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아이의 부모로 산다는 것 장애공감 2080
그레고리 마이외.오드리 레비트르 지음, 김현아 옮김 / 한울림스페셜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7.6.

만화책시렁 444


《청각장애 아이의 부모로 산다는 것》

 그레고리 마이외·오드레 레비트르

 김현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19.9.23.



  우리를 둘러싼 말을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장애·장애인·장애자·장애아’는 우리말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이런 말을 안 썼습니다.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이 한자말을 쓴 지는 고작 온해(100년) 즈음입니다. 어느덧 ‘비장애’라는 일본스런 한자말까지 들여오는데, 사람을 왜 ‘장애·비장애’라는 틀로 갈라야 할까요? 우리가 처음 지어서 쓰던 말은 ‘갈라치기(구별·차별)’가 아닌, 삶빛을 고스란히 옮긴 이야기였습니다. 다리를 절거나 앉은 채 살거나 눈 한 쪽이 멀거나 소리를 못 듣거나 말을 못 하는 모습을 그저 그대로 담을 뿐이었어요. ‘장애·비장애’라는 말을 쓰면 쓸수록 오히려 더 갈라치기를 하고 따돌리지 않나요? 《청각장애 아이의 부모로 산다는 것》이란 이름으로 옮긴 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을 여민 두 사람은 ‘장애아’를 돌보는 가싯길을 그립니다. 두 사람은 ‘장애아를 맡길 데’를 찾느라 힘겹고, ‘장애아를 맡길 만한 데에 드는 돈이며 품 탓에 쓰러질 판’에 이릅니다. 나라가 맡을 일이 틀림없이 있습니다만, 어버이로서 먼저 살필 대목이 빠졌다고 느낍니다. 그리고 책이름은 워낙 “귀가 어둡다”예요. ‘둘레에서 아이를 보며 귀가 어둡다’고 말하지만, ‘정작 나라야말로 귀가 어둡다’는 겹뜻이지요.


ㅅㄴㄹ


왜 우리한테 이런 일이? 지금까지 당한 고통으로 충분하지 않단 말인가?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지? 우리 가족은? (31쪽)


전문가들은 우리에게 많은 조언을 해주었다. 하지만 베토벤 센터의 전문가들을 신뢰하지 않게 된 나는 그 조언에 믿음이 가지 않았다. 우리 스스로 경험해서 알게 된 걸 더 신뢰했다. (81쪽)


샤를은 확실히 난청이 아니었다. 사실 진짜로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은 따로 있었다. (123쪽)


#Tombedansloreilledunsourde #AudreyLevitre #GregoryMahieux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천의 권 20
Buronson 글, 하라 테츠오 그림 / 학산문화사(만화)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2.7.5.

책으로 삶읽기 750


《창천의 권 20》

 부론손 글

 하라 테츠오 그림

 오경화 옮김

 학산문화사

 2010.3.25.



‘아성. 나의 아들아! 광운, 태염, 종무, 다들 너와 싸웠던 걸 자랑스레 여기고 있단다. 너야말로 구원의 빛이야. 자, 그 빛으로 힘차게 끌어안으렴. 방황하는 북두의 숙명들을!’ (18∼19쪽)


“난 하늘의 목소릴 들었다.” “하늘이 뭐라고 하더냐?” “거기에 말은 존재치 않는다!” (25쪽)


“하늘의 뜻이란.” “이건 여인상의 자비예요. 두 사람의 마음을 구원하기 위한.” “두 사람의 마음을.” “종무는 최후의 순간 죽음을 받아들였어요. 그리고 켄시로는 그 낌새를 알아차렸죠.” (131쪽)



《창천의 권 20》(부론손·하라 테츠오/오경화 옮김, 학산문화사, 2010)을 읽었다. 처음도 끝도 모든 줄거리를 다 알면서 본다고 할 만하다. 이 그림꽃책에서는 늘 한 사람만 이기고, 다른 사람은 모두 지니까. 아주 뻔한 줄거리로 엮기 때문에 더욱 반짝이면서 놀랍게 힘을 쏟아내는 주먹다툼으로 나아가는데, 이 한복판에 흐르는 마음 하나를 볼 수 있다면, 이 책을 쥔 보람이 있겠지. 겉으로는 끝없이 주먹다툼을 하는 판이라지만, 언제나 ‘사랑이라는 마음’이 아니고서는 이길 수 없을 뿐 아니라, 이기더라도 쓸쓸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사랑이라는 마음’이라면 구태여 싸울 일이 없고 이기거나 져야 할 일조차 없이, 늘 스스로 고요하면서 환하게 삶을 짓는다는 뜻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큐이디 Q.E.D 16 - 증명종료
카토우 모토히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7.5.

책으로 삶읽기 749


《Q.E.D. 16》

 카토 모토히로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3.10.25.



“그런데 자네라는 인간을 알려고 보니 한 가지 의문에 부딪히더군. 오늘은 그 질문에 답해 주는 것만으로 충분하리라 생각해. 가르쳐 주겠나?” “뭘요?” “자네는 어째서 MIT를 나온 뒤 일본 고등학교에 들어갔지?” (44쪽)


“그래요, 말로는 설명할 수 없어요.” “그게 뭐야!” “사실 무리인걸요. 그것에는 아직, 이름이 붙어 있지 않으니까요.” (55쪽)


“료쿄 씨의 편지에 쓰여 있었죠? 자기가 도망쳐도 남편은 늘 쫓아온다고. 하지만 료코 씨가 없어졌던 그날, 그 남자는 쫓아가는 척도 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확신했죠. 이 남자가 죽였다고.” (187쪽)



《Q.E.D. 16》(카토 모토히로/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3)을 읽었다. 길게 뻗는 이야기에 가로지르는 마음은 늘 하나이다. ‘남이 보는 눈’이 아닌 ‘내가 보는 눈’으로 살아가고, ‘겉을 보는 눈’이 아닌 ‘속을 보는 눈’으로 사랑하려는 길을 줄거리로 갈무리한다.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까? 꿍꿍이나 검은셈을 어떻게 알아챌까? 수수께끼를 내거나 꿍꿍이가 있거나 검은셈을 감추는 이들은 한결같다. 속이 아닌 겉을 바라보게 마련이요, 사람들이 속을 못 보고 겉에 휘둘리도록 꾸며 놓는다. ‘남이 보는 눈’에 갇히기에 겉에 휘둘린다. ‘내가 보는 눈’으로 서며 사랑을 짓는 ‘속을 보는 눈’이라면 스스로 빛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흑철+ 3
토우메 케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7.5.

책으로 삶읽기 752


《흑철+ 3》

 토우메 케이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1.12.25.



《흑철+ 3》(토우메 케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1)을 읽었다. 첫걸음은 이럭저럭 볼 만하다고 여겼으나 어쩐지 갈수록 옆길로 새는구나 싶더라. 뒷자락을 다 읽고서 곰곰이 생각해 보는데, 그림꽃님 스스로 줄거리를 찬찬히 갈피를 잡지 못한 채 섣불리 그리려 했구나 싶더라. 이야기가 나오지 않으면 붓을 내려놓으면 된다. 억지로 그리려 하면 줄거리가 너무 억지스럽다. 그림꽃책은 글하고 그림이 어우러지면서 빛나는 이야기인데, 이 두 가지를 자꾸 잊으면서 헤매면, 그림꽃님뿐 아니라 읽는이도 어지럽다. 아쉽다.


ㅅㄴㄹ


“우리 목적은 진테츠뿐이다. 다른 자에겐 손대지 않도록 해두지.” “그 말을 어떻게 믿어? 너도 일이라면 사람을 죽이잖아. (58쪽)


“강하다면 애초에 그런 일을 당하지도 않았을 거야. 물론 적은 그녀를 인질로 삼을 속셈일 테니 쉽게 걸려들고 싶진 않겠지. 그 마코토 씨란 사람은 당신 때문에 휘말린 거잖아.” (71쪽)


“마코토 씨 말대로 이런 종이쪼가리에 사람들이 놀아나는 건 한심한 일이에요.” (16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망소녀 히나타짱 4
쿠와요시 아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7.5.

책으로 삶읽기 769


《할망소녀 히나타짱 4》

 쿠와요시 아사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9.12.15.



《할망소녀 히나타짱 4》(쿠와요시 아사/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9)을 읽었다. 어린이한테도 읽힐 그림꽃책이다. 다만, 어린이한테만 읽혀서는 안 될 노릇이고, 어른이 먼저 찬찬히 읽고서 함께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삶죽음을 슬기로이 바라보면서 풀어내어 들려주지 않는다면, 애써 이 책을 읽을 까닭이 없다. 삶이나 죽음이 한 판으로 끝날 수 있을까? 스스로 깨달은 이가 되어 하늘로 날아오른다면, 다시 살거나 죽는 일이 없겠지. 스스로 깨닫지 않거나 뭔가 얽매이는 나날이라면 죽살이를 되풀이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되풀이하는 삶죽음이더라도 빙그레 웃으면서 오늘을 누릴 수 있다. 죽살이를 되풀이하기에 나쁘지 않다. 삶하고 죽음 사이에 흐르는 하루를 스스로 바라보고 마주하면서 품을 줄 알면 모두 새로우면서 아름답다.


ㅅㄴㄹ


“다음 생에서 다시 널 만나면 좋겠다. 그땐 더 열심히 빛을 내볼게.” (55쪽)


“구름을 보면 날씨를 좀 읽을 수 있달까.”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지.” “난 그걸로 내일을 살짝 엿보고 안심하고 싶은 것뿐이야.” (72쪽)


“쑥을 상처에 붙이면 가려움증이랑 찰과상에 좋단다. 이걸로 넘어진 상처는 괜찮을 거야.” “히나타.” “미도리, 운동회란 아이의 성장을 볼 수 있는 중요한 행사인데, 운동을 못한다고 빠지면 부모님이 가엽잖니.” (101쪽)


‘설령 사쿠야랑 사다오가 만난다 치자, 사쿠야는 그런 다음 어쩌고 싶은 걸까.’ (14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