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이 오면 상상의힘 동시집 7
김찬곤 지음, 정연주 그림 / 상상의힘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80


《짜장면이 오면》

 김찬곤 글

 정연주 그림

 상상의힘

 2019.1.20.



  일본사람이 엮은 ‘童詩’라는 일본 한자말을 한글로만 바꾸어 ‘동시’로 씁니다. 일본말 ‘아동문학’을 ‘어린이문학’으로 바꾸는 데에만 얼추 100해가 걸렸으니 ‘노래꽃’으로건 다른 우리말로건 ‘동시’를 고치자면 꽤 멀었을는지 모릅니다. 이름이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다면, 처음부터 끝입니다. 이름이 대수로운 줄 알아야, 아이한테 아무 이름이나 안 붙일 뿐 아니라, 아이한테 아무 말이나 안 하고, 아이 둘레에서 아무 짓이나 안 하는 ‘참어른’으로 살림을 짓습니다. 《짜장면이 오면》은 ‘동시집’이지만, 이보다는 글님 어린날 생채기하고 멍울을 고스란히 옮기면서 ‘다시 아이로 살면서 새롭게 바꾸고픈 마음’을 드러내는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그런데 굳이 옛날로 돌아가야 바꿀 수 있지 않아요. 오늘 이곳에서 새롭게 하루를 가꾸면서 ‘우리 스스로 어른빛’을 노래하면 됩니다. 가랑잎이 떨어져 주어야 씨앗을 맺고, 꽃송이가 떨어져 주어야 열매를 맺어요. ‘떨어짐’은 두렵지도 슬프지도 않습니다. 지난날 어머니가 흠씬 두들겨팬 일이 흔했으나, 우리는 오늘 포근손길로 새롭게 살면 돼요. 깨진 무릎도 멍든 마음도 스스로 낫습니다.


ㅅㄴㄹ


하지만, / 떨어진다는 것은 언제나 / 두렵고 / 슬픈 일이다. (떨어진다는 것은/48쪽)


동생과 싸웠다. / 한 대 맞으면 두 대 때리고 / 두 대 맞으면 세 대 때리고 / 오늘은 지고 싶지 않았다. / 나는 동생보다 세 살이나 많은 오빠이니까. // 어머니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 동생은 코를 씩씩 불었다. / 어머니는 나를 보고 화부터 냈다. / 둘을 번갈아 보지도 않았다. (오빠인 나와 동생인 너/8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 찾으러 간다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228
장문석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79


《꽃 찾으러 간다》

 장문석

 실천문학사

 2014.12.5.



  ‘글’을 쓴다고 해도 울타리가 높다는 분이 있으나 ‘시’라고 하면 울타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분이 있습니다. ‘노래’를 부르자 해도 담이 높다는 분이 있지만 ‘문학’이나 ‘예술’이라 하면 담이 아찔하다는 분이 있습니다. 우리말로 ‘글·노래’라 하면 썩 안 높다고 여기고, 한자말로 ‘시·문학·예술’이라 하면 썩 높다고 여기더군요. 그러나 어느 말로 가리키든 똑같습니다. 바라보는 마음만 다릅니다. 《꽃 찾으러 간다》는 ‘시·문학·예술’로 매만지면서 묶은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잔뜩 매만져서 길들인 티가 물씬 흐릅니다. 오늘날은 이렇게 써야 시요 문학이고 예술이라 할 테지요. 그러나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나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처럼 치레하는 꾸밈새를 ‘글’이라 해도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시·문학·예술’이라는 옷을 입힌다면 아무래도 ‘노래’일 수는 없겠구나 싶습니다. 그저 글을 써서 서로 띄우고 받으면서 누리기에 즐겁습니다. 그저 노래를 부르면서 주고받으면서 마음을 북돋우면 아름답습니다. 이제라도 글을 쓰기를 바라요. 이제부터 노래하기를 바랍니다. 꾸며야 시가 된다면, 시는 없어도 됩니다. 치레해야 문학이나 예술이 된다면, 문학이나 예술은 부질없습니다.


ㅅㄴㄹ


그 향내를 더듬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가 전혀 두렵지 않았던 것을 (차마고도 1/13쪽)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에 들어 젓가락 장단 걸판지게 놀다나 갈까 (차마고도 3/16쪽)


형님 생신을 핑계로 간만에 만난 우리 4남매, 생선회 몇 접시 거나하게 포식하고는 짧은 인사치레로 뿔뿔이 흩어지는데 / 덜컥! 다가선 서산마루에 살점을 모두 발린 생선 한 마리가 붉은 숨 헐떡이며 길게 누워 있을 때 (지청구/1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 걷는사람 시인선 8
김성장 지음 / 걷는사람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2.23.

노래책시렁 262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

 김성광

 걷는사람

 2019.2.22.



  넘어지기에 일어섭니다. 일어서기에 걷습니다. 걷기에 문득 서서 둘레를 보고 땅바닥을 들여다보고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바람이 불기에 여름이 시원하고 겨울이 얼어붙습니다. 바람은 여름날 뛰놀라고 북돋우고 겨울날 꿈꾸라고 잠재웁니다. 철을 거스르기에 철딱서니없다고 합니다. 철을 알고 품기에 어질다고 합니다. 둘레를 보면, 철없는 이가 벼슬을 거머쥐어 들판을 짓밟고 이웃이 없이 우쭐거립니다. 참말로 벼슬아치한테는 이웃이 없어요. 우두머리한테는 동무가 없습니다. 이들은 끼리끼리 담벼락을 둘러치고서 움켜잡으려 하는데, 이러다가 이내 죽음길로 갑니다.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을 가만히 읽었습니다. ‘바라다’는 ‘바람’일 뿐, ‘바램(빛바램)’일 수 없습니다. 철없이 벼슬살이를 하던 이들도 어진길을 등돌렸고, 그저 목소리만 높이는 무리도 나란히 철을 잊고서 어진길을 등진 나날이었다고 느낍니다.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는 사람들을 짓밟아서 길들이려 합니다. 이를테면 “맞아야 넋을 차린다”고 읊잖아요. 그러나 참길이라면, “꿈을 어질게 그려야 넋을 차린다”고 해야 맞습니다. 아이들은 놀면서 철듭니다. 어른은 일하고 어깨동무하고 노래하기에 철들어요. 허울을 내려놓을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


독재가 끝나고 민주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할 무렵인 1988년 바라다의 명사형을 바램에서 바람으로 바꾼다는 표준어 규정이 개정된 이후 한동안 나는 바램을 바람으로 쓰기 어려웠다 바램이 바람에 날아가 버릴 것 같았기 때문이다 바람보다 바램이 더 간절한 소망을 담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바람과 바람/26쪽)


속옷을 젖혀 반달 구멍을 내고 / 너의 몸을 들여다보던 밤은 짧고 비렸다 (신화/99쪽)


당신이 붕어빵 장사를 시작했다고 해서 농협 앞 사거리에 갔는데 시를 생각하며 집 앞을 나서는 해질 무렵 붕어빵은 시가 될 수 있지만 친누이의 붕어빵은 사적 거리가 너무 가까워 시가 되기엔 간극이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일체유심조/10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 바다 창비시선 45
박용래 지음 / 창비 / 198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2.8.
노래책시렁 275


《먼 바다》
 박용래
 창작과비평사
 1984.11.5.



  글을 쓰는 자리에 서고 싶다면, 먼저 살림을 하는 자리에 설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엌칼을 쥐고서 도마질을 하여 밥짓기를 하지 않은 사람은 ‘부엌칼·도마·밥·짓다’라는 우리말을 풀이하지 못 합니다. 그리고 이런 낱말을 여미어 글을 쓰지 못 해요. 한자를 익히 읽고 한문책을 으레 읽은 사람은 한자말을 듬뿍 담아서 글을 씁니다. 일본말씨나 옮김말씨가 가득한 책으로 배운 사람은 이 말씨가 마음에 가득하니 이 말씨대로 글을 씁니다. 《먼 바다》를 되읽고서 생각합니다. 서른 해쯤 앞서 읽을 적에는 박용래 님이 글이름이나 글에 한자를 숱하게 적어도 대수로이 여기지 않았는데, 서른 해가 지나서 되읽다 보니 거슬립니다. 새로 태어나 자라나는 어린이가 어른이 될 서른 해 뒤라면 아예 못 읽힐 글이 많겠다고 느껴요. 앵두꽃도 살구꽃도 못 볼 뿐 아니라, 나무에서 앵두랑 살구를 따먹지 못 하고, 새가 앵두랑 살구를 쪼는 모습을 못 본다면, 이러한 한살림을 글로 담을 길이 없어요. 우리는 어떤 삶을 글로 여미는 하루일까요? 우리는 어떤 책을 곁에 두면서 어떤 말과 삶과 마음을 바라보는가요? ‘문학에 이름을 남기는 글’이 아닌 ‘아이들이 물려받으면서 삶을 기쁘게 노래하는 글’을 읽거나 쓰거나 나누는 하루인가요?

ㅅㄴㄹ

앵두꽃 피면 / 앵두바람 / 살구꽃 피면 / 살구바람 // 보리바람에 / 고뿔 들릴세라 / 황새목 둘러주던 / 외할머니 목수건 (앵두, 살구꽃 피면/30쪽)

한뼘데기 논밭이라 할 일도 없어, 흥부도 흥얼흥얼 문풍지 바르면 흥부네 문턱은 햇살이 한 말. / 파랭이꽃 몇 송이 아무렇게 따서 문고리 문살에 무늬 놓으면 흥부네 몽당비 햇살이 열 말. (小感/1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동의 새벽 - 박노해 시집, 30주년 개정판
박노해 지음 / 느린걸음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2.8.
노래책시렁 273


《풀빛판화시선 5 노동의 새벽》
 박노해
 풀빛
 1984.9.25.



  잘난 분은 잘난 대로 삽니다. 못난 놈은 못난 대로 삽니다. 잘난 삶은 높지 않고, 못난 삶은 낮지 않습니다. 다 다르게 마주하고 바라보면서 배우고 사랑길로 새롭게 나아가는 하루입니다. 잘난 분이 잘난 삶을 고스란히 그리지 않고, 짐짓 거드름을 빼면서 가난을 노래한다면 얼마나 보잘것없을까요. 가난한 이가 가난한 하루를 그대로 옮기지 않고, 마치 잘난 분들처럼 거들먹거들먹 자랑하려 들면 얼마나 하찮을까요. ‘집짓기’는 낮은일이 아닌데 ‘건축업’처럼 한자말 이름을 붙이면 높은일이 될까요? 《풀빛판화시선 5 노동의 새벽》을 되읽었습니다. 이 노래책을 1992년에 처음 읽었습니다. 그때는 푸름이였고, 푸른배움터(고등학교)에서는 길잡이들이 “너 왜 불온서적을 학교에 가져오니!” 하고 윽박질렀습니다. 서른 해 지난 2022년에 “일하는 새벽”을 그린 노래는 아직도 ‘나쁜책’일까요, 또는 ‘좋은책’일까요? 일하는 사람이었기에 일하는 목소리를 담은 노래책인데, 1984년에 처음 태어날 무렵에는 박노해 님도 글바치 흉내로 ‘노동의’ 같은 이름을 붙였을 텐데, 새판으로 낼 적에는 ‘일하는’으로 추슬렀다면 새삼스레 빛났으리라 봅니다. 마음소리는 삶소리요, 마음노래는 삶노래입니다. 새벽에는 이슬이 맺습니다.

ㅅㄴㄹ

토요일이면 당신이 무데기로 동료들을 몰고와 / 피곤해 지친 나는 주방장이 되어도 / 요즘 들어 빨래, 연탄갈이, 김치까지 / 내 몫이 되어도 / 나는 당신만 있으면 째지게 좋소 (천생연분/23쪽)

전쟁 같은 밤일을 마치고 난 / 새벽 쓰린 가슴 위로 / 차거운 소주를 붓는다 / 아 / 이러다간 오래 못가지 / 이러다간 끝내 못가지 // 설은 세 그릇 짬밥으로 / 기름투성이 체력전을 / 전력을 다 짜내어 바둥치는 / 이 전쟁 같은 노동일을 / 오래 못가도 / 끝내 못가도 / 어쩔 수 없지 (노동의 새벽/10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