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드 인 어비스 1
츠쿠시 아키히토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0.23.

책으로 삶읽기 787


《메이드 인 어비스 1》

 츠쿠시 아키히토

 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7.5.31.



《메이드 인 어비스 1》(츠쿠시 아키히토/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7)를 읽었다. 뒷걸음을 더 읽어야 이 그림꽃을 제대로 말할 수 있겠구나 싶은데, 첫걸음만으로 돌아보자면, 어머니(또는 어버이)한테서 물려받는 숨결은 솜씨 하나일 수 없다. 스스로 새로짓는 몸짓으로 나아가려는 마음을 새록새록 물려받을 뿐 아니라, 새삼스레 가꾸어 내는 아이들이라고 느낀다.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고르는 말대로 스스로 생각이 자라난다. 문득 뱉는 말이 우리 스스로 짓는 오늘이다. 사납말(욕)을 아무렇지 않게 문득 내뱉는다면, 우리 스스로 사납길을 그리고 짓는다는 뜻이다. 겉만 번드레레한 말을 으레 읊는다면, 우리 스스로 겉멋길을 그리고 짓는다는 뜻이다. 그대가 어른이라면 아무 말이나 주워섬기지 않으리라. 그대가 철들지 않았다면 아무 말이나 주워섬기리라. 그대가 아이라면 아무 말이나 받아들이지 않으리라. 그대가 아이답게 하루를 짓는다면 오로지 즐겁게 뛰놀면서 사랑을 품는 말을 받아들여서 새롭게 일구리라. 이 그림꽃에는 그야말로 ‘말’이 많이 나온다. 이 그림꽃에 나오는 사람마다 무슨 ‘말’을 늘 하는가를 눈여겨보면 줄거리나 뒷이야기 실마리를 쉽게 어림할 수 있다.


ㅅㄴㄹ


“라이자 씨는 너를 선택했어. 명예나 부·동료·신뢰·그것을 일체, 그것을 전부 놓칠지라도 너를 놓지 않으려 한 거다.” (106쪽)


“리코, 나를 발견한 건 너잖아. 그리고 라이자도 나랑 닮은 걸 본 적이 있고. 그 라이자가 나락의 끝에서 부르는 거잖아. 안 가면 분명 후회할 거야.” (131쪽)


“우리는 어비스로 이어져 있는 거야! 여기서 살았던 것도 잊지 않을 거니까! 그러니까 괜찮아!” (16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 요리왕 27 - S코믹스 S코믹스
혼죠 케이 지음, 김봄 옮김, 스에다 유이치로 원작 / ㈜소미미디어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2.10.23.

책으로 삶읽기 788


《미스터 요리왕 27》

 스에다 유이치로 글

 혼죠 케이 그림

 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8.9.4.



《미스터 요리왕 27》(스에다 유이치로·혼죠 케이/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8)을 읽었다. 맛을 내는 길은 먼 데 있지 않다. 마음을 얼마나 기울여서 밥감을 다루는가부터, 수저를 쥘 사람이 무엇을 누리기를 바라는가를 살피고, 우리 숨결로 새로 태어날 이웃 숨결을 사랑으로 받아들이는 길에 따라 다르다. 사랑이 없으면 논밭을 못 짓는다. 사랑이 없으면 일놀이하고 멀다. 사랑이 없으면 삶하고 등진다. 소꿉놀이도, 밭짓기도, 밥짓기도, 또 밥먹기도 언제나 모두 사랑이 흐르는 곳에서 피어난다.


ㅅㄴㄹ


“예상을 뒤집는 맛은 아닌데 예상을 뛰어넘네 그려. 딱 한 입만으로 바다를 느꼈네.” (42쪽)


“손님이 조금 틀리게 말씀하셔도, 지적하지 않는 게 요리사의 센스지요. 특히나 여성이 함께라면요.” (103쪽)


“첫 방문은 개인이나 가족끼리 식사하는 목적으로 가야 하네 …… 정치가도 물론이지만, 업무상 가면 요리를 남겨 버리잖나. 그러면 요리가 불쌍하다는 생각인걸세. 토미큐는.” (145쪽)


#蒼太の包丁 #本庄敬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의 그녀 1
하루나 레몬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숲노래 그림꽃 2022.10.16.

만화책시렁 461


《보통의 그녀 1》

 하루나 레몬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2.3.25.



  두걸음으로 짧게 맺는 《보통의 그녀》를 읽었습니다. 첫걸음만 보아서는 꽤 싱그러우면서 아름다울 수 있겠구나 싶었는데, 두걸음 줄거리는 그림님 스스로 피어나지 않거나 이웃·동무 생채기는 너무 대수롭잖게 여기면서 쳐내고서 끝을 내는군요. ‘아가씨가 참나(참된 나)를 드디어 찾아나서는 줄거리’로만 바라보기는 어려운 그림꽃입니다. ‘다루다루’사람인 아가씨처럼, ‘절름발이’인 짝꿍이 어릴 적부터 어떤 삶을 치러내야 했는가를 조금 더 천천히 돌아보고서 찬찬히 생각해 보았다면, ‘혼자만 잘 살면 신나는’ 길이 아니라 ‘동무하고 손을 잡고 함께 신나는’ 길을 여는 얼거리로 나아갔을 테지요. 그러나 다루다루 아가씨가 잘못했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그저 다루다루 아가씨는 다루다루 아가씨일 뿐입니다. 스스로 살아내려고 용을 쓰다가 짓시늉(의태)을 스스로 익혔고, 이 짓시늉을 바탕으로 ‘있는 척하는 삶’을 굳이 지켜나가야 하지 않는 줄 알아차렸을 뿐이에요. 남이 나를 살려주지 않습니다. 내가 나를 살립니다. 남이 나를 도와주지 않아요. 내가 나를 도울 뿐입니다. 틀림없어요. 남이 숨을 쉬어 주지 않거든요. 내가 숨을 쉬어야 합니다. 남이 오줌을 누어 주지 않아요. 내가 오줌을 눕니다. 담벼락이 나오면 멀리 에돌 수 있고 넘을 수 있고 허물 수 있고 날 수 있어요. 길은 늘 스스로 찾습니다.


ㅅㄴㄹ


“두 살 위인 언니는 가끔 나를 의심스럽게 쳐다보고는 금세 눈을 돌렸고, 심지어 네 살 위인 오빠는 내 존재를 인식도 못하는 듯했습니다. 어머니는 나를 보면 한숨만 쉬었고, 아버지는 아쉽지만 기억이 안 나네요 …… 하지만 공포는 초등학교부터 시작됐습니다. 그러니까 얼마나 힘들었는가 하면, 나는 다루다루인이니까 의자에 앉는 것만 해도 쉬운 일이 아니라서요. 어찌나 혼이 났는지. 주위 아이들은 나를 바보 취급하고, 노려보고, 돌을 던지기도 했어요.” (10쪽)


“저는 남자지만 다른 어떤 남성과도 다르고, 마루야마 씨는 여성이지만 분명 다른 어떤 여성과도 다른 마루야마 씨라서, 그런 카테고리에 넣는 순간, 툭 빠져나오는 게 있을 거예요. 왜냐면 개인은 저마다 모두 다르고 모두 제각각이니까. 남자나 여자이기 전에 인간이니까.” (101쪽)


#はるなれもん #ダルちゃん #はるな檸檬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튼, 순정만화 - 그때는 그 특별함을 알아채지 못했던 수많은 여성들의 이야기 아무튼 시리즈 27
이마루 지음 / 코난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2.10.12.

인문책시렁 240


《아무튼, 순정만화》

 이마루

 코난북스

 2020.2.1.



  《아무튼, 순정만화》(이마루, 코난북스, 2020)를 반갑게 맞이하면서 아쉽게 덮었습니다. 그림꽃(만화)을 즐기는 사람은 틀림없이 많지만, 막상 그림꽃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드물 뿐 아니라, 몇몇 글바치는 사랑그림꽃(순정만화)은 아예 안 다루곤 합니다.


  글책이나 그림책 못지않게 그림꽃책은 매우 넓고 깊습니다. 그림꽃책은 글책이나 그림책으로 들려주지 못 하는 대목을 짚거든요. 글·그림을 알맞게 여미어 이야기를 짜기에 그림꽃입니다. 이 가운데 사랑그림꽃은 부드럽고 상냥하게 사랑을 들려주는 얼거리입니다.


  그나저나 《아무튼, 순정만화》는 사랑그림꽃을 두루 짚거나 다루는 책은 아니고, 글님이 어릴 적부터 사랑그림꽃을 곁에 두면서 자라서 어른이 된 오늘날에도 곁에 둔다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그래서 사랑그림꽃 이야기보다는 ‘그림꽃을 즐기는 어른인 나’한테 맞추지요.


  어떠한 글이든 ‘남이 아닌 나’를 다룰 노릇이기는 한데, ‘사랑그림꽃’을 앞세워서 풀어내는 이야기라면, 무엇보다 여러 사랑그림꽃을 죽 펼쳐놓는다든지, 사랑그림꽃을 즐기는 여러 이웃을 헤아려 본다든지, 사랑그림꽃하고 등진 사람들한테 길잡이를 튼다든지 할 만합니다만, 이 대목이 빠져서 아쉽습니다. 오자와 마리·타카하시 신·코노 후미요·우루시바라 유키 같은 사람들 이름을 가만히 헤아려 봅니다. 그리고 《풀솜나물》 같은 그림꽃을.


ㅅㄴㄹ


엄마, 나, 동생 두루. 세 명이 느슨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모아온 만화책은 내가 10대 시절을 보낸 공간의 풍경을 정의한다. (8쪽)


짧은치마를 입고 싸우다가 세일러 전사의 팬티가 보이면 어쩌지, 저렇게 높은 힐을 신고 싸워도 되나 걱정하지도 않는다. 그보다는 갈수록 더 강해지고 우정과 의리로 똘똘 뭉친 전사들 이야기가 훨씬 중요하다. (43쪽)


“만화책을 돈 주고 사? 돈 아깝게 왜?” 그때의 친구들을 비난할 생각은 없다. 20년이 지난 지금도 누가 열심히 만든 콘텐츠를 돈을 내고 이용해야 한다는 것, 특히 만화를 돈 내고 본다는 것에 거부감을 가진 사람들이 여전히 많으니 말이다. (68쪽)


명확한 취향과 재능을 가진 수많은 젊은 여성 창작자 중 단 몇 명이라도 제대로 된 원로 대우를 받으면 얼마나 좋을까? (16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쿠의 큐베 한약방 1
네무 요코 지음, 노미영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0.10.

만화책시렁 427


《미쿠의 큐베 한약방 1》

 네무 요코

 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20.12.24.



  사랑하려는 마음이 있어야 사랑을 합니다. 자랑하려는 마음이 있으면 자랑을 하지요. 사랑하려는 마음이 없기에, 그저 자랑하려는 마음이 있기에, 겉치레를 하고 껍데기를 씌웁니다. 자랑하려는 마음이 아닌 사랑하려는 마음이라면, 겉치레나 껍데기를 모조리 녹여버립니다. 자랑 아닌 사랑이라는 마음이기에 스스로 꽃빛으로 깨어나고 둘레를 환하게 꽃잔치로 바꾸지요. 《미쿠의 큐베 한약방 1》를 읽으면, 겉모습이나 껍데기가 아닌, 속살이며 숨결을 읽고 느끼고 나누고 싶은 하루를 들려주는 줄거리가 흐릅니다. 겉눈으로는 사랑을 못 하고 그저 자랑이나 합니다. 속눈이기에 자랑 따위는 처음부터 없이 오롯이 사랑을 합니다. 어느 곳에 서서 무엇을 바라보나요? 누구하고 만나서 무슨 말을 주고받는가요? 왜 아픈지 생각해 보나요? 아픈 몸이 낫는 길을 스스로 찾는지요, 아니면 따로 돌봄터(병원)에 가서 뭘 타서 먹어야 한다고 여기나요? 스스로 지펴서 나누는 사랑이듯, 스스로 돌보며 낫는 몸입니다. 아이들이 뼈마디가 튼튼히 서면서 무럭무럭 자라듯, 어른들은 마음밭을 고루 가다듬으면서 어질게 살아갑니다. 아픈 몸을 미워할 일이 없습니다. 아픈 마음을 꺼릴 까닭이 없습니다. 새롭게 태어나려고 자라고 아프며 일어서고 손잡습니다.


ㅅㄴㄹ


“당신 몸이 건강하게 싸우고 있다는 증거니까 느긋하게 지켜봐 줘.” ‘할아버지의 이런 진단 참 좋아.’ (16쪽)


“남친이 내 침대에서 떠난 건 기침 때문이 아니었어. 하아∼. 이럴 줄 알았으면 안 낫는 건데. 기침이 안 나았으면 남친이 돌아올 거라 믿은 채로 잠들 수 있었는데. 미안해. 모처럼 좋은 약 처방받았는데. 진짜 원인을 발견하는 건 의외로 어려운 것 같아.” (71쪽)


“마녀 따위가 있을 리 없잖아. 숲에 살면서 꽃이며 동물과 대화할 수 있다니, 완전 수상해.” “있어∼. 조금만 얘기해도 뭐든 안대. 만날 수 있다면 마녀한테 조언을 듣는 게 최고야.” (9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