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1.10. 행복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날이 갈수록 “행복하셔요?” 하고 묻는 분이 늘어납니다. 숲노래 씨는 “‘행복’이 뭐라고 생각하셔요?” 하고 되묻습니다. 낱말책을 뒤적이면 “행복(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로 풀이합니다. ‘복되다·좋다·만족·기쁨·흐뭇’ 같은 낱말을 섞는 국립국어원이라 할 텐데, 이런 뜻풀이로는 한자말 ‘행복’을 나타내기 어렵고, 사람들도 말결을 어림하기 힘들겠구나 싶습니다.


행복 ― blog.naver.com/hbooklove/221054601840


  두루뭉술한 한자말 ‘행복’을 지난 서른 해 남짓 돌아보며 쉰 가지 즈음으로 풀어낼 만하다고 느꼈습니다. 우리말결을 살몃살몃 살리면 한결 깊거나 넓게 마음을 담아낼 만합니다. ‘꽃’이라는 한 마디로 마음을 그릴 만하고 ‘꽃날·꽃길·꽃바람’처럼 살을 붙여도 어울립니다. ‘잔치’라 하거나 ‘꽃잔치·사랑잔치·아름잔치’라 할 만합니다. ‘따뜻하다·포근하다’라든지 ‘오붓하다·아늑하다’로도 나타낼 만해요.


  크게 본다면 ‘빛’이나 ‘사랑’이라 할 만하고, 수수하게 ‘고맙다’라 할 만하지요. 우리말 ‘빛’이나 ‘사랑’은, 또 ‘꽃’은 무척 깊고 넓습니다. ‘아름답다’도 참으로 깊고 넓어요.


  우리는 때하고 곳을 살펴 우리말을 알맞게 쓰는 길을 스스로 잊으면서 ‘행복’이란 한자말에 기댈는지 모릅니다. 스스로 삶을 찾고 살림을 가꾸고 사랑을 펴면 하루가 그저 하하호호 웃음판이리라 봅니다. “그래서 숲노래 씨한테 ‘행복’이 뭔데요?” 하고 끝까지 따지는 분이 있을 텐데, “아이들 발바닥을 간질이는 하루이면 넉넉하지 않을까요?” 하고 속삭이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0.28. 문제 문제적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오늘 하루 여러 말을 가다듬고 추스르다가 ‘문제적’이란 일본말씨를 손질하려는데, 몇 해 앞서 ‘문제’란 한자말을 가볍게 손질한 글자락까지 하나하나 뜯어고칩니다. 둘레 말씀씀이를 보면 ‘문제’로 안 그치고 ‘문제적·문제점’을 쓰고 ‘문제행동’까지 뻗으며 ‘문제시’도 쓰지요. 이뿐 아니라 ‘문제아·문제도서’나 ‘문제없다·문제의식’이나 ‘문제제기’를 쓰고, ‘문제집’까지 있습니다.


  마구 가지를 뻗는 한자말 ‘문제’ 씀씀이를 보면, 이 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생각을 안 하는구나 하고 느낄 만해요. 아니, ‘문제’란 한자말이 무슨 뜻인지 짚지도 않으면서 함부로 쓴다고 해야겠지요. 처음에는 중국글이건 일본글이건 그냥 받아들였다가, 자꾸자꾸 여기저기에 슬쩍 얹더니 이제는 까맣게 잊은 셈입니다.


  2022년 10월까지 ‘문제’를 얄궂게 쓴 보기를 58자락을 찾아내어 가다듬었습니다. 이러며 우리말로 일흔∼여든 가지로 풀어내는 길을 새로 찾으면서 익혔고요. 한자말 ‘문제’ 쓰임새가 넓다는 뜻이 아니라,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알맞게 쓰는 길을 사람들 스스로 일흔∼여든 가지를 잊다가 잃어버린다는 뜻입니다.


문제적 ― blog.naver.com/hbooklove/220632567311

문제 ― blog.naver.com/hbooklove/221627980655


  어떻게 글손질을 했는지 궁금하다면, 숲노래 씨 누리집에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배우는 사람은 어른으로 자라고, 안 배우는 사람은 철없는 눈으로 갇힙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0.25. 군산길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부천·서울·부천으로 잇는 바깥일을 마치고 고흥으로 돌아가자니 버스때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아침 일찍 시외버스를 타려 했으나 빈자리가 없고, 낮에 떠나는 시외버스는 고흥읍에 늦게 떨어지니 한밤에 닿아 택시를 불러야 해요. 어찌할까 망설이다가 다른 고장을 거쳐서 돌아가는 길을 헤아립니다. 익산을 거칠까 군산을 거칠까 길을 살피니, 서울에서 군산 가는 시외버스가 무척 많아요. 군산에 있는 마을책집에 사쁜히 마실하고서 광주를 거치면 고흥에 이럭저럭 돌아갈 만합니다.


  군산에서 버스를 내려 ‘채만식 글꽃돌(문학비)’이 있는 곳으로 찾아가려 합니다. 그런데 틀림없이 글꽃돌이 있을 듯한 곳에 삽질이 한창이에요. 커다란 짐차에 삽차가 오가고 너무 시끄러워 글꽃돌을 찾을 엄두가 안 납니다. 골목길 곳곳에 ‘김수미 길’이란 큰글씨에 얼굴이 붙습니다. 그래요, 김수미 님이 군산내기이지요. 《그리운 것은 말하지 않겠다》(김수미, 샘터, 1987)란 책이 있습니다. 모르는 분이 많은데, 김수미 님은 글도 무척 잘 씁니다.


  말랭이골 꼭대기에 깃든 마을책집 〈봄날의 산책〉을 들르면서 책집지기님한테서 군산을 사랑하는 아기자기하면서 알찬 길을 듣습니다. 이런 다음에 〈그림산책〉으로 갔어요. 군산 〈마리서사〉는 인문책이 돋보이고, 〈봄날의 산책〉은 문학책이 돋보인다면, 〈그림산책〉은 그림책이 돋보여요. 여기에 새로 연 〈리루서점〉도 있는 군산은 책빛이 찬찬히 피어나는구나 싶어요. 봄날산책 지기님하고 그림산책 지기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전남 고흥이란 고장에는 어떤 살림빛(문화예술)이 있나 하고 돌아보면서 아찔합니다.


  사람들이 책을 더 많이 읽어야 하지 않습니다만, 군수나 공무원이나 길잡이(교사)가 책하고 등진 고장은 젊은이도 푸름이도 어린이도 기지개를 켜거나 움트기 어려워요. 살림길이 아닌 죽음길로 치닫습니다.


  고흥군청은 전남도청보다 으리으리합니다. 이와 달리 고흥군 행정은 밑바닥이요, 살림빛(문화예술)은 아예 없다시피 합니다. 오늘 고흥으로 돌아가려다가 그만두고, 버스나루 가까이에 있는 길손집으로 깃듭니다. 짐을 풀고 빨래를 하고 고무신을 헹구고 살짝 등허리를 폅니다. 오늘 장만한 책을 읽고, 시골집 아이들이 즐겁게 놀다가 별잔치를 누리는 밤하늘을 헤아리면서 꿈길을 가려나 하고 생각합니다.


  길은 돈으로 못 닦습니다. 길은 늘 마음으로 닦습니다. 마음이 있기에 사람이요, 마음이 죽으면 먼지입니다. 이름은 ‘전라’를 같이 써도 남도하고 북도가 너무 달라도 다른 이 속낯을 앞으로 얼마나 흘러야 가다듬고서 살릴 만한가 하고 생각합니다. 노래꽃(동시)을 쓰려고요. 벼슬아치 아닌 어린이를 바라보면서 시골사람이 그리는 사랑을 숲빛으로 노래꽃을 쓰려고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뿐히 우리말 수다꽃

나들이를 누려 보셔요.

2022.10.23.일요일

오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10.18. 서울빛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책숲하루(도서관일기)를 보름 남짓 한 줄조차 안 썼습니다. 다른 일거리나 쓸거리가 많기도 했고, 또 ‘고흥 민낯’을 자꾸 들추겠구나 싶어서 차라리 쉬자고 생각했습니다. ‘토목 마피아’라는 말이 있을 만큼, 우리나라는 서울을 비롯해 시골 구석구석까지 ‘삽질 뒷돈·검은짓’이 어마어마하게 춤춥니다. 그러나 새뜸(언론)에서는 고작 ‘이명박 4대강’만 아직까지 우려먹을 뿐, 막상 시골에서 얼마나 삽질로 뒷돈하고 검은짓이 판치는가는 아예 안 다루다시피 합니다. 우두머리 한 분이 벌이는 말썽거리를 끝없이 다루는 일은 안 나쁩니다만, 그놈 하나만 썩었을까요? 민주당 사람들이 우두머리 노릇을 할 적에 “숲과 멧자락을 깎아 때려박은 태양광”하고 “바다에 때려박은 태양광·풍력”하고 얽힌 뒷돈·검은짓은 무시무시할 만합니다. ‘밀양송전탑’만 아직까지 이야기들 합니다만, “바다에 때려박은 태양광·풍력”은 ‘송전탑 없이 도시로 전기를 실어나르지 않겠’지요? 그렇지만 전남·경남 바다에 때려박은 ‘태양광·풍력’에서 얻는다는 전기를 어떤 송전탑을 어떻게 때려박는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는 글바치(기자·작가·지식인·시민운동가·환경단체활동가)는 찾아볼 수 없군요. 더 떠들고 싶지 않아요. 서울은 나쁜 고장이 아니지만, 서울사람은 스스로 서울에 갇혀서 ‘서울빛’을 잊어버리다가 잃어버린다고 느낍니다. 서울빛하고 시골빛이 슬기롭고 참하게 만나서 아름답게 꽃으로 피어날 수 있는 길을 넌지시 그려 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