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라이온 14
우미노 치카 지음 / 시리얼(학산문화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9.12.

책으로 삶읽기 785


《3월의 라이온 14》

 우미노 치카

 서현아 옮김

 시리얼

 2019.8.25.



《3월의 라이온 14》(우미노 치카/서현아 옮김, 시리얼, 2019)은 푸른배움터에서 벌이는 열린잔치를 이야깃감으로 삼는다. 푸른배움터를 다니는 동안 열린잔치가 가장 클 수는 없을 테지만, 일본에서는 이때를 매우 크게 여기는구나 싶다. 곰곰이 보면, 여느날은 늘 같은 쳇바퀴라 할 나날이요, 열린잔칫날만큼은 남다르게 꾸미고 펴고 만나고 어우러지기 때문일 수 있다. 이 그림꽃은 작은 데에서 ‘살아가는 기쁨’을 맛본다는 줄거리를 짜기에 열린잔치를 크게 다루는구나 싶기도 한데, 작은 데를 눈여겨보려 한다면, 여느날 늘 듣는 수수한 배움자리(수업)라든지, ‘장기가 아닌 다른 갈래(과목)에서 새롭게 느끼는 작은 기쁨’을 얼마든지 그릴 만하리라. 줄거리가 돌고돌아 드디어 두 순이돌이가 서로 ‘좋아한다’는 말을 하는 코앞까지 이른다. 이 말을 하기까지 열넉 자락이나 그린 셈인가. ‘좋아한다’는 말을 너덧 자락쯤 앞서 진작 그리면 곁딸린 줄거리가 그리 따분하지는 않았으리라.


ㅅㄴㄹ


“물건을 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의자나 테이블을 놓고, 잠시 앉아 쉬어가면서 누군가와 이야기도 하고.” “가볍게 차도 마시고, 달달이도 먹고.” “간식만이 아니라 가볍게 요기가 되는, 유부초밥이나 간장소스 경단이나, 여름에는 빙수나 시라타마 시럽도 있고.” (18쪽)


이 가게는 폭넓은 연령층의 손님들에게 사랑받는다는 것이 전해져 왔다. 어른도 아이도 쉽게 도전할 수 있고, 심오한 세계가 있으며, 언제까지나 즐길 수 있다. (57쪽)


발을 멈추면 떨어져 버린다. 에너지의 단 몇 퍼센트라도 다른 일에 쏟으면 추락하지는 않을지언정 고도가 내려간다. 그래도 소중한 것이 생긴다면, 떨어질 듯 떨어질 듯하면서도 아슬아슬할 때까지는 시간과 마음을 바치고 싶다. (7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물 로봇 퐁코 4 - S코믹스 S코믹스
야테라 케이타 지음, 조원로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9.10.

책으로 삶읽기 784


《고물 로봇 퐁코 4》

 야테라 케이타

 조원로 옮김

 소미미디어

 2022.8.24.



《고물 로봇 퐁코 4》(야테라 케이타/조원로 옮김, 소미미디어, 2022)을 읽었다. 아주 볼만하다고는 여기지 않으나, 가만히 생각을 다스리는 길에 곁에 둘 만하다고 느낀다. 낡아서 버릴 쇠붙이를 일본말로 ‘퐁코’라 한다는데, 어느 날 할아버지한테 찾아든 로봇한테 ‘퐁코(ポン子)’로 이름을 붙이면서 함께 지내는 줄거리를 들려준다. 이른바 ‘낡순이’ 로봇하고 살아가는 셈이다. 낡순이는 으레 삐걱거리고, 곧잘 머리통이 떨어지며, 생각을 해보려다가 그만 펑 터지곤 한다. 사람들은 로봇이란 쇠붙이는 ‘생각을 못 한다’고 여기지만, 종이도 붓도 쇠붙이도, 또 로봇이란 숨결도 ‘생각을 하는 숨결’이다. 그저 ‘사람하고 다른 결로 생각할 뿐’이다. 사람이 만들었기에 종(노예)으로 부리다가 버려도 된다고 여긴다면, 사람이야말로 이 푸른별에서 내다버릴 만하다고 느낀다. 삶을 바라보고 오늘을 생각하고 별을 그리는 마음이기에, 비로소 생각이라는 씨앗이 자랄 수 있다.



“인간은 하고 싶은 일이 많아서 흥미로워요. 로봇에게는 주어진 목적밖에 없으니까요.” (10쪽)


“곰 씨를 죽이지 않고 끝낼 방법은 없을까요?” “너 그게 무슨 소리야? 로봇이 인간을 방해하면 안 되지!” (68∼69쪽)


“저는 인간을 돕기 위해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인간을 돕기는커녕 방해만 하고 말았어요.” “늘 있는 일이잖냐?” (77쪽)


“딴짓하지 말고 공부나 해.” “왜 할아버지가 내 할 일을 정하는 거야? 할아버지도 엄마랑 똑같아.” (87쪽)


#ぽんこつポン子 #矢寺圭太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10
호시노 나츠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9.9.

책으로 삶읽기 780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10》

 호시노 나츠미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7.2.15.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10》(호시노 나츠미/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7)을 되읽었다. 아무래도 아이들하고 곧잘 되읽는다. 줄거리가 상냥하기도 하지만, 이 그림꽃책은 사람 눈높이에서만 고양이나 이웃을 그리지 않는다. 또한, 자질구레한 대목을 끼워넣지 않고, 집고양이하고 마을고양이 사이를 넘나들고, 고양이라는 마음으로 가볍게 들어가서 사뿐히 마실하는 눈빛을 살며시 담아내기도 한다. 《코우메》를 읽고 되읽다 보면, 이처럼 착한 어른하고 아이만 있는 푸른별일까 싶기도 한데, ‘그저 그림꽃스럽다’고 하기보다는 숱한 사람들이 나날이 자꾸 잊으면서 잃는 마음을 부드러이 짚는다고 해야 알맞겠다고 느낀다. 사람이 사람답다면 사람만 쳐다보지 않으리라. 사람이 사람답기에 풀꽃을 아끼고 나무를 보듬으며 숲짐승하고 어깨동무하겠지. 사람이 안 사람답기에 풀꽃나무에 숲짐승하고 등질 뿐 아니라, 사람끼리도 괴롭히거나 속이거나 들볶거나 짓밟거나 끝없이 싸우고 겨룬다. 《코우메》는 사람이 사람답게 빛나는 곳에서 이웃(이 가운데 고양이를 들어서)하고 어울리는 즐거운 길을 다룬다고 할 만하다.


ㅅㄴㄹ


“너무해∼.” “니가 맨날 코우메한테 하는 짓이랑 똑같잖아∼” (9쪽)


“혹시, 내가 한 말 알아들었니?” (87쪽)


“너, 공원에 있을 때랑은 완전히 다른 고양이 같구나. 이렇게 사람을 잘 따를 줄은 몰랐어. 잠시 우리 모습이 보이지 않아서 불안했나? 미안, 그랬니?” (100쪽)


“고양이는 왜 상자에 들어가는 걸까요?” “거기에 상자가 있기 때문이죠.” (143쪽)


#キジトラ猫の小梅さん #ほしのなつみ #ねこぱんちコミック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
시노마루 노다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9.9.

책으로 삶읽기 781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

 시노마루 노다카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0.10.25.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시노마루 노다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0)를 읽었다. 아이·어버이·동무·이웃·마을·숲이 얽힌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내면서 막바지에 이른다. 어버이가 낳아 돌보는 숨결이기에 아이요, 나이가 들어 어른이란 자리에 설 적에도 어린날 누린 사랑을 기쁘게 돌아보면서 새롭게 펼 줄 알기에 아이라 할 만하다. 사람 곁에는 사람인 동무하고 이웃도 있으나, 사람이 아닌 숲짐승이며 풀꽃나무라는 동무하고 이웃도 있다. 마을이라 할 적에는, 사람이 사는 집만 모였다는 뜻이 아니다. 숲을 품고 숲짐승을 안으며 풀꽃나무하고 흐드러지기에 비로소 마을이라고 한다. 오늘날 서울(도시)이란 얼거리라면 마을하고 멀다. 사람들 사이가 메마르거나 팍팍한 탓을 보라. 벼슬꾼(공무원)이나 우두머리(대통령·지도자)가 어리석은 모습을 보라. 적잖은 글바치가 돈·이름·힘에 끄달리는 얼거리를 보라. 참다운 사람빛을 잃은 사람을 보면, 하나같이 서울(도시)에서 산다. 숲하고 풀꽃나무를 잊거나 버린 채, 숲짐승이며 풀꽃나무가 이웃인 줄 모르는 쳇바퀴에서 허덕인다. 숲을 잊기에 돌림앓이에 갇히는 사람일 테며, 숲을 등지기에 부스러기(지식)에 매달리며 싸우는 사람이다. 숲을 품고 돌보기에 빛나는 사람일 테며, 숲빛으로 살림을 가꿀 줄 안다면, ‘너구리 아이’가 ‘너구리 아이’로 곁에서 함께 살아가는 줄 마음으로 언제나 알아차리리라.


ㅅㄴㄹ


“아니, 뭐, 지금 그대로도 괜찮지 않나요? 나도 까다로운 성격은 아버지를 닮아서, 피는 못 속인다고나 할까. 게다가 난 오늘 즐거웠어요.” (27쪽)


‘그러고 보니 난, 애써 앞날을 생각하지 않으려 했던 게 아닐까. 변함없는 매일이 앞으로도 쭉 이어질 거라 믿고 싶었다. (58쪽)


‘내내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어째서 포코는 내게로 왔을까. 뭔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8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うどんの国の金色毛鞠 #篠丸のど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O 마오 12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9.8.

책으로 삶읽기 782


《마오 12》

 타카하시 루미코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2.7.25.



《마오 12》(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2)을 읽었다. 무엇이든 끝이 없을밖에 없다는 대목을 잘 드러내는 얼거리이다. 꿈도 생각도 끝이 없다면, 사랑도 끝이 없고, 미움하고 시샘도 끝이 없다. 돈바라기나 이름바라기나 힘바라기도 끝이 없고, 배고픔도 끝이 없다. 그러면 이 끝없는 삶에서 ‘어떤 끝없음’으로 갈 셈인가? 누구를 미워하기에 누구를 죽였으면, 이렇게 죽였으니 ‘된’ 일 아닐까. 죽임질을 왜 멈추지 못 하는가. 가난이 싫어 돈을 벌었으면, 벌어들인 돈을 즐겁고 아름답게 쓰면 될 텐데, 언제까지 돈만 긁어모을 셈인가. 모자라다고 여기는 마음은 끝없이 스스로 갉아먹는다. 그런데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은 줄 알아차리면서 스스로 빛나는 사랑일 적에는 늘 스스로 싹을 틔운다. 사랑길에서 한 걸음이라도 벗어나면 ‘사랑 아닌 굴레’나 ‘사랑인 척하는 수렁’에 잠긴다. 사랑은 입으로 떠드는 말이 아닌, 오직 삶으로 빛나는 포근하면서 즐거운 넋이다. 사랑을 잊기에 미움에 사로잡히고, 사랑을 스스로 버리기에 시샘이며 주먹질에 휩쓸린다.


ㅅㄴㄹ


“아아, 처음부터 이렇게 했으면 좋았을걸. 나는 그 길로 누나가 있던 집으로 가서 마당을 파헤쳤다. 정말로 누나는, 마당 한구석에 쓰레기마냥 묻혀 있었다. 월금과 함께. 그 집에 불을 지르고, 그다음에는 생각나는 대로, 아이들이 팔려간 집이나 유곽에 불을 지르고 다녔지.” (17∼18쪽)


“누나는 한이 맺혔겠지. 네 분노도 이해가 간다. 하지만, 그것과 네가 거듭하는 암살은 경우가 달라.” (21쪽)


“하지만 아이들은 내장이 어른보다 덜 더러우니까 깨끗하게 씻어서 신선한 간을 꺼내야지.” “그, 그런 짓을!” “그리고 너처럼 젊은 여자로 만든 약은 비싸게 팔 수 있어. 회춘이나 미백효과가 있으니까.” “뭐야? 겨우 그런 걸 위해…….” (119∼1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