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81 | 1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이가 보는 눈 (사진책도서관 2015.8.2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어귀에 파헤쳐진 땅을 바라보면서 도서관을 오간다. 아이들은 이 땅을 보면서 무엇을 생각할까? 자동차를 좋아하고 자동차 놀이를 날마다 하는 작은아이는 ‘삽차’가 무엇이라고 느낄까? 삽차는 틀림없이 사람이 손으로 땅을 팔 적보다 더 깊고 빠르게 많이 파헤칠 수 있다. 그러면, 삽차는 땅을 왜 사람 손보다 훨씬 깊고 빠르게 많이 파헤칠까? 삽차로 하는 일이란 무엇일까?


  아이가 보는 눈하고 어른이 보는 눈은 다르다. 아이는 도서관 어귀 땅이 파헤쳐져도, 놀이터로 삼는다. 흙이 수북하게 쌓인 곳으로 올라가서 “아버지, 내가 아버지보다 키가 더 크다!” 하면서 깔깔깔 웃는다. 씩씩한 시골순이와 튼튼한 시골돌이는 언제 어디에서라도 마음껏 뛰고 달리고 뒹굴고 날면서 논다. 그러니, 아이들로서는 도서관 어귀 땅바닥이 어떻게 되든 대수롭지 않다. 다만, 아이도 어른도 한 가지는 생각한다. 나무가 뽑히고 잘린 대목이 슬프다. 그러나, 나무를 슬프게 바라보기만 하지는 않는다. 삽차가 더는 땅을 파헤치지 않을 무렵 우리가 손으로 한 톨 두 톨 새롭게 심으면 되니까.


  아이가 보는 눈일 적에는 흙발로 도서관 골마루를 달리면서 노니까 재미있다. 어른이 보는 눈일 적에는 ‘쓸고 닦을 일거리’를 잔뜩 주는구나 하고 여길 수 있을 테지. 그러나 뭐, 참말 또 쓸고 닦으면 된다. 이 아이들이 맨발이자 흙발로 실컷 뛰논 뒤에 마을 샘터에서 발을 씻고 집에 가서 다시 씻으면 된다. 여름이니 집에서 물놀이를 해도 된다.


  어떤 눈으로 보려 하느냐를 헤아린다. 어떤 눈으로 오늘 하루를 지으려 하느냐를 생각한다. 어떤 눈인가에 따라서 생각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기에 마음이 달라지며, 마음이 달라지기에 삶이 새로워지거나 쳇바퀴를 돈다. 씩씩순이와 튼튼돌이를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아침 낮 저녁으로 도서관을 오가며 고들빼기 흰꽃을 바라본다. 우리 집에서는 아직 고들빼기꽃이 안 피지만, 도서관에서는 피는구나. 하기는, 우리 집에서는 고들빼기가 꽃대가 오르지 못하도록 신나게 잎사귀를 뜯어먹으니까, 꽃 필 겨를이 없지.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14호  (사진책도서관 2015.8.2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14호를 오늘부터 보낸다. 오늘 낮에 택배로 이야기책 꾸러미가 왔다. 팔월부터 새 주소와 우편번호를 써야 하기에, 새 주소와 우편번호를 하나하나 찾아서 봉투에 쓰려니 품이 꽤 든다. 다음주가 되어야 도서관 지킴이로 계신 이웃님한테 다 부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요일에는 사천으로 강의를 하러 아이들을 데리고 다녀와야 하니 목요일에도 여러모로 바쁘겠네.

  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열넷째 호는 《사랑짓기, 시골집 삶노래 1》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아이들하고 살아온 지난 여덟 해를 되새기면서 ‘아이와 하루를 보내면서 배운 이야기’를 모아서 엮어 보았다. 간기까지 모두 열여섯 쪽짜리 자그마한 책이다. 사진을 여섯 장 실었다. 아이들과 누리는 삶은 무엇인가 하고 생각했을 때에 “사랑짓기”라는 이름이 떠올랐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삽을 챙겨야지 (사진책도서관 2015.8.2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날마다 다 읽은 책을 도서관으로 갖다 놓으려고 길을 나선다. 빗줄기가 살짝 듣는 낮에 도서관으로 간다. 두 아이는 살짝 졸린지, 아니면 비 오는 날 집에서 그냥 놀겠다는 뜻인지 함께 따라나서지 않는다. “얘들아, 너희 오늘 비옷 입고 놀고 싶어 했잖아. 비옷 입고 새 우산 쓰면서 놀지 않겠니?” 하고 불러도 아무 대꾸가 없다. 어쩜, 비순이와 비돌이가 비를 마다 하다니.


  그런데 도서관에 닿고 보니 아이들이 안 따라오기를 잘된 셈이었을까. 도서관으로 들어서는 길이 모두 깊이 파였다. 어디로도 갈 수 없다. 무슨 일을 하려고 이렇게 깊이 땅을 파는지 모를 일이다. 이웃 밭으로 넘어가서 다시 도서관 쪽 땅으로 뛰어내린다. 책꾸러미를 메고 지면서 낑낑거리며 도서관에 닿는다.


  삽차로 땅을 파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리라. 삽차로 땅을 파헤쳐서 길을 없애는 일도 어려운 일이 아니리라. 그리고, 이렇게 길을 없애고 땅을 파헤친 뒤 여러 날 그대로 두는 일도 어려운 일이 아니리라.


  다만, 나는 다음에 삽을 들고 도서관에 오자고 생각한다. 삽차로 아무리 땅을 깊게 파헤쳐 놓는다고 하더라도, 내가 아이들하고 지나다닐 길은 ‘내 삽’으로 흙을 뜨고 풀을 섞어서 ‘오솔길’ 같은 작은 자리를 내야겠다고 생각한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헤쳐진 땅 (사진책도서관 2015.8.1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어귀 땅이 갑자기 파헤쳐졌다. 폐교 터를 함께 쓰는 분이 삽차로 파헤쳤구나 싶다. 왜 이곳을 갑자기 파헤쳤을까? 요즈음 한 달 남짓 이 터를 그대로 두었다가 갑자기 파헤쳤다. 그리고, 이렇게 땅을 파헤쳐 놓은 지도 거의 일고여덟 달이 되었구나 싶다.


  곧 비가 올 텐데 땅을 왜 파헤쳐 놓을까? 땅을 파헤쳐 놓으면 빗물이 고일 테고, 빗물이 고이면 폐교 건물은 더 삭는다. 일부러 폐교 건물이 빨리 삭으라고 땅바닥을 파헤치리려는 생각이 아니기를 바랄 뿐이다.


  아이들은 이러거나 저러거나 대수롭지 않다. 아이들은 외려 더 재미난 놀이터가 생겼다면서 좋아한다. 그래, 너희가 바로 아이들 마음이지. 마음속에 걱정이 아닌 새로운 기쁨을 담아서 언제 어디에서나 새로운 놀이를 찾는 마음이지.


  파헤쳐진 땅바닥을 들여다본다. 마음속으로 꿈을 새삼스레 심는다. 내가 쓰는 책을 앞으로 더욱 잘 팔 수 있도록 힘쓰자. 아직까지 내 책 인세는 얼마 안 되는데, 내 책 인세로 이 도서관 터인 폐교와 운동장을 장만할 만한 제대로 넉넉히 돈을 모으자고 꿈을 꾸자. 우리 도서관을 도와주는 지킴이 이웃님들 손길과 함께, 내가 써서 내놓는 책을 더욱 잘 팔아서 하루 빨리 이 도서관 터를 우리 땅으로 삼자고 꿈을 꾼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을 감는 도서관 (사진책도서관 2015.8.1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실을 감으려면 너른 자리가 있어야 한다. 마당이나 마루가 넓어야 비로소 실을 풀어서 다시 감을 수 있다. 뜨개질을 할 적에는 언제나 맨 먼저 실감기부터 한다. 곰곰이 돌아보니, 내 어릴 적에 어머니는 집 밖으로 나와서 계단에서 실감기를 하셨다. 나는 두 손을 위로 들어서 가만히 있고, 어머니는 내 두 손에 실을 친친 감은 뒤, 이 실을 다시 풀어서 실꾸리를 빚으셨다.


  아이들은 저희 어머니가 실을 감는 모습을 지켜보고, 실이 감길 적마다 흐르는 소리를 듣는다. 바람이 불고, 실패가 돌며, 맨발로 노는 발자국 소리가 어우러진다. 앞으로 이 모습은 아이들 마음속에 어떤 이야기로 남을 수 있을까.


  이제 저녁이 일찍 찾아오고 해가 일찍 진다. ‘일찍’이라고 해도 일곱 시쯤 되어야 해거름이지만, 저녁 더위가 스러졌으니 여름도 곧 저무는구나 하고 느낀다. 도서관 창문을 닫고 집으로 돌아간다. 큰아이는 만화책을 한 권 챙긴다. 집에서 다 보면 다시 도서관으로 갖다 놓겠단다. “왜 도서관에도 책이 있고, 집에도 책이 있어?” “우리가 도서관을 하니, 도서관에도 책이 있고 집에도 책이 있지.” “집에 있는 책을 왜 도서관에 갖다 놓아?” “집에 책이 쌓이면 좁으니 도서관에 두지.”


  해가 아직 하늘에 걸려서 대롱거릴 적에 빨래를 걷는다. 오늘 저녁도 맛있게 먹고, 저녁놀이도 즐겁게 누리자. 풀벌레 노랫소리가 그윽하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81 | 1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