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소년 22 - 정의의 시작, 완결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7.14.

만화책시렁 565


《20세기 소년 22 정의의 시작》

 우라사와 나오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7.2.25.



  ‘일뽕 + 전쟁미화’로 붓을 놀리는 우라사와 나오키는 《20세기 소년 22》에 “정의의 시작”이란 이름을 붙이고서, 《21세기 소년》을 둘 더 그려서 매듭을 짓습니다. 어릴 적 놀이를 새삼스레 떠올리며 오늘과 앞날을 담는 얼거리였다면 볼만할 수 있으나, 처음부터 끝까지 ‘일뽕 + 전쟁미화’로 치닫다가 줄거리마저 뒤죽박죽으로 끝냈어요. 《야와라》 《해피》 《마스터 키튼》 《몬스터》는 ‘일뽕’에 기운다면, 《아사 이야기》는 ‘전쟁미화’까지 덧붙이는데, 곰곰이 보면 《플루토》에 《20세기 소년》도 ‘전쟁미화’를 구석구석 짜맞췄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만화로 밥벌이를 하되, 만화를 빈정대는 결’을 여기저기에서 느낍니다. ‘익살’하고 ‘빈정’은 다릅니다. 아무래도 붓놀림에 바빠 온누리를 바라보고 되새길 틈이 없는 나날에 스스로 갇힌 나머지, 어린이한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른으로 오늘을 살아야 스스로 사랑인지를 하나도 모르거나 그저 등돌리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나이’만 바라보기에 늙다가 꼰대로 기울어요. 테즈카 오사무 님, 타카하시 루미코 님, 히가시무라 아키코 님 같은 분들은 그저 ‘그림꽃(만화)’을 그리면서 스스로 사랑꽃을 피우려 하는데, 앞사람이나 뒷사람한테서 하나도 못 배우는 이이는 아다치 미츠루처럼 늪에 빠져 허우적댑니다.


ㅅㄴㄹ


“합판으로 창문을 막고, 테이프로 통기구를 막으면, 그러면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할 줄 알아?” (9쪽)


“이런 때일수록 믿는 수밖에 없어. 위험한 사상을 갖지 않도록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도록 하지. 만약 이 자리에 친구가 있었다면 이렇게 말했을 거야. 생각 같은 건 그만두자고.” (62∼63쪽)


“우리는 일단 지금 있는 백신을 도쿄로 옮기지.” (83쪽)


“댁들이 한가하게 만화나 그리는 동안, 칸나는 이렇게 땀투성이가 되도록, 한 사람이라도 더 구하려고.” (196쪽)


+


《20세기 소년 22》(우라사와 나오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7)


나한테 연하장을 보냈죠

→ 나한태 새해글을 보냈죠

→ 나한태 설날글을 보냈죠

→ 나한테 해맞이글 보냈죠

82쪽


세상이 이 모양이라도 우편물은 오더군요

→ 나라가 이 꼴이라도 글월은 오더군요

→ 온통 이래도 꾸러미는 오더군요

82쪽


조금이라도 많은 백신을 만들어야 해요

→ 미리바늘을 좀더 마련해야 해요

→ 미리막이를 좀더 갖춰야 해요

83쪽


참으로 아름다운 이족보행

→ 참으로 아름다운 곧추걷기

→ 참으로 아름다운 두발걷기

→ 참으로 아름다운 서서걷기

1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うらさわなおき #20世紀少年 #浦沢直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 요리왕 34 - S코믹스 S코믹스
혼죠 케이 지음, 김봄 옮김, 스에다 유이치로 원작 / ㈜소미미디어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7.8.

책으로 삶읽기 836


《미스터 요리왕 34》

 스에다 유이치로 글

 혼죠 케이 그림

 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9.1.3.



《미스터 요리왕 34》(스에다 유이치로·혼죠 케이/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9)을 가만히 읽는다. 배우는 자리에서 밥살림을 지으려는 사람이 있고, 가르치는 자리에서 일터살림을 돌보려는 사람이 있다. 배우는 자리에서는 잘잘못을 모두 달고 쓰게 받아들인다. 가르치는 자리도 잘잘못을 으레 달고 쓰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달게 받아들이지도 쓰게 받아들이지도 않는 사람들이 있으니, 배우거나 가르칠 뜻이 없는 사람들이다. 어버이하고 아이는 서로 삶을 나누면서 달거나 쓰게 하루를 누린다. 어버이만 가르치지 않고, 아이만 배우지 않는다. 둘은 서로 배우면서 허물없이 보금자리를 일군다. 나이가 많기에 스승일 수 없다. 앞장서서 나아갈 줄 알면서 어질고 상냥하게 이야기를 들려주기에 스승이다. 나이만 먹으면서 삶도 살림도 사랑도 잊는다면, 그저 늙은 꼰대일 뿐이다. 나이는 적거나 어린데, 배우려는 눈빛이 없고 사랑을 그리는 마음이 없으면 철없는 꼰대이다.


ㅅㄴㄹ


#蒼太の包丁 #本庄敬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다만, 들리는 건 ‘의견 아닌 의견’이니 씁쓸하구먼.” (78쪽)


‘그 대답은 기다리지 말고 찾아야 해.’ (130쪽)


“누군가에게 요리를 가르쳐 주면 자기도 공부가 되거든.” (18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네코무라 씨 아홉
호시 요리코 지음 / 조은세상(북두)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3.6.29.

책으로 삶읽기 827


《오늘의 네코무라 씨, 아홉》

 호시 요리코

 박소현 옮김

 조은세상

 2017.11.15.



《오늘의 네코무라 씨, 아홉》(호시 요리코/박보영 옮김, 조은세상, 2017)을 읽었다. 네코무라 씨 이야기는 끝을 맺을 수 있을까? 어쩌면 ‘끝이 없이 끝까지’ 나아가지는 않을까? 그림님이 끝을 내려면 언제든지 끝낼 수 있으리라 본다. 하루에 한 칸만 그려서 잇는 이야기는 얼핏 앞뒤 줄거리가 안 맞는 듯싶으면서도 차근차근 나아간다. 곰곰이 보면 콩가루 같은 집안 이야기요, 어떤 집안이라 하더라도 사랑을 담은 마음으로 집일을 거들려는 고양이 이야기요, 따뜻하게 마음을 쓴 사람을 찾고 싶은 나그네 이야기요, 숱한 사람들이 얼힌 수수한 이야기로 여길 만하다. 하루에 한 가지 그림을 바라보면서 우리 오늘을 되새기고 스스로 묻는다. 꿈을 그렸니? 꿈은 무엇이니? 꿈을 사랑으로 그렸니? 사랑스레 나아가려는 꿈길이니? 오늘 하루는 어제랑 같니? 날마다 다른 오늘인 줄 느끼니? 위아래도 왼오른도 없이 오직 ‘나’랑 ‘너’라는 ‘사이’만 있을 뿐인데, 이 삶을 아니? 일본에서 드디어 2023년에 열걸음이 나왔다. 아마 2024년에 한글판이 나올 듯싶다.


ㅅㄴㄹ


“어떤 실수를 해도 이렇게 허리를 쫙 펴고 방긋 웃으면 다시 기운이 나니까, 열심히 하면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기분이 들어.” (24쪽)


‘이누가미 선생님 부인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멍청하네. 선생님이 불쌍해.’ (105쪽)


“오니코 아가씨, 배고프지 않으세요? 간식은 핫케이크가 좋으세요?” “귀찮아.” (108쪽)


“무, 무슨 근거로 납치라고 얘기를 하는 거야? 겨우 고양이 한 마리요!” “하지만 그건 당신의 고양이가 아니죠.” “내, 내 고양이는 아니지만! 맡아 달라는 부탁을 받았으니까!” “거짓말!” (225쪽)



#きょうの猫村さん #ほしよりこ 


이누가미 선생님 부인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멍청하네

→ 이누가미 샘님 곁님은 생각보다 훠얼씬 멍청하네

→ 이누가미 샘님 짝꿍은 생각보다 훠얼씬 멍청하네

105쪽


중얼중얼거리지 말라고

→ 중얼중얼하지 말라고

→ 중얼거리지 말라고

124쪽


무슨 근거로 납치라고 얘기를 하는 거야

→ 뭘 보고 붙잡았다고 얘기를 하냐

→ 무슨 빌미로 끌고간다고 얘기를 하냐

225쪽


그건 당신의 고양이가 아니죠

→ 그런데 그대 고양이가 아니죠

→ 이녁 고양이가 아니됴

2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하는 세포 2
시미즈 아카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3.6.29.

책으로 삶읽기 828


《일하는 세포 2》

 시미즈 아카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8.25.



《일하는 세포 2》(시미즈 아카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을 읽었다. ‘일하는 세포’라는 이름으로 나온 꾸러미가 꽤 많다. ‘낱(세포)’을 꽤 깊게 보면서 잘 다루는 그림꽃이라 여길 수 있되, ‘몸을 이루는 숨결’을 온통 ‘싸움(전쟁)’으로 새기면서 ‘피튀기는 짓’이라는 굴레에 갇힐 수 있다. ‘의학 지식’으로는 옳다고 여길는지 모르나, ‘삶·사람·살림·사랑’이라는 길로도 옳거나 맞다고 여길 수 있을까? 글쎄, 조금도 아니라고 느낀다. ‘싸우는 몸 = 불타는 몸 = 죽음으로 달리는 굴레’이다. ‘사랑하는 마음 = 녹이는 마음 = 살리는 빛’이다. 우리는 누구나 ‘몸을 입’되 ‘마음을 나란히 놓’고, ‘몸하고 마음을 함께 아우르는 넋이 있’다. 이 길을 안 쳐다보면서 ‘의학 지식 세포 전쟁’에만 눈을 둔다면, ‘죽지 않으려고 싸우면서 살아남는 굴레’만 남겠지.



“이 몸은 아직 살아 있어! 내가 임무를 포기할 이유는 없다!” (51쪽)


‘이런 데서 죽기는 싫어! 나도 멋진 적혈구가 될 수 있을지 모르니까!’ (81쪽)


“우리는 널 구할 수 없어. 몸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증식하여 영양분을 빼앗아 정상 조직을 파괴하는 너를. 살려둘 수도, 치료할 수도 없으니까.” “알고 있어, 그런 건. 하지만, 오늘이 지나면 어차피 모두들 잊어버리겠지. 내 원한도 분노도 슬픔도 아는 사람 하나 없이, 풍화해서 없었던 일이 되어 버리고 아무것도 안 남겠지.” (158쪽)



#はたらく細胞 #清水茜 


이제부터 발한이 시작된대∼

→ 이제부터 땀을 흘린대!

→ 이제부터 땀을 뺀대!

35쪽


있는 힘을 다해 체온을 조절해!

→ 있는 힘을 다해 몸을 가눠!

→ 있는 힘을 다해 몸을 돌봐!

38쪽


기우제가 정말 하늘에 닿은 것일까

→ 비나리가 참말 하늘에 닿았을까

→ 비바라기가 참말 하늘에 닿았나

5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하는 세포 1
시미즈 아카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3.6.29.

만화책시렁 553


《일하는 세포 1》

 시미즈 아카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7.25.



  몸은 숱한 ‘낱’이 한덩이를 이룹니다. 모든 낱은 다르고, 다 다른 낱은 다 다르게 숨결을 잇습니다. ‘다 다른 낱이 한덩이를 이룬 몸’은 푸른별에서 또다른 낱이라 여길 만합니다. 나쁘거나 나은 몸이 따로 없이 다 다른 몸이 한덩이를 이루기에 이 별이 날마다 새롭게 돌고 흘러요. 온누리를 이루는 숱한 별도 하나씩 낱입니다. 숱한 별은 새롭게 한덩이를 이루는 몸으로 흐르면서 이곳에 있습니다. 하나씩 키워서 보든, 찬찬히 줄여서 들여다보든, 다 다른 낱은 다 다른 빛으로 어우러집니다. 《일하는 세포》는 사람 몸뚱이를 이루는 숱한 낱이 저마다 어떻게 만나고 섞여서 삶을 누리는지를 들려주려 합니다. 이 그림꽃은 ‘사람이라는 몸을 이룬 낱’이 ‘끝없이 싸우고 다시 싸우고 또 싸우면서 지키는 몫을 한다’고 얘기합니다. 어느 모로 보면 맞습니다. 이 별에서 사람들은 어울림보다는 싸움으로 만나는 한덩이라 할 테니까요. 하나라도 나쁜 것이 들어오지 못 하도록 자르고 치고 죽이고 없애야 한다는 마음이니까 싸워요(전쟁). 나쁘지도 낫지도 않은 다 다른 숨결인 줄 읽고 느낀다면 눈을 틔워 새롭게 바라볼 테지요. ‘눈뜨지’ 않을 적에는 언제나 싸움판입니다. ‘눈뜨고’ 볼 수 있을 적에 비로소 사랑이 싹틉니다.



“뭐, 같은 세계에서 일하고 있으니, 언젠가는 만나겠지. 또 보자.” (58쪽)


“선배들이 네게 엄격한 것도, 지금의 너에게서 옛날의 자기 모습을 보기 때문이 아닐까?” (121쪽)


“저, 고맙습니다. 정말.” “아니, 굳이 인사 챙길 거 없어. 우린 우리 일을 했을 뿐이니까.” “아뇨! 아뇨아뇨! 꼭 말하고 싶어서 왔어요!” (169쪽)



《일하는 세포 1》(시미즈 아카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


#はたらく細胞 


우리는 비밀병기가 있으니 상관없지만

→ 우리는 마지막이 있으니 걱정없지만

→ 우리는 끝힘이 있으니 다르지만

73쪽


어떤 사정이 있어도 직무유기는 있어선 안 돼

→ 어떤 일이 있어도 손떼어선 안 돼

→ 어떤 까닭이 있어도 뒷짐은 안 돼

→ 무엇 때문이어도 미루면 안 돼

89쪽


글자 그대로 천군만마를 얻었군

→ 말 그대로 뒷배를 얻었군

→ 어깨동무를 얻었군

→ 든든하게 얻었군

1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