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가을인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어젯밤, 그리고 오늘낮, 집에 있는 온도계를 보니 16∼17도입니다. 햇살이 내리쬐는 바깥은 20도를 넘길까요? 오늘은 며칠 만에 해가 얼굴을 내밀고 있어서 부랴부랴 이불을 걷어서 담벼락에 널어 놓습니다. 그러고는 머리를 감고 웃도리와 수건 빨래를 합니다. 온도계로는 가을이라 그런지 이른새벽이나 이른아침에는 머리감기 힘듭니다. 이제 막 가을 문턱을 넘어서서 그럴 텐데, 조금 지나면 익숙해지겠지요. 한겨울에도 찬물로 머리를 잘만 감아 왔으니까요.

 빨래는 집안에 널어 놓은 다음, 머리카락 물기를 조금 털어내고 마당으로 나와 해바라기를 합니다. 갈비뼈처럼 보이는 양털구름이 좋아 보여서 사진 한 장 찍습니다. 앞집 하나 건너에 있는 기찻길로 전철이 오가는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요새는 전철길을 따라 길게 울타리가 놓여서 시끄러운 소리를 조금이나마 막아 줍니다. 이 울타리조차 없던 지난날에는 기찻길 옆 사람들은 우예 살았을까요. 아니, 지난날에는 기찻길 옆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소리 공해’에 시달린다는 생각을 아예 안 했겠지요. 생각해 보면, 기찻길이든 넓은 찻길이든 가난한 사람들 살림집을 밀어내고 죽 밀어붙였어요.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 모여살던 마을은 그예 두 동강이 나서 얼결에 남북, 또는 동서로 갈린 채 서로 만날 수 없는 사이처럼 되고 맙니다. 때때로 고속버스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면, 이 고속도로 왼편과 오른편으로 갈린 마을에서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오갈 수 있을까 싶어 가슴이 짠합니다. 어쩌면, 두 마을 분들은 서로 오갈 일이 없을지 모르겠고, 고속도로로 나뉜 지 오래되어서 서로 오갈 일도 사라졌는지 모르겠어요.

 잠깐 동안 해바라기를 하고 있는 데에도 머리카락 물기가 거의 다 마릅니다. 웃도리를 들고 도서관으로 내려옵니다. 물 한 잔 마시고 책상 앞에 앉습니다. (4340.10.1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ㅈ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방 하나를 조용히 꾸려가는 분이 있습니다. 이분이 적어 놓은 글을 읽고 댓글을 하나 남겨 보았습니다. 이분은 말합니다. “내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비판하고 있는 ‘사교육(과외)’으로 쉽게 돈을 번다는 것에 대해 불편한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학생으로서 가장 쉽고 깨끗하게(?) 돈을 벌 수 있는 거고, 나를 위해 많은 시간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좀더 몸을 쓰면서 정직한 방법으로 돈을 벌고 싶었다”고. 이 마음을 앞으로도 고이 이어나갈 수 있다면, 나날이 추스르고 북돋우며 살뜰히 가꿀 수 있다면, 우리 삶터는 한결 아름다울 수 있겠지요.

 저는 이런 댓글을 남겼습니다. “‘희망도 없고 꿈도 없다’고 말하는 아이가 있다면, ‘그러니? 네 곁에는 내가 있는걸.’ 하고 한 마디 해 줄 수 있겠네요. 〈한겨레〉에 시험 치고 들어가실 수 있다면, 들어가셔서 힘껏 싸워 주셔도 좋겠구나 싶습니다. 다만, 저는 〈한겨레〉가 ‘학력제한 없음’을 내걸고는 있지만, 여태까지 어느 한 사람도 학력제한에 상관없이, 그러니까 대졸자가 아니면서도 이곳에 취직한 사람이 없다는 대목에 슬프고, 학력제한이 없으면서 토익점수를 내라고 하는 입사자격제한이 슬퍼서, 예전에 특채로 뽑아 주겠다고 하는 제의를 거절하고, 토익점수 내라는 자격제한을 풀면 공채로 들어가겠다고 했던 일이 떠오릅니다. 1998년과 1999년 사이에. 생각해 보면, 글은 길게 쓰거나 짧게 쓰거나 아무런 상관이 없어요. 자기 마음을 제대로 담아냈느냐, 자기 마음이 아닌 헛소리나 딴사람생각 짜깁기를 늘어놓고 있느냐가 중요해요. 자기 삶을 찬찬히 담고 있다면, 짧은 글은 짧은 글대로 좋고, 긴 글은 긴 글대로 좋습니다. 지금 세상은 짧거나 길거나 제대로 자기 삶을 담아서 적바림하고 있는 글이 보이지 않는 세상이라고 느낍니다.” (4340.10.7.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ㅎ이라는 분이 쓴 글을 읽고 댓글을 달아 보았습니다. 문득, 나도 이 ㅎ님처럼, 누군가를 비평하거나 어느 작품을 비평할 때, 좀더 알아보려고 하지 않은 채 미리 ‘마무리말(결론)부터 내려 놓고 밀어붙이기’를 하지 않았는가 싶어서, 또 ‘내 생각만 옳은 듯 칼부림 글을 쓰지 않았는가’ 싶어서.

 제가 적은 댓글은 이렇습니다. “어떤 작품을 이야기할 때, 그 작품을 쓴 사람이 그동안 이루어 온 다른 작품들을 함께 살피지 않고 이야기를 해야만, 올바르게 이야기를 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최규석 같은 사람 다른 작품들은 인터넷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 이이가 다른 작품을 어떻게 펼쳐내고 있는가를 좀더 차근차근 살피지 않고, 이 작품 하나로만 평가와 결론을 내리는 일은 적잖이 섣부르다는 느낌을 지울 길이 없군요. 이른바 게으름이라고 할까요. 한편, 최규석이라는 분한테는 손수 인터넷편지를 띄워서, 이 만화를 어떤 생각으로 그렸는가 하고 물어 볼 수 있습니다. 직접 알아보고 쓰는 글하고, 자기 생각만으로 결론을 다 내려버린 다음에 쓰는 글은 하늘과 땅처럼 다릅니다.” (4340.10.7.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추잠자리


 창가로 밝은 빛이 스며든다. 늦었나 싶으면서도 몸이 고단하여 조금 더 눕는다. 그러다가 이제는 더 어기적거리면 안 되겠구나 싶어서 일어나서 시계를 본다. 여덟 시 반. 히유. 그다지 늦은 편은 아니구나. 열 시가 넘은 줄 알았는데.

 기지개를 켜고 찬물 한 잔 마신다. 씻는방에 들어가서 낯과 손을 씻은 다음, 어제 담가 놓은 빨래를 세 가지만 한다. 닷새 동안 집을 비우고 돌아다닌 탓에 몸이 많이 찌뿌둥하다. 잠도 모자라다. 다음 한 주는 집에서 멀리 나가는 일을 줄여야겠다. 밀린 일도 많고.

 빨래 두 가지는 집안에 넌다. 하나는 마당으로 들고 나와서 빨랫줄에 건다. 잠깐 해바라기를 한다. 아침햇살은 늘 따뜻하고 반갑다. 담벽에 기대어 이웃집 지붕을 바라보고 있자니, 고추잠자리 세 마리가 잰 날갯짓을 하며 내 옆쪽 담벽에 앉는다. 잠자리가 나오는 철인가. 지난달에도 잠자리 한 마리 보았는데. 가만히 잠자리를 들여다보다가 사진기를 꺼내 와 몇 장 찍는다. ‘좀더 가까이’를 생각하며 살살 다가서니 호롱 하고 날아간다. 먼곳 사물을 잡아당겨 찍는 렌즈가 없으니 아쉽다. 도서관으로 내려와 창문을 하나씩 열고 물을 반 잔 마시고 밀린 설거지를 한다. 조금 있으니 배가 살살 아파서 책 한 권 들고 살림집으로 올라가 뒷간에 들어간다. 책을 펴고 똥을 눈다. 개운하게 볼일을 마치고 나온다. 마당 담벽을 슬그머니 바라본다. 고추잠자리는 한 마리만 보인다. (4340.10.5.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 〈디 워〉


 어떤 분들은 《미국의 송어낚시》(중앙일보사)라는 소설이 훌륭하다고 합니다. 하도 그런 말이 많아서 저도 한 번 사서 읽어 봅니다. 흐흠, 저는 이 책을 읽으며 참 지루합니다. 책장이 잘 안 넘어갑니다. 그예 읽다가 읽다가 지쳐서 읽기를 그만두고 책꽂이에 꽂아 둡니다.

 몇 해 앞서부터 《파브르 식물기》(두레)를 야금야금 읽습니다. 한꺼번에 다 읽기에는 아쉬워서. 성철 큰스님 말씀모음(장경각)을 지난주부터 한 권씩 사서 읽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거의 눈길을 안 둔 책이었는데, 예전에 눈길을 두며 이 책을 읽었다면 얼마나 속뜻을 잘 읽어냈을까 싶군요. 이제 와서 읽으니 딱 좋습니다.

 며칠 앞서 《안톤 카이투스의 모험》(내일을여는책)을 다 읽었습니다. 책을 덮으며 후유 한숨이 나옵니다. 아이들을 생각하고 헤아리는 마음이 바다처럼 깊고 너를 때라야 비로소 이만한 작품을 온몸으로 써낼 수 있네요. 일본 교사가 쓴 《교실 일기》(양철북)를 읽으며, 야누쉬 코르착 같은 사람은 나라마다 겨레마다 다 다른 자리에서 다 다른 모습으로 아이들과 부대끼고 있구나 하고 느낍니다. 우리 나라에는 어떤 야누쉬 코르착이 있을까요.

 정치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한테는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삼인) 같은 책이 피와 살이 될 수 있을까요. 그저 그런 책이 될는지, 아니면 썩 읽고 싶은 마음이 안 들 책일는지.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에 한 표 권리를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 갈팡질팡입니다. 지금으로서는 ‘최선도 차선도’ 보이지 않습니다. 더욱이, 한 표 권리는 ‘차선이 아닌 대통령이 되어야 할 만한 진짜 대통령감’한테 쓰고 싶습니다. 죽는표가 어디 있습니까.

 《슈베르트》(신구문화사)를 읽으면서 올해 제 나이 서른셋이란 얼마나 많은 나이냐고, 지금 나는 얼마나 내 하고픈 일을 하며 살고 있느냐고 묻게 됩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행복한만화가게)를 읽는 동안 ‘똑똑하고 용기 없기’보다는 ‘똑똑하지 않더라도 용기 있게’ 사는 편이 낫다고 스스로 되묻습니다.

 《광고와 사진 이야기》(눈빛)를 읽으며, 이만한 줄거리로도 사진 이야기를 써내는 세상이라면, 나도 사진 이야기를 다루는 책을 쓸 수 있겠네 하고 주먹을 불끈 쥡니다. 《곤혹한 비평》(작가들)을 읽는 내내 ‘문학을 좋아하는 분들이 이 책을 써낸 사람 이름을 알까? 김현, 김우창, 김윤식, 김병익 같은 사람들 비평은 읽어도 이 책을 써낸 사람 비평을 읽으려 할까?’ 하는 물음표가 그치지 않습니다.

 《슬픈 미나마타》(달팽이)를 읽으며 가슴이 저릿저릿하고 눈물이 핑 돕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미나마타’ 역사를 숨기려 한다는군요. 생각해 보면, 우리 나라에도 ‘온산병’이라는 공해병이 있습니다만, ‘온산병’이 무엇인지 ‘온산’이 어디에 붙은 마을인지 아는 분이 몇이나 될는지.

 영화 〈디 워〉를 보았습니다. 보름쯤 되었지 싶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참 좋았습니다. 재미있어서 웃기도 하고 엉성해서 웃기도 했습니다. 후줄근한 연기와 짜임새없다고 느껴지는 줄거리였지만, ‘더 깊이 무엇인가 생각하기’보다는 ‘그냥 재미나게 영화 하나 보며 즐겁게 살자’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디 워〉는 〈디 워〉였고, 〈티라노의 발톱〉은 〈티라노의 발톱〉이었으며, 〈우뢰매〉는 〈우뢰매〉였습니다.

 영화 〈디 워〉를 보고 싶으면 보고, 보고 싶지 않으면 안 보면 되는데. 영화를 보고 나서 좋았다면 그 좋은 마음을 잘 간직하고, 보고 난 느낌이 영 꽝이었다면 아쉬움과 모자람을 잘 곰삭이면 될 텐데. 하지만 어떤 책을 주머니돈 털어서 사서 읽었는데, 글쓴이 생각이나 책 짜임새가 참 후줄하고 형편없었을 때에는, 남들이 이런 책을 사서 보느라 헛돈과 헛시간 날리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비판 어린 글을 쓸 수 있습니다. 한편, 내가 느끼기에 후줄근하고 형편없는 책이라 해도, 이 책 하나를 보며 가슴이 벅차거나 따스해지는 분도 있겠지요. 심형래 감독은 다음에 어떤 영화를 찍고 우리 앞에 찾아올까요. (4340.8.2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