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1.1.6. 늘 처음으로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다리앓이하고 등허리앓이를 열하루째 하면서 생각합니다. 어릴 적에는 고삭부리라 툭하면 앓아누웠습니다. 코가 매우 나빠서 언제나 숨을 쉬기 어려운 나날이었습니다. 대학교를 그만두고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하던 때에는 새벽에 자동차에 받혀 죽을 뻔한 적이 있고, 이오덕 어른 글을 갈무리하던 무렵에는 충주하고 서울을 자전거로 오가며 세 판쯤 자동차에 치여 죽을 뻔했습니다. 돌이키자니 코앓이(축농증)가 깊어 숨쉬기가 어렵던 마흔 해를 빼고는 으레 바깥에서 몸을 들볶는 일이 생겼고, 이렇게 몸이 스스로 욱씬거리면서 저더러 좀 쉬엄쉬엄 가자고 따진 적은 없었구나 싶어요. 다리·등허리앓이로 열하루를 보내면서 ‘몸을 달래고 주무르는 길’을 한결 새롭게 바라봅니다. 이제껏 제 몸은 스스로 주물러서 풀었는데, 2021년으로 갈마드는 때에 처음으로 ‘내가 내 몸을 스스로 주무를 수 없는 일’을 겪었습니다.


  2021년 첫 ‘책숲 글월종이’를 어떻게 꾸릴까 하고 한참 생각했는데, 아예 새판을 짜려고 합니다. 책숲 글월종이에 이름도 새롭게 붙이려 합니다. 2007년 4월에 인천에서 처음 책마루숲(서재도서관)을 열 적에는 모두 손글씨로 글월종이를 엮었고, 이윽고 셈틀로 엮다가, 고흥으로 옮기면서 작은책으로 꾸미기도 했는데, 이래저래 판갈이를 할 적마다 이름을 새로 붙이고 셈도 1로 돌아갔습니다.


  1998년 1월 6일에 〈헌책방 사랑 누리〉란 모임을 열며 바로 번개로 바깥모임을 꾀한 적 있습니다. 다같이 모여서 열 사람이고 스무 사람이고 작은 마을헌책집으로 책마실을 가자는 모임이었어요. 이레에 이틀이나 사흘을 번개나 바깥모임으로 책집에서 만나, 적어도 두 시간씩 책을 읽고 산 다음, 적어도 두 시간씩 책수다를 펴면서 몇 해를 보냈어요. 그 1월 6일을 떠올리며 2021년 1월 6일에 책숲 글월종이를 〈책숲 1〉란 이름으로 꾸립니다.


  지난해에 《책숲마실》이란 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만, 책을 내놓는대서 책숲마실이 끝나지 않아요. 새로 디디는 걸음입니다. 차근차근 엮어 볼게요. 책이랑 말이랑 숲이랑 아이랑 삶이랑 노래랑 이야기랑 꿈이랑 살림을 사랑이라는 슬기로운 실마리로 엮는 수수께끼가 될 〈책숲〉으로 나아가려고 합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1.1.4. 일어난다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일다’라는 낱말은 ‘일 + 다’입니다. 우리말 ‘일’은 ‘일하다’ 꼴로도 쓰지만, ‘일다’하고도 맞물리며, ‘이다’로도 이어갑니다. ‘일어나다·일으키다’도 매한가지인데, 이런 ‘일다’붙이는 물결하고도 얽히더군요. ‘이다’는 “짐을 이다”로도 나아갑니다. 말밑을 푸는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짚으면서 생각합니다. 지난 열흘 동안 몸앓이가 뼛속까지 후벼파는 나날인데, 몸앓이란 앞으로 어떤 튼튼한 몸이 되어 어떤 튼튼한 마음으로 살아가겠느냐는 다짐을 고요하고 차분히 밝히는 때라고 느껴요. 찌릿찌릿 욱씬욱씬 아픈 데가 자꾸 일어나지만, 저는 이렇게 몸앓이를 치르면서 새몸으로 일어나려 합니다. 기지개를 켜고 말빛을 찾으면서 삶빛을 일으키려 해요. 그리고 노래해야지요.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1.1.1. 만성적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깍쟁이’부터 ‘모락모락’을 지나 ‘만성적’에 ‘일각’이랑 ‘극한’을 지나 ‘일대’까지 추스르니 해가 넘어갑니다. 이제 등허리를 펴고서 ‘귀납적·연역적’을 풀어야지요. 다 풀었지만 갈무리는 덜 마친 ‘한편’하고 ‘한’하고 ‘역사’가 기다립니다. 덤으로 ‘피나다·피흘리다·피땀’ 쓰임새를 잔뜩 보탰고, ‘일·일다’하고 ‘놀·놀다’가 얽힌 말밑 이야기는 이튿날 갈무리할 겨를이 있을까요. 2020년 4월부터 큰아이랑 “풀꽃나무 하루쓰기”를 날마다 했습니다. 새해를 맞이했으니, 이제 석 달을 더 쓰면 한 해치 “풀꽃나무 하루쓰기”를 마무리합니다. 어느새 고흥이란 시골에서 열한 해를 살아내는데, 이 열한 해 동안 풀꽃나무하고 마음을 나눈 이야기를 간추려 “풀꽃나무 하루쓰기”로 꾹꾹 눌러서 적었습니다. 큰아이가 무릎셈틀로 옮겨 주면 좋겠네요. 곁님하고 작은아이가 허벅지·종아리·옆구리를 주무르고 토닥여 주어 기운이 났습니다. 다 나으면 다시 작은아이하고 씽씽 바람을 가르며 달림이를 타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0.12.28. 돼지우리 학교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퍽 예전에 나온 어린이책 가운데 《돼지우리 학교》가 있습니다. 1966년에 우리말로 나왔는데, 저는 이 책을 2012년에 처음 만났습니다. 이 책을 아이가 어릴 적에 읽은 일이 있다며, 저한테 글쓴이하고 책이름을 영어로 알 수 있느냐고 묻는 분이 있습니다. 다리가 찌뿌둥해 그저 집에만 머무느라 한동안 책숲을 다녀오지 못하는데, 아무래도 해가 넘어갈 듯합니다. 아픈 다리를 낑낑대며 겨우 책숲에 가서 책을 챙깁니다. 꽤나 예전 이탈리아 멧골배움터 이야기를 다루는데, 익살스러우면서 뭔가 가르치는 줄거리가 있습니다만, 우리하고는 좀 안 어울리네 싶기도 합니다. 비슷한, 또는 이 책보다 조금 일찍 일본에서 나온 《인간의 벽》(이시카와 다쓰조)이란 책이 삶이며 사람이며 사랑을 제대로 파고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더 나은 책도 덜 좋은 책도 없기 마련입니다. 어느 책을 곁에 두든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살찌우고, 스스로 살림꽃을 피우면 돼요. 아름책을 읽었다지만 아름길하고 동떨어지는 사람도 수두룩한걸요. 모쪼록 이웃님이 《돼지우리 학교》 이탈리아판이나 다른 말로 나온 책을 즐거이 찾아내시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0.12.26. 별을 보며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하루를 살아가는 힘은 늘 스스로 길어올립니다. 밥을 먹든 물을 마시든, 햇볕을 쬐든 바람을 받아들이든, 언제나 스스로 골라요. 아이들이 노는 소꿉이 즐거워, 이 소꿉놀이를 지켜보기만 해도 기운이 난다면, 이 기운으로 얼마든지 살림꽃을 피웁니다. 아이들을 바라보는 우리 스스로 길어올려요. 모두 재우고서 마당에 서면 언제나처럼 별빛이 가득 드리웁니다. 지난 열 해 사이에 무화과나무는 쑥쑥 자랐습니다. 예전에는 툭 치면 가지가 부러질 만큼 가늘었으나, 이제는 툭 머리를 부딪히면 좀 아프며 가지는 멀쩡합니다. 고요히, 또 고요히, 시골자락 겨울은 깊어 갑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