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15.

오늘말. 꼽


참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소리를 으레 들었습니다. 누가 알아본다고 힘을 그렇게 들이느냐고 핀잔하더군요. 지스러기 같은 일은 지나가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살아가는 길에 하찮거나 하잘것없는 일이란 없을 텐데요. 길미가 된다고 여길 적에만 손을 댄다면, 조그마한 일에는 시들하다면, 눈에 뜨이지 않는다고 해서 볼것없다고 넘긴다면, 아무래도 우리 마음은 물거품에 마병으로 가득하리라 느낍니다. 눈꼽 같다고 여겨 꼽을 주는 말이나 짓을 일삼는 분이 있더군요. 그분한테는 그저 구정물이나 버림치로 보였겠구나 싶어요. 자갈밭이 풀밭으로 거듭나고, 나무씨앗 한 톨이 깃들어 천천히 자라면서, 어느새 숲으로 바뀌기까지는 적잖이 걸릴 테지만, 틀림없이 돌밭도 숲밭으로 피어날 만합니다. 자잘하다고 여겨서 등을 돌리기에 돌더미가 그냥 돌더미로 남습니다. 못할 일이란 없어요. 덧없는 일도 없어요. 누구는 같잖게 볼 테지만, 둘레에서 크잖게 보든 말든 우리가 품고 심어서 가꾸는 꿈씨를 바라볼 노릇입니다. 오늘 하루는 허방이 아니고, 쭉정이도 아닙니다. 그저 쪼가리 하나로 볼 수 있는데, 모든 씨앗은 늘 참으로 작아요. 작기에 씨앗입니다.


ㅅㄴㄹ


쓸모없다·쓸데없다·쓰레기·쓸개빠지다·덧없다·부질없다·하릴없다·같잖다·꼴같잖다·물거품·빈소리·빈말·뻘·삽질·개-·곱·곱재기·꼽·꼽재기·새알곱재기·새발피·군것·군더더기·군살·쭉정이·크잖다·날-·넝마·검불·검부러기·버림치·구정물·마병·막것·만무방·망나니·밥벌레·보풀·부풀·보푸라기·부푸러기·부스러기·지저깨비·지스러기·지푸라기·짚풀·돈 안 되는·돌덩이·돌더미·돌밭·자갈·자갈밭·못 이루다·못하다·발만 담그다·손만 대다·하지 못하다·보잘것없다·볼것없다·솜씨없다·재주없다·하찮다·하잘것없다·한갓되다·호로놈·혹·후레질·허방·허방다리·허수아비·허접하다·허튼·헛것·헛속·시들다·시들하다·심심하다·자잘하다·쪼잔하다·알량하다·어렵다·힘겹다·졸때기·졸따구·좀스럽다·쥐뿔·쪽·쪼가리 ← 무용(無用), 무용지물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15.

오늘말. -랑


어린 날을 떠올리면, 여리고 골골대는 몸이지만, 어떤 일을 맡으면 온힘을 다하였습니다. 힘이 모자라니, 작건 큰건 용을 써야만 할 수 있습니다. 누가 거짓말을 시키면 거짓말을 도리도리했습니다. 거짓말을 입밖으로 뱉으면 속이 확 타들어가더군요. 하늘은 늘 우리가 착한지 안 착한지 지켜본다고 느꼈어요. 주먹으로 윽박지르거나 두들겨패더라도 꼬박꼬박 참다운 말을 읊으며 살았습니다. 거짓을 일삼는 무리가 주먹을 휘두를 적에는 얼핏 무서워 보일 수 있습니다만, 사랑이 한 톨도 없는 마구잡이는 무서울 일이 없습니다. 어깨동무도 이웃빛도 없는 무리는 늘 끼리끼리 갇혀서 스스로 무너져요. 팔짱은 두 가지입니다. 불구경을 하는 팔짱이 있고, 서로돕기를 하려고 다가와서 끼는 팔짱이 있습니다. 짝을 맞추어 너랑 나랑 아름답게 웃는 살내음을 나누려는 손길이기에 따뜻합니다. 걸음을 맞추어 나하고 네가 곱게 노래하는 꽃빛을 나누려는 하루이기에 포근합니다. 코앞에서 으르렁거리는 놈을 봐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속으로 환하게 피어날 꿈을 넉넉히 바라볼 노릇입니다. 어느 자리에서건 매한가지예요. 첫째도 막째도 사랑이 사람꽃입니다.


ㅅㄴㄹ


곱다·너그럽다·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다솜·다솜빛·다솜꽃·포근하다·폭신하다·푸근하다·푹신하다·후덥다·도와주다·돕다·-랑·-과·-하고·부축·서로돕다·사람·사람결·사람됨·사람길·사람빛·사람꽃·사람답다·사랑·살내음·살내·아름답다·아름길·아름꽃·아름빛·어깨동무·이바지·이웃사랑·이웃빛·팔짱·착하다·참되다·참답다·참하다 ← 휴머니즘, 박애(博愛), 박애주의, 사해동포(四海同胞), 사해동포주의


-째·-째판·탕·바탕·바퀴·돌림·땀·판·마당·때·대·날·곳·군데·꼭지·자락·자리·짝·걸음·발·발자국·벌·섶·줌 ← 회전(回戰), 라운드(round)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화학비료



 화학비료를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 죽음거름을 줄이는 길을 세우고자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으로 → 죽음재를 줄이려고

 무분별한 화학비료의 사용에 제동을 건다 → 마구 쓰던 죽음거름을 멈춘다


화학비료(化學肥料) : [농업]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 비료. 질소질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 복합 비료 따위가 있다 ≒ 인조비료



  논밭에 뿌리는 거름은 두 갈래입니다. 하나는 똥오줌을 삭여서 내는 ‘살림거름’이요, 다른 하나는 따로 찍어내는 ‘죽음거름’입니다. 이른바 한자말로 ‘화학비료’라는 이름을 붙이기는 하지만, 곰곰이 보면 땅도 푸성귀도 낟알도 ‘죽이는’ 길로 간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래서 ‘죽음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근대농법은 숲을 베어없애고 대지의 생명력을 끊고 대신 화학비료를 주어 작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 오늘날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심을 끊고는 죽음재를 부어서 남새를 기릅니다

→ 요즘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숨을 끊고는 죽음거름을 부어서 푸성귀를 기릅니다

《흙 1》(혼죠 케이/성지영 옮김, 또래문화, 1997) 133쪽


품종개량한 씨는 원칙적으로 농약과 화학비료를 써야만 잘 자라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 씨를 바꾸면 워낙 풀잡이물과 죽음거름을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 씨손질을 하면 으레 풀죽음물과 죽음재를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맛의 달인 101》(테츠 카리야·하나사키 아키라/김미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188쪽


화학비료나 농약을 대량으로 살포해 효율을 중시하고, 규모를 확대하는 논리로 수확량을 늘리는 공업화된 농업

→ 죽음거름이나 죽임물을 잔뜩 뿌려 일손을 줄이고 땅을 넓혀서 많이 거두려는 논밭살림

《음식 좌파 음식 우파》(하야미즈 켄로/이수형 옮김, 오월의봄, 2015) 95쪽


이해타산으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함부로 뿌려 땅을 혹사하고 오염시키고

→ 돈셈으로 죽음거름과 죽음물을 함부로 뿌려 땅을 괴롭히고 더럽히고

→ 돈만 밝혀 죽음재와 죽음가루를 함부로 뿌려 땅을 들볶고 망가뜨리고

《글쓰기, 이 좋은 공부》(이오덕, 양철북, 2017) 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누수 漏水


 누수 방지를 위하여 → 새지 않도록

 누수를 탐지하였다 → 새는 줄 느꼈다

 누수가 적지 않다 → 적잖이 샜다


  ‘누수(漏水)’는 “1. 물이 샘. 또는 새어 나오는 물 2. 물시계에서 떨어지는 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물새다·새다’나 ‘빠지다·빠져나가다·빠져나오다’로 고쳐씁니다. ‘사라지다·스러지다·없어지다’나 ‘떨어지다·떨구다·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로 고쳐쓸 만하고, ‘잃다·잃어버리다’나 ‘힘빠지다·힘잃다·힘풀리다’나 ‘기운잃다·기운빠지다·기운풀리다’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누수’를 넷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ㅅㄴㄹ



누수(婁宿) : [천문]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열여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들 = 누성

누수(淚水) : 눈알 바깥면의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 = 눈물

누수(累囚) : 1. 옥에 갇힘. 또는 그런 사람 2. [법률] 전에 죄를 지어서 형벌을 받은 일이 있는 범인 = 전과범

누수(壘手) : [체육] 야구에서, 각 베이스를 지키는 선수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전력누수가

→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힘빠져서

→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힘잃어서

《인월 4》(김혜린, 대원씨아이, 2018) 26쪽


누수예요! 얼른 뭔가 물 받을 걸 가져와야 하는데

→ 물새요! 얼른 뭔가 물받이를 가져와야 하는데

《꼬마곰의 케이크 가게 2》(카멘토츠/박정원 옮김, 디앤씨미디어, 2019) 23쪽


이게 그 누수인가

→ 이렇게 물이 새나

→ 물샘이 이런가

《80세 마리코 15》(오자와 유키/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1) 1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작물 作物


 식량 작물 → 먹을거리

 작물을 수확하다 → 남새를 거두다

 작물을 재배하다 → 푸성귀를 기르다

 이 지역의 주요 작물은 고추이다 → 이 고장은 고추를 널리 기른다

 우박 때문에 작물 피해가 컸다 → 누리 때문에 남새가 많이 다쳤다


  ‘작물(作物)’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 농작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남새·푸성귀’나 ‘논밭살림·들살림·들꽃살림’으로 손봅니다. ‘열매’나 ‘가꾸다·기르다·심다·키우다·거두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환금작물이다 해서 손을 댔다가 손해 보는 경우는 이 고장 역시 심한 것 같다

→ 돈남새다 해서 손을 댔다가 말아먹는 일은 이 고장도 큰 듯하다

→ 돈나물이다 해서 손을 댔다가 잃는 일은 이 고장도 크구나 싶다

《민요기행》(신경림, 한길사, 1985) 123쪽


근대농법은 숲을 베어없애고 대지의 생명력을 끊고 대신 화학비료를 주어 작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 오늘날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심을 끊고는 죽음재를 부어서 남새를 기릅니다

→ 요즘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숨을 끊고는 죽음거름을 부어서 푸성귀를 기릅니다

《흙 1》(혼죠 케이/성지영 옮김, 또래문화, 1997) 133쪽


생활의 빈곤이 토양과 작물을 한층 더 약하게 하는 것이다

→ 가난하기에 흙하고 남새가 한결 더 힘을 잃는다

→ 가난한 탓에 흙이며 풀이 한결 더 흐물거린다

《소농》(쓰노 유킨도/성삼경 옮김, 녹색평론사, 2003) 106쪽


오늘날은 돈이 되는 작물 위주로 단일 작물을 대량 재배한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남새 한 가지만 잔뜩 심는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열매 하나만 한가득 키운단다

《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최원형, 철수와영희, 2015) 78쪽


상추 같은 작물을 텃밭에

→ 상추 같은 남새를 텃밭에

《한국이 싫어서》(장강명, 민음사, 2015) 15쪽


작물이 어릴 때나 풀에 질 것 같을 때는 작물 주위 풀을 벤다

→ 남새가 어릴 때나 풀한테 질 듯하면 남새 둘레 풀을 벤다

→ 푸성귀가 어리거나 풀한테 질 듯하면 푸성귀 둘레를 벤다

《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 정신세계사, 2017) 35쪽


대마는 1년생 작물이다

→ 삼은 한해살이풀이다

《대마와 대마초》(노의현, 소동, 2021) 1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