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의 병동 1
오키타 밧카 지음, 서현아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1.30.

만화책시렁 483


《이별의 병동 1》

 오키타 밧카

 서현아 옮김

 문학동네

 2021.11.17.



  삶을 마감하는 자리에서 마지막으로 돌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켠에서 보자면 ‘끝자락’이요, 맞은켠에서 보면 ‘끝돌봄’입니다. 끝자락에 선 사람 곁에 찾아오는 사람이 없기 일쑤이고, 끝돌봄을 맡는 사람은 그야말로 마지막길을 지켜보면서 매듭짓는다고 할 만합니다. 《이별의 병동 1》는 날마다 새롭게 헤어지고 또 헤어지고서, ‘다시 헤어질 사람’을 자꾸자꾸 맞아들이는 돌봄일꾼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끝돌봄터(호스피스 병동)에 깃든 사람은 이곳에서 튼튼몸으로 나가는 일이 없다지요. 거의 누워 지내다가 주검이 되어야 나간다고 합니다. 끝돌봄(임종간호)이란 ‘늙음’을 끝으로 보는 길일 수 있으나, 끝이란 꽃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처음부터 피는 꽃이 아닙니다. 아무리 빨리 피는 꽃이라 하더라도 줄기나 가지가 있어야 합니다. 줄기도 가지도 없는 채 꽃이 피지는 않습니다. 일찍 피어 일찍 지는 꽃이 있고, 잎이 숱하게 돋아서 짙푸르도록 꽃망울이 안 맺고서 느즈막이 피는 꽃이 있습니다. ‘끝돌봄’이란 ‘꽃돌봄’이지 싶습니다. 몸을 내려놓고서 이 땅을 떠나기 앞서 ‘씨앗’을 맺으려고 끝길을 걸으니, 이 끝길이란 새로운 꽃길이요, 새로운 꽃길을 마감하는 사람들 곁에서 새살림을 헤아리는 이야기씨앗을 받습니다.


ㅅㄴㄹ


‘그런 내가 죽을 때 누가 지켜봐 줄까? 돌봐주는 가족도 없이 아무도 모르게 이 세상에서 사라져버리는 걸까? 날 사랑하는 사람이 연명치료를 택해서 조금이라도 오래 살게 될까?’ (24쪽)


‘만약 죽음에 의미가 있다면, 그 사람의 죽음을 통해 누군가는 살아가는 의미를 배우기 때문일 것이다. 설령 거짓이라 해도 거기에서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면, 새로운 자신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살아 있는 한.’ (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룩 백
후지모토 타츠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1.20.

만화책시렁 480


《룩 백》

 후지모토 타츠키

 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22.3.25.



  모든 꾸러미(책)는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를 담지 않을 적에는 꾸러미라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야기가 안 담기는 글·그림·그림꽃(만화)·빛꽃(사진)은 없습니다. 저마다 다르면서 새롭게 이야기가 흐릅니다. 스스로 짓는 이야기가 흐르기도 하고, 눈치를 보거나 흉내를 낸 이야기가 흐르기도 합니다. 이야기를 스스로 짓는 사람은 처음부터 늘 스스로 새롭게 짓고, 눈치를 보거나 흉내를 내는 사람은 처음부터 언제나 눈치를 보거나 흉내를 내거나 슬그머니 훔칩니다. 스스로 배우기에 스스로 짓는다면, 스스로 안 배우고 베끼기(필사)만 하니 몰래 훔쳐요. 《룩 백》은 두 아이를 둘러싼 발걸음을 들려주면서, 두 아이하고 얽힌 둘레가 어떻게 바뀌는가 하는 발자취를 나란히 선보입니다. 한 아이는 늘 이야기를 스스로 새롭게 짓습니다. 다른 아이는 이야기를 지을 엄두를 못 내지만 붓끝을 갈고닦아 그림결이 빛납니다. 둘은 내내 만날 일 없이 따로 그림길을 가다가, 어느 때부터 한 아이가 “나도 더 잘 그리고 싶다”는 꿈을 키워요. 이야기를 짓지는 못 하고 그림결을 갈고닦던 아이도 “나도 내 이야기를 그리고 싶다”는 꿈을 키우면서 바깥(사회)으로 첫발을 내딛는데, 그만 더는 붓을 못 쥔다지요. 삶길이란,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ㅅㄴㄹ


“이제 그림 그리는 건 슬슬 졸업하는 편이 좋아. 후지노 너, 우리랑 놀아 주지도 않고, 같이 있어도 그림 그리느라 얘기도 안 하잖아.” (17쪽)


“집에서 심심해서, 할 일이 없어서 그림을 그렸는데, 꾸준히 그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어. 후지노, 날 방에서 나오게 해 줘서 고마워.” “보답은 10만 엔이면 돼.” “엑?” (63쪽)


“그래도!” “그래도 뭐?” “그림을 더, 잘 그리고 싶은걸.” (7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 1
히라오 아우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1.20.

만화책시렁 481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 1》

 히라오 아우리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17.6.30.



  제대로 할 줄 아는 사람이 제대로 자리를 잡아서 일을 맡는다면, 집도 마을도 나라도 제대로 굴러갈 테지요. 집이나 마을이나 나라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다면, 제대로 할 줄 모르는 사람이 엉성하거나 엉터리로 자리를 잡아서 버틴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제대로’인지 아닌지 누가 가릴까요? 가리는 눈길은 ‘제대로’일 수 있을까요? 일을 맡는 사람뿐 아니라, 일꾼을 가릴 사람도 ‘제대로’가 아니라면, 이들 ‘제대로가 아닌 이들’이 ‘제대로가 아니어도 제대로인 척 감추거나 눈가림을 하는 얼거리’라고 할 만합니다.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 1》를 읽었습니다. 꽃별(최애 아이돌)로 삼는 아이가 참말로 꽃길을 걷는 별님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물씬 흐르는 줄거리입니다. 꽃별을 생각하면서 기운을 내어 일하고, 기운껏 일해서 번 돈을 꽃별을 만나고 춤노래를 눈앞에서 지켜보면서 쓰고, 이렇게 하루를 보내면서 새삼스레 기운을 차린다고 해요. 꽃별이란 자리에 서는 아이도 저를 지켜보는 사람이 있기에 언제나 새록새록 기운을 낸다고 할 테니, 둘은 떨어질 수 없는 한마음입니다. 마음을 기울일 곳을 찾는다면 마음이며 몸을 아늑히 다스립니다. 마음을 기울이는 곳에 있기에 꿋꿋이 씩씩하게 살아갑니다.


ㅅㄴㄹ


“고참 중에 유일한 마이나 오타쿠! 번 돈 모두 마이나에게 갖다 바치느라 자기 옷이라곤 달랑 체육복!” (11쪽)


“마이나는 제가 있든 없든 아무렇지도 않을지 모르지만, 제 인생에는 마이나의 1분 1초가 꼭 필요해요!” (23쪽)


“굿즈 사려고 줄 제일 앞에 서 있는 걸 마이나한테 들키면 부끄러우니까.” “에엥? 새삼스럽게 무슨 소리예요? 첫차를 타고 와서까지 사진 같이 찍으려는 건데, 마이나도 엄청 기쁠걸요?” “부담스럽잖아요!” “새삼스럽게 그런 소리 해봐야.” “두 번 말하기예요?” “에리피요 씨는 2년 내내 쭉 부담스러웠어요.” (4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이니스의 황금새 2 - 시프트코믹스
하타 카즈키 지음 / YNK MEDIA(만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1.18.

만화책시렁 476


《카이니스의 황금새 2》

 하타 카즈키

 장혜영 옮김

 YNK MEDIA

 2020.10.15.



  열 살에 이를 무렵까지 순이돌이를 가를 일이 없었습니다. 똑같이 함께 놀고 어울리는 사이였습니다. 열한 살 무렵 순이돌이를 가르는 판을 배움터에서 자주 겪으면서 “왜 둘이 갈라서 다투거나 싸우거나 겨루어야 하는지” 알쏭했는데, 이제 와 돌아보면 지기(반장·부반장)를 뽑을 적마다 갈라서고, 두 지기는 으레 ‘순이 쪽·돌이 쪽’으로 배움칸 아이들을 몰기 일쑤였습니다. 순이돌이는 겉으로 보기에 다를 수 있으나, 겉으로도 비슷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겉몸이 다른들 무엇이 대수일까요? 똑같이 사람이고, 삶이고, 사랑인걸요. 《카이니스의 황금새》는 ‘오직 돌이만 글을 익혀서 쓸 수 있던 지난날 영국’ 이야기를 다룹니다. 글을 익히고 싶어서 용쓰고, 글을 익혀서 책을 읽자니 스스로 글을 쓰고 싶을 뿐 아니라, 이웃한테 읽히고 싶은 순이가 있다지요. 그러나 ‘순이 이름’으로는 글을 내놓지도 책을 묶지도 못 하던 판이라, ‘돌이 이름’을 짓고서 ‘돌이 몸차림’으로 다니던 사람을 다룹니다. 아직도 ‘돌이스럽다(남성적)·순이스럽다(여성적)’ 하고 가르는 낡은 틀이 있습니다. 그저 글을 보고 사람을 보고 삶을 봐야 하지 않을까요? 힘꾼·돈꾼·이름꾼을 걷어내고서 오직 살림·삶·사랑을 품고 바라볼 일입니다.


ㅅㄴㄹ


“방금 어떤 기분이었어? 비밀은 들키고 싶지 않기에 비밀인 거야.” (22쪽)


“글쎄? 나도 아직 잘 몰라.” “본인이 쓰면서도?” “쓰는 동안 계속 달라지니까.” (110쪽)


“자, 여기서 질문! 이 두 와인의 맛이 똑같다고 생각해?” “네, 같은 걸 따랐으니까요.” “그게 당연하지? 하지만 세상은 왠지 몰라도 맛이 다르다고 말해. 명백하게 안에 든 와인은 같은데.” (121쪽)


“이 이야기는 더 큰 범주로 연결돼. 남자와 여자, 속은 똑같아.” (122쪽)


#カイニスの金の鳥 #秦和生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자칫 《아르테》 꼴이 날까 싶어

석걸음까지 읽고서야

비로소 느낌글을 쓴다.

넉걸음이 마무리인 듯싶고

일본에서는 나왔고

한글판은 아직 멀었는데

부디 넉걸음 마무리까지

이야기를 슬기로이 풀기를 빈다.


《아르테》는 대여섯걸음까지는 알찼으나

갈수록 질질 끌고 샛길로 빠지면서

이제는 어영부영 부풀리기만 하며

언제 끝이 날는 지 모른다.


‘남녀 구분’에 너무 매이면

오히려 이야기가 엉키고 만다.

‘오직 사람이 걸어갈 사랑’을 보며

차분히 다독일 적에

아름책 한 자락이 이 땅에 태어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의 아이들 - 미츠보시 타마 단편집
미츠보시 타마 지음, 이소연 옮김, KADOKAWA 원작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11.18.

만화책시렁 474


《별의 아이들》

 미츠보시 타마

 이소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9.30.



  그리는 붓은 홀가분합니다. 꾸미는 붓은 따분합니다. 삶을 짓는 붓은 아름답습니다. 삶을 꾸미는 붓은 지겹습니다. 사랑을 나누는 붓은 즐겁습니다. 미움을 흩뿌리는 붓은 딱합니다. 《별의 아이들》은 ‘별 + 아이들’을 그림감으로 삼는구나 싶어서 집어들었으나, 첫 꼭지 하나에만 눈이 갈 뿐, 다른 꼭지는 어쩐지 눈이 안 갑니다. 곰곰이 생각하니, 이분이 선보인 그림꽃은 다른 그림꽃을 흉내낸 티가 짙어요. 그림님으로서 다른 어느 그림님을 좋아한다면 그분 그림결을 따라가거나 비슷하게 흐를 수 있어요. 그러나 다른 어느 그림님 곁일꾼(어시스턴트)이 아니라면 ‘내 붓길’을 쥘 노릇이요, 그림결도 줄거리도 이야기도 오롯이 ‘내 붓눈빛’을 가꿀 노릇입니다. 꾸며서는 글도 그림도 되지 않습니다. 그저 꾸밈짓입니다. 그려야 글이요 그림입니다. 소리를 그렸기에 글이고, 마음으로 보는 모습을 그렸기에 그림입니다. 그냥 글·그림이지 않습니다. 우리를 둘러싼 숱한 이야기는 소리로도 모습으로도 가만히 흘러요. 이 이야기를 하나하나 맞아들이고 느끼고 돌아보고 사랑하면서 스스로 새롭게 가꾸려는 눈을 살며시 뜨고서 기지개를 켜면, 우리는 어느새 저마다 즐겁고 사랑스러이 그림꾼으로 하루를 밝힐 만합니다. ‘따라하기·시늉·흉내’는 배움이 아닌, 따라하기에 시늉에 흉내에 그칠 뿐입니다.


ㅅㄴㄹ


“이 오빠도 화나서 집을 홀랑 태워버릴 뻔한 적이 있어. 하루 누나는 기쁜 일이 있으면 온 집안을 꽃밭으로 만들어 버리고, 아키고 마음의 소리가 다 새어나와서 흠칫흠칫할 때가 많고.” (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