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한 고양이 쿠로 4
스기사쿠 지음 / 시공사(만화)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2.6.19.

만화책시렁 437


《묘(猫)한 고양이 쿠로 4》

 스기사쿠

 정기영 옮김

 시공사

 2003.11.24.



  고양이를 다루는 글책·그림책·그림꽃책(만화책)·빛꽃책(사진책)이 쏟아지는데, 이 가운데 고양이를 ‘귀엽게’ 담는 틀을 따르지 않는 책은 꽤 드뭅니다. 고양이를 ‘고양이로’ 다루는 책이 드뭅니다. 《묘한 고양이 쿠로》는 고양이를 고양이 눈빛으로 마주하면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빛나는 책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림꽃님이 이처럼 고양이 삶자국을 담아낸 바탕은 무엇일까 하고 돌아보면 오직 하나입니다. 사람 눈높이가 아닌 고양이 삶결로 바라보았어요. 풀꽃나무를 꽃그릇에 담아내는 틀을 따를 적에는 풀꽃나무하고 속삭이는 이야기하고는 으레 멀곤 하더군요. 풀이며 꽃이며 나무가 들이나 숲이나 골목에서 스스로 뿌리내리는 삶결을 그대로 받아들일 적에는 ‘곁풀(반려식물)’이 아닌 그저 ‘풀’로 받아들입니다. 그대가 어른이라면 아이를 어떤 눈으로 바라보나요? 그대는 이웃을 어떤 눈으로 마주하나요? 그대는 이 푸른별을 어떤 눈으로 생각하나요? 고양이를 ‘곁짐승(반려동물)’이 아닌 그저 ‘고양이’로 바라볼 수 있을 적에 비로소 마음이 오가고 섞이면서 이 삶을 들려주고 듣는 이야기로 나아간다고 느낍니다. 곁풀이나 곁짐승이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풀은 풀이요 고양이는 고양이입니다. 이 숨빛을 잊지 말아요.


ㅅㄴㄹ


‘매일 아침 아츠코는 울면서 이동되어 나를 부르며 지나간다. 그런 아츠코를 보면 나는 다소의 위험한 일을 감수하고 아츠코가 있는 곳을 방문해 주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언제나 기다리고 있던 곳에 아츠코는 보이지 않았고,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내가 온 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그무렵부터 아츠코는 울지 않게 되어, 나는 또다시 느긋함을 되찾았다.’ (105∼106쪽)


“죄송합니다. 이제 돌아가 주세요.” “네?” “우리 집 고양이는 장난감이 아니에요.” “나 참 실례잖아. 수염쟁이가. 일부러 놀러와 줬더니 돌아가라고? 뭐야, 저 태도.” (130쪽)


#クロ號 #杉作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나레나의 비밀 편지 - 꼭 알고 싶은 나의 몸 이야기
안명옥.황미나 지음 / 책과이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숲노래 만화책 2022.6.15.

만화책시렁 436


《루나레나의 비밀편지》

 안명옥 글

 황미나 그림

 책과이음

 2020.8.17.



  어린이·푸름이한테 ‘사랑’을 들려주거나 가르치는 어른이 너무 적습니다. ‘사랑’이 아닌 ‘성교육’만 하는 하는 어른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마치 ‘총칼로 평화를 지키니까 군대·전쟁무기를 잔뜩 갖춰야 한다’고 외치는 셈입니다. 그런데 ‘사랑 아닌 성교육’만 있는 이 나라에서 ‘성교육을 슬기로이 들려주는 책’조차 제대로 낸 적이 없다시피 합니다. 보다 못한 김수정 님이 《귀여운 쪼꼬미》를 1990년에 선보였고, 황미나 님이 《루나레나의 비밀편지》를 2003년에 내놓습니다. 《귀여운 쪼꼬미》는 그리 눈길을 못 받고서 사라졌지만, 《루나레나의 비밀편지》는 동아일보사에서 펴내면서 널리 읽혔고, 2020년에 새옷을 입고 나오기도 합니다. 2003년하고 2020년은 틈이 있기에 예전 책을 그대로 내는 대목은 아쉽지만, 이만큼 다루는 ‘성교육 길잡이’조차 드물어요. 더 생각해 보면, 어린순이·푸른순이한테는 길잡이책이 있되, 어린돌이·푸른돌이한테는 무슨 길잡이책이 있을까요? 돌이는 순이 곁에서 ‘사람으로서 포근히 숨결을 아끼는 손길·눈빛’을 노래로 배울 적에 비로소 사랑이라는 참빛에 눈을 뜨리라 생각합니다. ‘성교육’은 ‘겉몸’에 매입니다. ‘사랑’이어야 ‘마음빛’을 바라보며 살림꽃으로 나아갑니다.


ㅅㄴㄹ


신을 제외하고는 세상의 어느 과학자도 인간을 만들지 못하잖아. 그런데 우리 여자들은 인간을 만들어내잖니. (48쪽)


게가다 그걸 일일이 빨아서 썼다는 거 있지? 팬티에 묻은 걸 빠는 일만 해도 장난이 아닌데. 만일 생리대를 매일 빨아서 써야 한다면, 으으윽∼ 생각만 해도 끔찍해. 누가 생리대를 만들었는지 정말 너무 고마운 거 있지? 만나면 과자 좀 사드릴까 봐. (102쪽)

.

.

‘달거리천’으로

손수 삶고 말리고 개서

쓰는 길을 왜 못 다룰까.


아기 기저귀천을 

삶고 말리고 개서 쓰듯

달거리천도 매한가지요,


‘달거리천·기저귀천’을

삶고 말리고 개는 살림을

누구보다 집에서

아버지·아들이 맡을 노릇이라고 본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1~8 세트 - 전8권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허영만 글.그림, 이호준 취재, 김장구 감수 / 김영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숲노래 만화책 2022.6.15.

만화책시렁 438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3》

 허영만

 월드김영사

 2012.2.13.



  발자취(역사)를 그린다는 이들은 ‘엄마아빠’ 이야기를 안 그리더군요. 아니, 우리나라에서만 드문 듯싶습니다. 우리나라는 남달리 배움수렁(입시지옥)이 있고, 배움수렁에 발맞춘 책장사가 오래도록 득시글합니다. 무엇이든 ‘학습’을 앞에 붙여야 잘 팔리고, 이 얼거리에 맞추어 ‘엄마아빠 이야기’가 아닌 ‘임금님·벼슬아치·글바치·싸울아비 이야기’를 엮어야 널리 알아준다고 여겨요. 이웃나라 일본에서 모리 카오루 님이 오래도록 《신부 이야기》를 그립니다. ‘꽃순이(신부)’를 바탕으로 그리되, 들판에서 살림을 지은 수수한 사람들 이야기를 한가득 선보이지요. 이와 달리 허영만 님이 선보인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는 ‘팔림새’에 눈길을 맞춘 싸울아비 이야기입니다. 언뜻 보면 ‘칭기즈칸’ 발자취를 빛깔로 곱게 담은 듯하지만, 사납게 죽이거나 막짓(강간)을 일삼는 모습을 아무렇지 않게 그려요. 무엇보다 ‘칼을 쥐어 힘으로 꺾는 쪽은 옳다’는 마음을 잔뜩 펼쳐냅니다. 지난날 칭기즈칸은 칼부림에 죽음잔치에 싸움판을 피로 물들인 자취였다고도 할 테니, 이를 그림꽃으로 담을 적에도 ‘칼싸움 죽음잔치’로 기울기 쉽겠지요. 칼빛이 얼마나 덧없는지 모르는 채 그리는 붓쟁이도 똑같이 덧없는데 말이지요.


ㅅㄴㄹ


“하지만 전쟁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넓은 호수도 계속 고여 있으면 바닥이 썩고 물고기들이 죽는다. 가끔 폭풍이 불어서 호수 바닥을 뒤집고 비가 와서 깨끗한 물을 채워 줘야 고기가 살 수 있다.” (92쪽)


“저 영감은 내 손으로 죽이겠어!” “어르신, 안 됩니다. 단칼에 죽여 고통을 줄이는 자비를 베푸실 작정입니까?” (21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과 식욕과 나 5 - 픽시하우스
시나노가와 히데오 지음, 김동수 옮김 / 영상출판미디어(주)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숲노래 만화책 2022.6.15.

만화책시렁 442


《산과 식욕과 나 5》

 시나노가와 히데오

 김동주 옮김

 영상출판미디어

 2020.10.1.



  우리가 사는 터전은 틀림없이 한 사람만 있지 않습니다. 사람 곁에 사람이 있고, 사람 사이에 사람이 있어요. 모든 사람은 이이를 둘러싼 뭇사람 손길이며 숨결을 받으면서 자라나고 피어납니다. 혼자 모든 살림을 짓는다 하더라도, 어머니랑 아버지라는 ‘다른 두 사람’이 있어야 하고, 어머니랑 아버지도 저마다 ‘다른 두 사람’이 있기에 태어났어요. 《산과 식욕과 나 5》을 읽으며 ‘멧골순이(아웃도어걸)’ 이야기를 헤아립니다. 짝이나 무리를 지어 다니고 싶지 않은 아가씨는 늘 혼자 짐을 꾸리고 먹을거리를 챙겨서 멧골을 오르내립니다. 여느날에는 일터를 다니면서 돈을 번다면, 드디어 쉬는날에 모든 겉옷(사람들 사이에서 차린 겉모습)을 훌훌 내려놓고서 ‘멧골순이’란 새옷으로 갈아입고서 척척 멧길을 탑니다. 멧골순이는 멧길을 잘 타지는 않습니다. 빠르게 오르지도 느리게 걷지도 않습니다. 그저 멧골순이로서 제 걸음걸이를 헤아립니다. 꼭대기에 오르거나 등성이에서 쉬며 차리는 밥 한 그릇도 대단하거나 놀라운 밥이지 않아요. 혼자서 느긋이 누릴 한 끼니를 살펴 등짐을 멥니다. 홀로 누울 천막을 메고, 홀로 오갈 만큼 멧숲을 마십니다. 곰곰이 보면 멧자락에 ‘다른 사람’은 드물어도 풀꽃나무에 숲짐승이 있고, 해바람비가 있습니다. 네, 사람은 바로 풀꽃나무에 해바람비가 있어 비로소 사람입니다.


ㅅㄴㄹ


‘버스에서 내리고 7시간. 누구와도 만나지 않다니. 별일이네. 조용하고 평온하게 명상하는 것 같은 산행이었어.’ (42쪽)


“와아! 그렇구나! 잘 아시네요!” ‘오늘 아침에 저 능선을 걸어왔으니까요.’ (62쪽)


“그렇구나! 걸이 아닌데 걸이라고 말하면, 자기가 젊지 않은 게 도리어 확실해지고 마는 것 같은 거네.” “아, 나도 그런 시기 있었지.” “나도 좀 지나서 신경 쓰이지 않게 됐어. 도리어 요샌 아웃도어 걸이라고 불리는 쪽이 기뻐졌고.” “젊은이까 당당하게 아웃도어 걸이라고 해요!” (10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아웃 3
아사키 마사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2.6.11.

책으로 삶읽기 751


《BLACK OUT 3》

 키사라기 류 글

 아사키 마사시 그림

 RYUN 옮김

 학산문화사

 2012.3.25.



“그 사건과 관련된 사람이 우에하라와 하타나카만 있는 게 아니야. 나도 그 시합에서 사가미키타가 지는데 협력했다.” (103쪽)


“이건 전쟁이야. 상대는 야쿠자 조직원이고. 죽느냐 죽이느냐의 문제인 거지.” (132쪽)


“계약금이라니요? 설마 야쿠자가 선배가 프로가 되는 걸 방해했습니까?” “아니, 그렇지 않아. 내 실력으론 프로 구단은 물론 사회인 야구단에서도 활동 못했을 거다.” “그, 그럼 무슨 계약금인 겁니까?” (133쪽)



《BLACK OUT 3》(키사라기 류·아사키 마사시/RYUN 옮김, 학산문화사, 2012)을 읽으며 곰곰이 생각했다. 미리 짠 줄거리에 맞추어 이야기를 펴려고 애쓰느라 정작 그림꽃님이 무슨 말을 들려주고 싶은가 하는 대목이 자꾸 엇나가는 듯하다. 그림결을 반듯하게 가다듬느라 애쓰고, 뒷이야기를 궁금해 하도록 귀띔이나 실마리를 슬쩍 엮어 놓는 듯하구나 싶으나, 뻔하게 흘러가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 한다. 무엇을 그리고 싶었을까? ‘갑자원 이야기’? ‘갑자원조차 뒷돈이 오간다는 이야기’? ‘법이 있어도 깨부수는 야쿠자가 일본에 버젓이 있다는 이야기’? ‘그저 공을 던지고 받으면서 땀흘리는 하루를 그리는 아이들 이야기’? 너무 뒤죽박죽이고, 얼른 이 줄거리를 그려내려고 서두르면서 다 엉킨다고 느낀다. 느긋하게 풀어내든지, 좀더 길게 보고 틀을 짜서 그리면 좀 달랐을 텐데. 안타깝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