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2
시노마루 노다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5.12.

만화책시렁 433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2》

 시노마루 노다카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7.2.25.



  우리는 누구나 매우 뛰어나기에, 기쁘게 하루를 짓는 사람은 내내 기쁘고, 새카맣게 걱정으로 불태우는 사람은 늘 걱정스럽습니다. 무엇을 하려는지 생각해 봐요.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고 느끼면서 생각을 키우려는지 돌아봐요. 스스로 사랑을 바라기에 사랑으로 갑니다. 스스로 사랑을 안 바라니 사랑하고 멀어요. 스스로 웃으려는 사람이 웃고, 스스로 울려는 사람이 웁니다.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2》을 가만히 읽었습니다. 그림결이 더없이 투박하고 때로는 엉성하기까지 해서 제법 들쑥날쑥합니다. 그러나 투박하거나 엉성한 그림결로 들려주고픈 마음이 드러나기에 찬찬히 읽었어요. 마음에 얹는 짐은 남이 얹지 않아요. 늘 스스로 얹습니다. 못 하겠구나 싶으면 손사래치면 돼요. 굳이 우리가 할 까닭이 없습니다. 애써 우리가 떠안기에 스스로 짐스럽습니다. 짐인 줄 알면서 받아들인 사람은 네가 아닌 나입니다. 짐을 안긴 이를 탓할 일이 없어요. 짐을 받아들인 나를 다시 바라보면서 ‘무엇을 배우거나 느끼려고 굳이 짐을 안았나?’ 하고 생각할 노릇입니다. 짐을 안기에 잘못이지 않아요. 짐을 안고서 무엇을 배우려는지 스스로 찾아내야 할 뿐입니다. 가볍든 무겁든 모두 짐이에요. 가볍게 배우든 묵직하게 배우든 삶입니다. 좋은 일도 궂은 일도 없이 스스로 찾고 맞이하면서 사랑으로 가기에 비로소 웃습니다.


ㅅㄴㄹ


“누나랑 똑같아. 나도 내내 후회했거든.” (49쪽)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긴 휴가를 얻어 이쪽으로 내려오고, 계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어쨌든 여기서 살고 싶어졌어.” (50쪽)


“오늘은 그만 들어가.” “하지만, 아직.” “네가 아니라 꼬맹이가 힘들까 봐 그래. 네 사정에 휘둘리는 꼬맹이 입장도 생각해 줘라.”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천의 권 리제네시스 2
야츠 히로유키 지음, 츠지 히데키 그림, Buronson 감수, 하라 테츠오 원작 / 학산문화사(만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5.12.

책으로 삶읽기 746


《창천의 권 리제네시스 2》

 부론손 글

 하라 테츠오 그림

 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0.9.25.



“실패작한테 불만 있어?” “하! 당연하지! 이놈들 때문에, 이놈들 때문에…….” “실패작에 대한 불만은, 너 자신에게 말해!” (83∼84쪽)


“굳이 지옥 속에서 살아가는 속죄의 가시밭길을 택한 거야!” (118쪽)


“에리카, 너 혼자 희생할 필요 없어. 만약에 네가 네 본모습을 알고자 하는 길을 원한다면, 내가 그 길을 뚫어줄게.” (184쪽)



《창천의 권 리제네시스 2》(부론손 글·하라 테츠오 그림/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0)을 읽었다. 《북두의 권》하고 《창천의 권》을 잇는 그림꽃이다. 이 꾸러미는 줄거리하고 이야기가 똑같다. 주먹으로 사납이를 무너뜨리는 길을 그린다. 바른주먹하고 사납주먹이 나란히 서는 셈인데, 둘이 다른 대목은 늘 하나이다. 사납주먹은 어마어마하게 힘을 쓸 줄 알아도 스스로 사랑하지 않을 뿐 아니라, 늘 마음 한켠에 두려움이란 씨앗이 있다. 저보다 센 사납주먹이 나타나면 자리를 빼앗길까 봐 걱정하거나 두렵다. 이와 달리 바른주먹은 스스로 사랑하면서, 어떤 두려움도 무서움도 걱정도 마음에 심어 놓지 않는다. 사납짓을 하기에 두려움이 생긴다. 돈이며 이름이며 힘을 거머쥐려고 이웃을 짓밟고 동무를 죽이며 올라섰으니 걱정이 쌓인다. 그렇다면 사납주먹도 두려움이마 걱정이나 무서움이 없으면 거침없을까? 얼핏 보기에는 그럴 테지만, 이 셋을 지웠어도 사랑을 품지 않으면 늘 무너지게 마련이다. 스스로 옳다고 외치는 이들을 보라. 그들이 참말로 옳다면, “우리가 옳다(정의)”고 외치지 않으리라. 그들이 참말로 안 옳기 때문에 늘 “우리가 옳다(정의)”란 말을 외면서 덮어씌우려 한다. 바른길을 걷는 이는 스스로 바르다고 말할 일이 없이 그저 바르게 밝은 별빛으로 온누리를 포근하게 어루만지는 사랑으로 살아간다. 사납무리하고 사납주먹하고 사납무리는 ‘바른이’를 두려워하고 걱정하며 무서워하기에 ‘바른길’을 비틀거나 뒤틀거나 억누르려 한다. 여태 모든 나라지기하고 우두머리하고 벼슬아치하고 글바치가 이런 사납주먹 노릇을 해왔다.


#蒼天の拳 #蒼天の拳リジェネシス #原哲夫 #武論尊 #八津弘幸他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라에몽 컬러작품집 3
후지코 F. 후지오 지음, 유민선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2.5.8.

만화책시렁 372


《도라에몽 컬러작품집 3》

 후지코 F. 후지오

 유민선 옮김

 대원키즈

 2007.3.2.



  아이들이 자라면 함께 누리려고 《도라에몽》을 아주 깨끗한 판으로 짝을 다 맞추었습니다만, 아이들 손을 허벌나게 타는 동안 그만 ‘우리 집에서’ 짝이 온데간데없이 흩어졌고, 책은 너덜너덜하거나 찢어졌습니다. 그림꽃책뿐 아니라 그림책도 아이들이 자라는 동안 손길을 듬뿍 타면서 나달나달하거나 찢어지거나 손글씨(낙서)가 신나게 배었고요. 다시 찾아내기 어려운 책이 후줄그레하거나 사라지면 곰곰이 생각하지요. “뭐, 언젠가 다시 짝을 맞추겠지.” 아이들한테 문득 이런 얘기를 하면 “그랬나?” 하고 빙글빙글 웃습니다. 책이란 손길을 타게 마련이요, 가볍게 손길을 타면 오히려 오래도록 정갈하지만, 엄청나게 손길을 타면 낡고 닳습니다. 《도라에몽 컬러작품집》은 한글판이 모두 넉걸음 나왔습니다. 이 그림꽃책은 한 벌 두 벌 석 벌까지 새로 장만했지만 다 너덜너덜해요. 그래서 “자, 이 아이는 나중에 너희 아이들한테 남길 책이니 건드리지 말고, 너덜너덜한 책으로 다시 보렴.” 하고 얘기했는데, 어쩐지 슬금슬금 새책을 손대는구나 하고 느껴요. 아이들은 왜 도라에몽을 그렇게 반길까요? 또 빛깔을 입힌 《도라에몽 컬러작품집》에 이토록 손때를 묻힐까요? 누구나 어른 아닌 아이 눈으로 바라보면 다 알겠지요.


ㅅㄴㄹ


“우린 아빠랑 드라이브 간다.” “와, 부럽다.” “너희 아빠 운전하실 줄 알아?” “아니.” “너희 집에 자동차는 있어?” “아니. 왜 그런 걸 묻고 그래!” “그냥 한번 물어봤어.” “쳇! 기분 나빠.” (72쪽)


“숙제는 전혀 못 했네. 다같이 모이면 결국 놀게 된다니까.” “뭐 어때. 내일은 일요일인데. 어머, 별똥별이다. 중얼중얼. 앗, 아까워라. 벌써 사라졌네.” “뭐가 아까워?” “별똥별이 떨어지기 전에 소원을 빌면 그게 이루어진대.” “난 처음 듣는걸.” (158쪽)


#藤子F不二雄 #ドラえもん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 같은 1
아소 카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5.8.

만화책시렁 404


《와, 같은. 1》

 아소 카이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1.10.15.



  아이를 낳기 앞서부터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삶’이나 ‘아이들이 스스로 짓는 살림’을 다룬 이야기를 가까이했습니다. 우리 어머니 아버지를 보아도 어버이라는 길을 엿볼 만합니다만, 앞으로 스스로 지을 보금자리를 새록새록 그리려는 마음이었습니다. 《와, 같은. 1》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이 그림꽃에 나오는 두 어른은 어느 날 갑작스레 두 아이를 맡습니다. 아이를 낳을 생각이 없던 두 어른이요, 스스로 하는 일로도 바쁘거나 지쳐서 집안일을 거의 밀쳐두다시피 하는 하루인데, 어버이를 하루아침에 잃은 두 아이를 물끄러미 보다가 ‘돌보는 어버이’ 노릇을 하기로 다짐한다지요. ‘제법 큰 아이’를 맡아서 돌보기는 쉽지도 어렵지도 않습니다. ‘몸으로 낳은 아이’를 나날이 돌보기란 쉽지도 어렵지도 않아요. 아이돌보기를 쉽냐 어렵냐로 가르려는 눈길이나 목소리가 꽤 많습니다만, 도무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아이살림을 ‘쉽네 어렵네’로 가를까요? 사랑을 ‘쉽냐 어렵냐’로 가를 수 있는지요? 사랑은 오로지 사랑이고, 아이는 언제나 아이입니다. 삶은 늘 삶이며, 살림은 한결같이 살림입니다. 설거지나 빨래를 하루이틀 미룬들 ‘어려운 하루’가 아닌, 그저 ‘느긋이 사랑을 바라보며 가는 길’일 뿐입니다.


ㅅㄴㄹ


‘칭찬받을 만한 인생을 살아온 건 아니지만, 비바람을 막아주는 지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현재의 나 자신을 칭찬해 주자.’ (24쪽)


“매일 그러는 것도 아니고, 굳이 일을 하지 않더라도 바쁜 아침 시간에 도시락을 싸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는 다들 알고 있을 테니까 나쁘게 말하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안 그래도 아이를 키우느라 힘든데 그렇게 답답하게 옭아매면 노이로제에 걸릴걸요. 무엇보다 지금 아이도 어쩔 줄 몰라 하는 것 같고, 이대로 점심을 굶기는 게 더 안 좋지 않을까요.” (52쪽)


“다치기 전에 말리는 게 어른의 역할이고 그러려고 따라온 거예요. 진심으로 주의를 주는 게 뭐가 나쁘죠?” (127쪽)


#のような #麻生海


문득 생각하니

어버이날에 걸맞을

만화책 같다.


이 만화책 느낌글을

일곱 달이나 쟁였다가

쓰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츠바메의 가위 3 - 완결
마츠모토 스이세이 지음, 오경화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5.8.

책으로 삶읽기 747


《츠바메의 가위 3》

 마츠모토 스이세이

 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0.11.30.



“토리 이발소는 솜씨가 좋으면서 마음이 편한 곳이잖아? 그런 서민적인 부분이 좋은 거야. 고급 이발사 따윈 되지 말아라, 츠바메.” (13쪽)


“저기, 그건 뭘 위한 교양이죠? 손님이 놀고 싶다는데, 협조해 줘야 할 것 아닙니까.” (81쪽)


“여자 주제에 분에 넘친다는 건가요?” “이제 그런 건 낡았다는 뜻이죠. 은근 통쾌하지 않나요? 당신도 좀더 기뻐하세요. 실력을 인정받은 거니까.” (113쪽)


“누구나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올 수 있는 이발소도 동네엔 꼭 필요하잖아요.” (183쪽)



《츠바메의 가위 3》(마츠모토 스이세이/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0)은 머리집(이발소)에서 가위질에만 마음을 기울이는 츠바메가 아버지하고 작고 조용하게 머리깎기를 하는 살림을 그린다. 모두 석걸음으로 단출히 매듭을 짓는데, 그림꽃님 붓끝이 꽤 춤춘다. 아직 그림결이 탄탄히 서지 않은 채 그리느라 고작 석걸음 사이에도 그림이 뒤죽박죽이랄까. 우리로 치면 총칼수렁(식민지)이던 무렵이니 언뜻 ‘배부른 이야기’로 여길 수 있고, ‘뜬구름잡는 먼나라 이야기’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멋차림 꾸밈집’이 아닌 ‘마을 한켠 작은 머리집’에서 스스로 가위질을 가다듬는 아가씨가 ‘사내만 바깥일을 해야 한다’는 틀을 보기좋게 깨뜨리고서 활짝 웃는 삶길로 바라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쇼와 시대(1932년) 가위순이’가 홀로서기를 하는 길을 돋보이도록 그리느라 그림결이 아직 엉망이요 붓에 너무 힘을 주었으며, 그무렵 일본도 수수한 사람들 살림은 벅차게 마련이었으나 이 대목은 슬그머니 흘려버리고서 ‘뭔가 눈부셔 보이던 아득한 지난날’을 그렸다고 할 만하다. 이를테면, 흥청거리는 사람들이 멋부리려고 다듬는 머리카락 곁에, 머리집은 엄두를 낼 틈이 없이 집에서 투박하게 머리를 깎는 사람들 모습을 나란히 그려 보았다면, 또는 가난살림 사람들이 머리집을 찾아간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대목을 함께 그렸다면, 조금 더 볼만하거나 이야기를 끌어낼 만했다고 느낀다. 13쪽에 나오듯 “서민 이발소인 토리 이발소”라지만, ‘무엇이 서민스러운지’를 석걸음에 걸쳐 거의 못 그렸단 뜻이다. 끝자락에 ‘설맞이 길거리 머리손질’이 살짝 나오지만, 그야말로 살짝이다. 그래도 더 생각해 볼 수 있으니, ‘머리집 가위순이 가위돌이’를 그림감으로 삼을 만큼, 그림꽃으로 담아내는 이야기를 넓고 깊이 볼 줄 아는 이웃나라요, 우리로서는 참 까마득한 길이다.


ㅅㄴㄹ


#松本水星 #燕のはさみ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