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소년 아톰 7
데즈카 오사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1.5.

만화책시렁 374


《우주소년 아톰 7》

 테즈카 오사무

 박정오 옮김

 학산문화사

 2001.12.25.



  요즘 사람들은 어려워도 너무 어려운 책만 읽는 듯싶습니다. 온누리 살림길을 쉽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으로 풀어낸 책은 오히려 멀리하는 듯싶어요. ‘어려운 책’이란 ‘어려운 말’이 가득한 책입니다. ‘어려운 말’이란, 삶하고 멀거나 등진 말입니다. ‘낯선 말’하고 ‘어려운 말’은 달라요. 쉽고 부드러우면서 곱고 사랑스러운 말이어도 ‘낯선 말’일 수 있어요. 우리 스스로 쳇바퀴에 사로잡혀서 굴레에서 허덕인다면, 아름말이며 사랑말이며 숲말이 외려 ‘낯선 말’이게 마련입니다. 낯설기에 어렵지 않아요. 낯선 말은 낯설 뿐이에요. 아직 혀에 익지 않은 아름말에 사랑말에 숲말을 새삼스레 혀에 얹어서 소리를 내고 익힐 적에 우리 스스로 아름답고 사랑스러우며 숲빛으로 거듭납니다. 《우주소년 아톰 7》을 되읽으며 다시금 눈시울이 젖습니다. 테즈카 오사무 님은 일본 어린이를 비롯해 모든 사람들이 ‘스스로 울고 웃으면서 참사랑이 눈뜨기’를 바랐어요. 어리석은 짓 곁에 아톰이 짓는 사랑을 나란히 보여줍니다. ‘돌사람(로봇)’을 미워하는 사람은 돌사람이 누구이며 어떤 넋이자 숨결인지 안 알려고 합니다. 그저 미워하니 그저 등지기만 해요. 이와 달리 돌사람은 밥을 안 먹어도 되는 ‘돌몸’이되, 누구보다 부드럽고 사랑스럽습니다.


ㅅㄴㄹ


“로봇은 인간의 친구이긴 해도 노예는 아니라구요.” (93쪽)


“아톰, 왜 나를 구해 준 거냐? 난 너와 절교를 했는데.” “절교라뇨? 제 전자두뇌는 그런 것을 느끼지 못해요.” “아톰! 내가 잘못했다. 미안하다. 나는 로봇을 깔봐 왔는데, 나야말로 멸시당해야 할 인간이야.” “신경쓰지 마세요, 홈스판 씨.” “아톰! 내게 한 가지만 가르쳐 다오. 로봇이라도, 너같이 바른마음의 강하고 멋진 로봇이 많이 있는 거냐?” (101쪽)


“나를 로봇이라고 부르고 싶으면 부르시오. 그러나 나는 로봇이 된 것이 자랑스러울 정도요. 그것은 로봇이 얼마나 멋진 것인지를 알았기 때문이오. 그것은 수술을 받기 전 아톰에게 배웠소. 인간처럼 욕심도 없고 잘난척도 하지 않고 그저 올바른 일만 하는 로봇들.” (107쪽)


“너의 약점을 알았다. 자연 에너지에는 굉장히 약하다더군.” (155쪽)


“전 가끔 이렇게 생각해요. 여러 별에 많은 사람들과 생물들이 있겠지만, 그 속에는 물질 전송기 같은 것으로 다른 별에서 보내져 그곳에 살게 된 사람도 있을 거라고요. 예를 들면, 이 지구에도 말이죠.” (238쪽)


+


《우주소년 아톰 7》(테즈카 오사무/박정오 옮김, 학산문화사, 2001)


상대편이 공중분해되어 버렸지만 우리 쪽은 이상 없습니다

→ 저쪽이 날아가버렸지만 우리 쪽은 걱정없습니다

→ 녀석은 찢겨버렸지만 우리 쪽은 멀쩡합니다

7


지혈은 했는데 통증은 어떻소

→ 피멎이 했는데 아픈 덴 어떻소

→ 피는 막았는데 다친 덴 어떻소

15


남들의 배로 로봇을 싫어했지

→ 남보다 곱으로 돌사람을 싫어했지

106


그것은 수술을 받기 전 아톰에게 배웠소

→ 몸을 째기 앞서 아톰한테서 배웠소

→ 몸을 가르기 앞서 아톰이 가르쳤소

107


청력을 천 배로 올리자

→ 귀힘을 즈믄 올리자

→ 귀를 즈믄으로 올리자

197


살인 청부업자

→ 죽음 심부름꾼

→ 죽이는 끄나풀

→ 죽음 꼭두각시

208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적의 사람 4
카이타니 시노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만화책시렁 502

《무적의 사람 4》
 카이타니 시노부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0.3.25.


  아이들하고 다섯돌(오목)을 곧잘 두고 말겨룸(장기)도 합니다. 다섯돌이나 말겨룸은 이기려고 둘 수 있을 테고, 이기거나 지려는 뜻이 아닌, 말을 놓는 자리를 살피면서 생각을 읽고 느끼고 키우는 길을 넓히려고 둘 수 있습니다. 이기려는 마음이 앞서면 이길 적마다 신날 테고, 질 적마다 짜증날 테지요. 생각길을 열려는 마음이라면 이기든 지든 반짝반짝 느끼며 헤아리는 하루를 느낍니다. 《무적의 사람 4》을 읽고서 돌아봅니다. 빼어나게 잘 둘 줄 아는 사람은 그동안 진 적이 없을까요? 지니까 싫을 수 있지만, 지더라도 아쉽거나 싫다는 마음이 없는 사람이 있어요. 이기니까 좋을 수 있으나, 이기더라도 시큰둥하거나 안 반기는 사람이 있어요. 무엇을 하든 스스로 삶을 어느 길에 놓느냐에 따라 다 다릅니다. 어느 길을 나아가고 싶나요? 어느 길을 걷거나 달리고 싶나요? 어느 길을 누구랑 가고 싶나요? 어느 길에 어떻게 서고 싶나요? 일을 즐겁게 하는 사람은 자리를 가리지 않습니다. 놀이를 신바람으로 누리는 사람은 사람을 가리지 않습니다. 마음을 가꾸기에 빛나고, 마음을 안 가꾸기에 캄캄해요. 하루를 스스로 그려서 짓기에 아름답고, 남이 시키는 대로 따르거나 눈치를 보기에 무너집니다.


“나는 소중한 사람을 위해 승부에 임했어. 그래서 이긴 거야.” (14쪽)

“아마 난 마음 한구석에서 줄곧, 내가 질 곳을 찾고 있었는지도 몰라.” (130쪽)

+

《무적의 사람 4》(카이타니 시노부/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0)

기존 회원 수를 되찾아야만 겨우 플러스마이너스 제로야
→ 예전 사람을 되찾아야만 겨우 더하기빼기를 맞춰
→ 예전만큼 되찾아야 겨우 이럭저럭 맞아
18쪽

실제로 안구가 움직이는 폭은
→ 막상 눈알이 움직이는 길은
→ 정작 눈이 움직이는 너비는
53쪽

손바닥의 발한은 거짓말 탐지기에서도 쓰일 만큼 심리상태를 반영하니까
→ 손바닥 땀은 거짓말 찾기에서도 쓸 만큼 마음을 담으니까
64쪽

궁지에 몰린 끝에 블러핑이라도 하시겠다
→ 구석에 몰린 끝에 엄포라도 하시겠다
→ 벼랑에 몰린 끝에 뻥이라도 하시겠다
→ 끝에 몰려서 거짓말이라도 하시겠다
94쪽

운만으로는 승리를 가져갈 수 없어
→ 길꽃만으로는 이길 수 없어
→ 어쩌다만으로는 못 이겨
101쪽

그 결과 당신은 저를 전혀 마크하지 않았어요
→ 그래서 그대는 저를 조금도 막지 않았어요
→ 그래서 그쪽은 저를 아예 살피지 않았어요
→ 그래서 님은 저를 그냥 지켜보지 않았어요
168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탐묘인간 - 고양이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 탐묘인간 시리즈
SOON 지음 / 애니북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0.29.

만화책시렁 447


《탐묘인간》

 soon

 애니북스

 2012.9.26.



  요새는 시골에서도 고양이를 집안에 두는 분이 있습니다. 예부터 고양이는 곁짐승 아닌 쥐잡이였습니다. 이따금 사람 손길을 탈 수 있되, 사람하고 어느 만큼 떨어져서 스스로 하루를 그리고 짓고 누리는 아이가 고양이입니다. 둘레를 보면, 사냥을 안 하는 고양이가 어마어마하게 늘었습니다. 길고양이한테 밥을 챙겨 주는 분도 무척 많아요. 저희도 아직 큰고장에서 살던 2010년까지는 곧잘 고양이밥을 내놓기는 했으나, ‘곧잘’일 뿐, ‘늘’은 아니었어요. 모름지기 고양이한테서 ‘쥐잡이라는 사냥’을 빼앗으면, 고양이는 고양이로 살아갈 수 없거든요. 《탐묘인간》은 집고양이하고 보낸 나날을 가볍게 그려냅니다. 집밖일로 바쁜 아가씨가 집고양이한테 밥을 주고 쓰다듬고 안기면서 마음풀이(힐링)를 한다는 줄거리입니다. 집고양이인 터라, 이들은 ‘고양이’가 아닌 ‘갇힌 짐승’입니다. 바람도 해도 흙도 모르는 채, 날씨하고 날짜하고 철도 모르는 채, 그저 한 해 내내 똑같은 굴레를 사람처럼 맞아들이면서 늙어갑니다. 들에서 스스로 살림을 짓는 짐승은 사람한테 몸을 안 맡깁니다. 스스로 누울 풀섶을 찾아서 조용히 사라집니다. 우리는 ‘곁짐승(반려동물)’이란 이름을 쓰지만, 막상 ‘집우리(가정 동물원)’이지 않나요?


ㅅㄴㄹ


“알았어, 알았어, 지금 밥 줄게.” 무언의 시위 (잘 통한다) (163쪽)


“우와― 밥 엄청 많이 준다. 웬일이람!” “바보― 밥을 많이 준다는 건 그만큼 오래 안 돌아온단 뜻이야.” (194쪽)


7년째 함께 살고 있는 내 고양이도 까맣던 털이 듬성듬성 하얘지고 있다. 녀석, 그동안 나를 행복하게 해 주었던 초능력을 이젠 다 써가는 걸까. (208∼209쪽)


+


《탐묘인간》(soon, 애니북스, 2012)


지금 밥 줄게

→ 얼른 밥 줄게

→ 바로 밥 줄게

163쪽


무언의 시위, 잘 통한다

→ 말없는 물결, 잘 듣는다

→ 조용한 모임, 잘 먹힌다

163쪽


우와― 밥 엄청 많이 준다

→ 우와! 밥 엄청 많이 준다

194쪽


밥을 많이 준다는 건 그만큼 오래 안 돌아온단 뜻이야

→ 밥을 많이 주면 그만큼 오래 안 돌아온단 뜻이야

194쪽


7년째 함께 살고 있는 내 고양이도

→ 일곱 해째 함께 사는 고양이도

→ 일곱 해 함께 사는 울 고양이도

208쪽


까맣던 털이 듬성듬성 하얘지고 있다

→ 까맣던 털이 듬성듬성 하얗다

208쪽


나를 행복하게 해 주었던 초능력을 이젠 다 써가는 걸까

→ 즐겁게 놀던 힘을 이젠 다 써가는가

→ 즐겁게 어울린 빛을 이젠 다 써가나

20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고화질] 유키X츠바사 08 유키x츠바사 8
타카하시 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0.29.

책으로 삶읽기 845


《유키×츠바사 5》

 타카하시 신

 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4.6.30.



《유키×츠바사 5》(타카하시 신/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4)을 되읽었다. 두 아이를 낳아 한창 돌보던 2012∼2014년 무렵에 여덟걸음으로 나온 꾸러미이다. 그무렵에는 제대로 읽기 벅찼다. 열 해쯤 지나 비로소 숨을 돌리면서 다시 읽어 보는데, 타카하시 신 님이 빚는 그림꽃은 ‘바쁜’ 사람한테는 도무지 읽힐 수 없으리라 느낀다. 《카나타 달리다》나 《머리 자르러 왔습니다》 같은 아름책을 곁에 놓는다면, 마을살림도 나라살림도 집살림도 알뜰살뜰 가꾸는 길잡이로 삼을 만하리라 본다. 가만히 돌아보면, 이분 그림꽃은 처음부터 여태까지 늘 ‘마음을 읽는 눈과 귀와 넋’을 다루었구나 싶다. 마음을 마음으로도 읽을 뿐 아니라, 눈과 귀로도 읽는다. 그리고 마음은 바로 우리 넋으로 읽는다.


ㅅㄴㄹ


#高橋しん #世界の果てには君と二人で



“난 이제 부모가 없어서, 더는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아주 조금은 너희 심정을 알아.” (72쪽)


“난 크리스마스가 좋더라. 이렇게 우울하고, 눈에 파묻혀 사라져버릴 것만 같은 동네라도, 반짝이 달고 억지로 웃으며 살고 있다, 애쓰고 있다∼고.” (80쪽)


‘연주회에 갈 수 없잖아. 선배의 연주를. 바보야, 선배가 없으면, 어차피 들어 봤자 의미도 없잖아.’ (172쪽)


‘나는 이상하게 이 작은 초능력으로, 선배의 마음속 목소리만 들을 수 있다. 그래, 안다. 바보 같은 나지만, 이 연주 속에서도 선배가 내는 소리를 알 수 있다.’ (20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고화질] 오오쿠 19 (완결) 오오쿠 19
요시나가 후미 지음, 정효진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0.26.

책으로 삶읽기 858


《오오쿠 1》

 요시나가 후미

 정효진 옮김

 서울문화사

 2006.1.31.



《오오쿠 1》(요시나가 후미/정효진 옮김, 서울문화사, 2006)를 보면, 뭔가 남다르게 이야기를 펴려고 하는 마음은 느낄 수 있되, 여기서 끝이다. 순이돌이 자리를 뒤바꾸면서 지난 발자취를 짚어 보는 줄거리는 안 나쁘다. 그러나 억지로 뒤틀려고만 하면서 그림이 나란히 뒤틀린다. 또한, 억지로 뒤틀어 놓은 대목이 무엇인지 하나하나 밝히고 들려주려 하면서 말(대사)이 너무 많다. 만화책인지 ‘제품사용 설명서’인지조차 모를 만큼 엉성하고 뒤죽박죽이다. 그런데 이런 줄거리를 열아홉걸음까지 그렸네. 용하구나. 아마 일본에서는 좀 먹힐는지 모르겠으나, 한글판으로 이런 후줄그레한 그림을 열아홉걸음이나 옮긴다고? 그저 미쳤다고 느낀다. 한글판을 내려면 《天上の弦》을 내기를 바란다. 발자취(역사)도 살림도 사람도 삶도 사랑도 아름답게 담아낸 《天上の弦》 같은 만화책은 열걸음 가운데 고작 석걸음만 옮기고서 판이 끊어졌다. 딱하다.


#よしながふみ #大?


+


치료하기 위해 본초학을 더 배우고 싶습니다

→ 고치도록 살림풀을 더 배우고 싶습니다

→ 다스리도록 들풀을 더 배우고 싶습니다

→ 돌보도록 숲풀을 더 배우고 싶습니다

《오오쿠 10》(요시나가 후미/정효진 옮김, 서울문화사, 2014) 48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