관하여》(책과함께,2016) 332쪽


모든 무급 활동은 가사 노동과 비슷한 구조를 띠게 된다

→ 모든 무급 활동은 집안일과 비슷한 얼개이다

→ 모든 무급 활동은 집일과 비슷한 얼거리이다

《이반 일리치/노승영 옮김-그림자 노동》(사월의책,2015)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 알맞은 적기



알맞은 適期이다

→ 알맞은 때이다

→ 알맞다


적기(適期) : 알맞은 시기



  한자말 ‘적기’는 “알맞은 때”를 가리켜요. “알맞은 적기”처럼 쓰면 겹말입니다. ‘적기’라는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적기이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만, 굳이 ‘적기’처럼 적기보다는 “알맞은 때”라 적을 때에 한결 낫고, “알맞다”처럼 단출하게 쓸 수도 있어요.



여러 가지의 몸의 변화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학습하기에 알맞은 適期이다

→ 여러 가지로 몸이 바뀌는 까닭을 찬찬히 배우기에 알맞은 때이다

→ 여러 가지로 몸이 달라지는 모습을 깊이 배우기에 알맞다

《E.레멘-어머니가 들려주는 성교육》(중앙일보사,1978) 21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 가을추수



봄부터 가을추수까지

→ 봄부터 가을걷이까지

→ 봄부터 가을까지


가을 2 : 벼나 보리 따위의 농작물을 거두어들임

가을걷이 : = 추수(秋收)

추수(秋收) : 가을에 익은 곡식을 거두어들임



  ‘가을추수’는 겹말입니다. 더욱이 ‘가을’이라는 낱말은 두 가지로 써요. 첫째 ‘가을 1’는 네 철 가운데 하나를 가리켜요. ‘가을 2’은 ‘가을걷이’를 가리키지요. 시골에서는 ‘가실’이라고도 합니다. ‘가을 1’를 가리키면서 ‘가을추수’라 했어도 겹말이요, ‘가을 2’을 나타내면서 ‘가을추수’라 해도 겹말이에요.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살피니 ‘가을걷이 = 추수’로 풀이합니다. 이 같은 말풀이는 알맞지 않습니다. ‘추수 = 가을걷이’처럼 다루어야 올바르지요.



봄부터 가을추수까지 밭일을 하고

→ 봄부터 가을까지 밭일을 하고

→ 봄부터 가을걷이까지 밭일을 하고

《이응노·박인경·도미야마/이원혜 옮김-이응노―서울·파리·도쿄》(삼성미술문화재단,1994) 5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간간 間間


 소문이 간간 들린다 → 소문이 더러 들린다

 간간 기침을 하신다 → 가끔 기침을 하신다

 사람들이 간간 서 있다 → 사람들이 띄엄띄엄 있다

 간간이 들려오는 소리 → 이따금 들려오는 소리

 간간이 눈에 띄었다 → 드문드문 눈에 띄었다


  ‘간간(間間)’은 “= 간간이”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간간이(間間-)’는 “1.  시간적인 사이를 두고서 가끔씩. ‘이따금’으로 순화 2. 공간적인 거리를 두고 듬성듬성”을 나타낸다고 해요. 한국말사전 말풀이처럼 ‘이따금’이나 ‘듬성듬성’으로 고쳐쓰면 되고, ‘가끔’이나 ‘드문드문’으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때로·때때로’나 ‘더러’로 고쳐쓸 수도 있어요. 그런데 한국말사전 말풀이를 보면 “사이를 두고서 가끔씩”처럼 적는데, ‘가끔씩’은 겹말이에요. ‘가끔’으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시간적인 사이를 두고서”나 “공간적인 거리를 두고서” 같은 말마디도 어울리지 않아요. “시간으로 사이를 두고서나”나 “공간으로 거리를 두고서”로 손질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네 가지 ‘간간’이 더 나오는데, 이 한자말은 모두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2016.8.24.물.ㅅㄴㄹ



간간(侃侃)하다 : 성품이나 행실 따위가 꼿꼿하고 굳세다

간간(??) : 1. 마음이 기쁘고 즐거움 2. 강하고 재빠름

간간(懇諫) : 윗사람에게 잘못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함

간간(懇懇)하다 : 매우 간절하다



열심히 듣다가 간간이 웃었다

→ 바지런히 듣다가 가끔 웃었다

→ 바지런히 듣다가 이따금 웃었다

→ 바지런히 듣다가 더러 웃었다

《미리암 프레슬리/유혜자 옮김-행복이 찾아오면 의자를 내주세요》(사계절,1997) 234쪽


간간이 잠이 깨어 눈을 떠 보면

→ 때때로 잠이 깨어 눈을 떠 보면

→ 이따금 잠이 깨어 눈을 떠 보면

→ 드문드문 잠이 깨어 눈을 떠 보면

《서갑숙-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이고 싶다》(중앙엠앤비,1999) 86쪽


자전거를 타고 온 사람이 간간이 눈에 띄었다

→ 자전거를 타고 온 사람이 드문드문 눈에 띄었다

→ 자전거를 타고 온 사람이 이따금 눈에 띄었다

→ 자전거를 타고 온 사람이 더러 눈에 띄었다

《원공-우리는 그 길을 왜 걸었을까》(호미,2003) 57쪽


그 서사 속에 숨어 있는 여성의 존재도 간간이 감지된다

→ 그 글에 숨은 여성도 이따금 느낀다

→ 그 이야기에 숨은 여성도 더러 알아차린다

《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여성의 우정에 관하여》(책과함께,2016) 2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돈독 敦篤


 돈독한 우정 → 도타운 우정 / 살가운 우정

 우애가 돈독하다 → 우애가 두텁다 / 우애가 살갑다

 그는 신앙심이 돈독하다 → 그는 믿음이 두텁다 / 그는 믿음이 깊다


  ‘돈독(敦篤)하다’는 “도탑고 성실하다”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은 “≒ 독후하다·돈후하다”처럼 비슷한말을 싣는데, ‘독후(篤厚)하다’는 “성실하고 친절하며 인정이 두텁다”를 가리키고 ‘돈후하다(敦厚)하다’는 “인정이 두텁고 후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그러니 ‘돈독·독후·돈후’ 모두 ‘도탑다’나 ‘두텁다’로 손볼 만합니다. 때로는 ‘사이좋다’나 ‘어깨동무’나 ‘살갑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2016.8.24.물.ㅅㄴㄹ



유대관계를 돈독히 해 놓으려고

→ 유대관계를 도타이 해 놓으려고

→ 유대관계를 좋게 해 놓으려고

→ 유대관계를 살가이 해 놓으려고

《가톨릭 다이제스트》 206호(2007.4.) 18쪽


관계를 돈독히 만드는 접착제 구실

→ 관계를 단단히 하는 접착제 구실

→ 서로를 도탑게 하는 접착제 구실

→ 서로를 살갑게 하는 접착제 구실

《김민아와 다섯 사람-놀이가 아이를 바꾼다》(시사일본어사,2016) 16쪽


여성들의 우정이 가진 특징으로 돈독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점을 꼽았고

→ 여성 사이 우정은 도타움이 오래 이어지는 대목을 특징으로 꼽았고

→ 여성들은 서로 오래도록 도타이 지내는 모습이 남다르다고 꼽았고

《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여성의 우정에 관하여》(책과함께,2016) 23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