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한테 책이란 (도서관일기 2012.11.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아이들한테 책이란 무엇이 될까. 아이들은 책을 얼마나 읽어야 할까. 우리 아이들 또래 다른 아이들은 진작부터 보육원·유아원·어린이집·유치원을 다닌다. 다른 아이들은 이런저런 곳에서 텔레비전을 보고 영화를 보며 영어노래를 배운다. 어느 아이는 한글을 벌써 떼고 혼자 그림책을 읽기도 하리라. 우리 집 다섯 살 큰아이는 이제 한창 글놀이를 할 뿐, 나도 옆지기도 딱히 큰아이한테 글을 가르치지 않는다. 큰아이는 제 이름을 즐거이 쓰며 놀다가, 이제 누가 제 이름을 따로 적어 주지 않아도 혼자 씩씩하게 쓸 줄 안다. 아버지나 어머니한테 그림책 큰 글씨 읽어 달라 하면서 때때로 하나둘 익히곤 한다.


  작은아이가 아직 안 태어난 지난날, 도시에서 살며 자연그림책이나 생태그림책을 되게 많이 사서 보았다. 자연사진책이나 생태사진책도 꽤나 많이 사서 모았다. 글로 된 환경책도 퍽 많이 사서 읽었다. 그런데 막상 시골로 삶터를 옮겨 보금자리를 이루고 보니, 이런 자연그림책이나 저런 생태사진책이 그닥 쓸모있지 않다. 늘 숲을 보니까 자연그림책이 덧없다. 언제나 숲이 곁에 있으니 생태사진책이 부질없다. 자연그림책이 숲을 더 깊거나 넓게 보여주지 않는다. 자연그림책은 숲하고 동떨어진 채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한테 ‘숲맛’을 조금이라도 느끼도록 해 주려고 빚는다. 생태사진책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시골사람이 시골을 더 살가이 깨닫고 느끼도록 이끄는 자연생태 이야기책은 아직 없다. 아니, 아마 앞으로도 나올 일이 없으리라 본다.


  우리 서재도서관으로 뿌리내리면서 집숲으로도 가꿀 수 있기를 바라는 시골 폐교 자리에 아이들과 놀러온다. 이 터를 교육청한테서 우리보다 먼저 빌려 건물 둘레에 나무를 빼곡히 심고 내팽개친 분들은 한 해 내내 한 차례도 이곳에 찾아오지 않았다. ‘나무 심었으니 이제 내 땅이야!’ 하는 듯할 뿐, 조금도 돌보지 않고 건사하지 않는다. 우리 식구는 이 좋은 터에 풀약 하나 안 치고 정갈한 숲과 밭으로 돌보면서 책이 함께 있는 예쁜 마을쉼터를 일구고 싶다.


  우리한테는 마음이 있고 책이 있다. 아직 돈은 없다. 날마다 꿈을 꾼다. 머잖아 우리들 주머니에 돈이 들어와 이 터를 ‘버려진 땅’이 아닌 ‘싱그럽고 푸르게 빛나는 숲과 책밭’이 되도록 보살필 수 있으리라고 즐겁게 바란다.


  그런데, 아이들은 이러거나 저러거나 아랑곳하지 않는다. 저희 아버지가 책을 몇 만 권 건사하든 말든 대수롭지 않다. 어떤 이가 이 터를 돈으로 거머쥐려고 나무를 잔뜩 심든 말든 대수롭지 않다. 그예 재미난 놀이터요, 그저 마음껏 노래하고 뛰거나 구르는 좋은 앞마당이다. 겨울 지나고 새봄 찾아오면 곳곳에서 딸기꽃 피고 들딸 먹는다며 아이들 날마다 마실을 하자고 조르겠지.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님맞이 (도서관일기 2012.10.2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인천에서 손님이 찾아온다. 여섯 살 아이랑 네 살 아이를 이끈 어머니 한 분 찾아와서 여러 날 우리 집에서 함께 묵는다. 바다에도 마실을 가고 마을 한 바퀴도 돈 다음 서재도서관에도 함께 나들이를 간다. 그런데 여러 날 함께 지내면서 서재도서관에는 꼭 한 번 나들이를 한다. 바쁠 일이 없다고 할 테지만, 코앞에 있는 곳까지 드나들지 못한다. 새삼스럽다 할 일은 아니다. 서재도서관과 집이 함께 있지 않을 때에는 나부터 하루에 한 차례 들르기도 만만하지 않다. 돌이켜보면, 인천에서 서재도서관을 꾸릴 적에도 3층이 도서관이고 4층이 살림집이어도 큰아이 하나 돌보고 집살림 도맡느라 하루에 한 차례도 3층으로 못 내려온 적이 잦았다. 다시금 생각해 보면, 두 아이와 복닥이면서 책 한 줄 못 읽는 날이 있다. 두 아이와 부대끼면서 종이책 건드릴 엄두를 못 낼 뿐 아니라, 두 아이한테 그림책 한 번 느긋하게 못 읽어 주는 날도 잦다.


  먼 곳에서 손님이 찾아왔기에 아이 넷이 복닥복닥 떠드는 서재도서관이 된다. 아이들은 아이들인 터라 다른 책보다 그림책 둘레에 모인다. 어른들이 찾아왔으면 어른들 나름대로 다른 책 둘레에 모이겠지. 사진기를 어깨에 멘 어른들이 찾아왔다면 이분들은 이분들 나름대로 다른 책 둘레에 모이겠지.


  어느 어른은 우리 서재도서관 책을 살피며 ‘값진’ 책이 많다고 말한다. 아이들은 우리 서재도서관으로 마실을 하면서 ‘넓어 뛰어놀기 좋다’고 말한다. 아마 아이들로서는 ‘도시에 있는 다른 도서관’에서는 뛰지 말라느니 시끄럽게 굴지 말라느니 하는 소리를 신나게 들었으리라. 한쪽에서는 아이들이 골마루를 달리고, 다른 한쪽에서는 어른들이 걸상에 앉아 책을 읽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아이들이 흙운동장을 달리며 놀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어른들이 나무그늘에서 해바라기를 하며 이야기꽃 피울 수 있으면, 또 다른 한쪽에서는 빈터에서 텃밭을 일굴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예쁘며 아름다운 도서관살림이 되리라 느낀다. 꿈을 꾸자.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책》 4호와 《사진빛 1》 나왔습니다. 어제(10.23)부터 봉투에 주소와 이름을 적어 우체국으로 가져가서 부칩니다. 집안일을 하면서 봉투에 주소와 이름을 적고 책을 싸서 부쳐야 하기에, 여러 날 걸쳐 천천히 부칩니다. 누군가는 오늘이나 모레에 책이 닿을 테고, 누군가는 금요일쯤 책이 닿을 테지요. 때때로 한 주 건너 다음주 월요일에 책이 닿을 수 있어요.


  《삶책》 4호는 ‘전남 고흥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소식지입니다. 《사진빛 1》은 전남 고흥 시골마을에서 두 아이가 개구지게 부대끼며 뛰어노는 여섯 달 삶자락을 무지개사진으로 담으면서 이야기 한 자락 펼치는 사진책입니다.


  《삶책》 4호와 《사진빛 1》은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 함께살기’가 튼튼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도움돈을 보내 주시는 분한테만 띄웁니다. 이 책들을 받고 싶으신 분은 언제라도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 지킴이’가 되어 주셔요.

 

 

 

● 《삶말》, 《함께살기》 한 해 받기 (☞ 도서관 한 평 지킴이)
   : 해마다 10만 원씩 (또는) 달마다 1만 원씩
  (두 평 지킴이는 20만 원 또는 2만 원씩, 세 평 지킴이는 30만 원 또는 3만 원씩)
   《삶말》, 《함께살기》 평생 받기 (☞ 도서관 평생 지킴이)
   : 200만 원 한 번 (또는) 사진책 100권 기증


● 돕는 돈은 어디로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손전화 : 011-341-7125
   누리편지 : hbooklove@naver.com
★ 도서관 자리로 쓰는 ‘옛 흥양초등학교’를 통째로 장만할 꿈을 키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떤 책들을 (도서관일기 2012.10.1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이 나라에는 도서관이라 할 곳이 몇 군데 없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도서관은 대여점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서관은 도서관이지, 대여점 구실을 하는 데가 아니다.


  베스트셀러나 소설 몇 가지를 빌려주고 돌려받는 데라면 대여점일 뿐이다. 도서관이란 백 해나 이백 해나 오백 해가 흘러도 알뜰히 건사할 책을 갖추면서 사람들이 ‘책으로 삶을 읽고 살피도록 길동무 구실을 하는 데’라고 느낀다. 곧, 이런 구실을 하는 데가 거의 안 보이기에, 이 나라에는 도서관이라 할 곳이 몇 군데 없구나 싶다.


  베스트셀러나 소설 몇 가지를 쉽게 빌리고 돌려줄 만한 곳도 있어야겠지. 그런데 이 몫은 참말 대여점한테 맡기기를 바란다. 도서관에서는 베스트셀러나 소설 몇 가지도 알뜰살뜰 갖추어 자료로 삼도록 할 수 있으면서, 삶을 밝히고 사랑을 빛내는 온갖 책을 꾸준히 두루 갖추도록 힘써야 한다고 느낀다. 이를테면, 아기를 평화롭게 집에서 낳고 싶은 이들이 도움을 받을 만한 책과 자료를 도서관에서 갖출 수 있어야 하리라 본다. 대학교 아닌 길을 찾고 싶은 푸름이한테 도움이 될 만한 책과 자료를 도서관에서 얻을 수 있어야 하리라 본다. 시골에서 흙을 만지는 삶짓기를 도와줄 길잡이책을 도서관에서 만날 수 있어야 하리라 본다. 도시에서 살아가면서 사람다움을 건사하도록 이끄는 빛줄기를 보듬는 책과 자료를 도서관에서 살필 수 있어야 하리라 본다.


  사진을 배우려는 이들이 도서관에서 나라 안팎 훌륭한 사진책을 만날 수 있어야겠지. 그림을 배우려는 이들이 도서관에서 나라 안팎 훌륭한 그림책(화집)을 만날 수 있어야겠지. 문학과 문화가 빛날 도서관이어야 한다. 방문객 숫자가 많은 도서관이 아니라, 책손다운 책손이 먼길을 기꺼이 찾아올 만한 도서관이어야 한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두는 자리 (도서관일기 2012.10.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책을 두는 자리를 스스로 나무를 얻고 시렁을 달아 마련한다면 가장 좋구나 하고 느낀다. 책은 가장 사랑스럽게 얻은 나무로 빚은 종이로 엮고, 가장 고맙게 얻은 나무로 시렁을 꾸며, 가장 빛나는 손길로 읽은 뒤에 사뿐히 얹으면 되겠지.


  올 한글날 맞추어 새로 내놓는 책을 책시렁에 둔다. 사람들한테 곱게 사랑받으면서 고운 이야기 두루 퍼뜨릴 수 있기를 빈다. 아이들은 골마루를 이리저리 마음껏 내달리며 논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