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훈 문학선집 1 : 시선 1 조재훈 문학선집 1
조재훈 지음 / 솔출판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2.10.

노래책시렁 264


《물로 또는 불로》

 조재훈

 한길사

 1991.10.5.



  타박하거나 나무라거나 호통치는 마음으로는 아무것도 못 짓습니다. 고개를 숙이거나 고분고분하거나 따라하는 몸짓으로는 아무것도 안 짓습니다. 꿈을 바라보고 그릴 적에 비로소 짓습니다. 사랑을 생각하고 품을 적에 천천히 지어요. 지음길하고 등지는 꾸지람입니다. 지음빛을 가리거나 누르는 꾸중입니다. 시골에서 살아야만 짓지 않습니다. 서울에서도 얼마든지 짓습니다. 마음을 가꾸기에 짓고, 갈라치기를 하기에 짓는이를 괴롭힙니다. 《물로 또는 불로》를 읽었습니다. 1991년 무렵까지는 이러한 글자락을 문학으로 여겼습니다. 오늘날에도 이처럼 글을 꾸며야 문학상을 받거나 대학교수 자리를 얻습니다. 문학상은 창피하지 않고 대학교수는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문학상은 노래가 아닌 문학으로 맴돌고, 대학교수는 노래하기가 아닌 창작·비평에 갇힙니다. ‘나이든 이’는 으레 ‘육아’ 같은 일본스런 한자말을 쓰는데, 아이 눈높이로 본다면 ‘육아’란 굴레이자 사슬입니다. 삶을 노래하기보다는 문학을 다루려 할 적에는 삶자리·살림자리·사랑자리하고 모두 동떨어집니다. 아이는 키울 수 없고, 아이랑 함께살 뿐입니다. 문학창작·문학비평이 아닌 삶노래·살림노래로 거듭날 적에 비로소 이 나라에 이야기꽃이 필 만합니다.


ㅅㄴㄹ


두 팔을 번쩍 쳐들고 / 활짝 웃어라, 카메라를 대고, / 주야로 돌봐주신 각하께 / 감사하다고 말하라, 마이크를 대어도 / 쪼르륵 배가 고플 뿐. // 꽃다발은 나에게 무엇인가 / 금메달은 나에게 무엇인가 / 그녀의 메마른 몸 속에는 / 혼자 울던 아버지의 깊은 밤이 / 소낙비처럼 쏟아지고 있었다. (죽은 어느 권투 선수의 딸/24쪽)


네모진 성냥갑 / 아파트마다 / 층층이 사람은 / 갇히고, / 벌레가 알을 슬듯 / 자식들을 기른다. // 시멘트 처마 아래 / 녹슨 새장마다 / 쌍쌍이 새들은 / 갇혀서, / 산이 그리워 / 뭐라고 운다 // 다른 나라 / 무더운 하숙집 / 모국어를 / 버리고, / 좁은 빌딩 위로 흘러가는 / 구름을 본다. (無言日/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 속에 피가 흐른다 - 김남주 시선집
김남주 지음, 염무웅 엮음 / 창비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4.

노래책시렁 266


《이 좋은 세상에》

 김남주

 한길사

 1992.3.25.



  노래인 척하는 노래가 넘치는 판이기에 둘레에 쏟아지는 노래책을 들추기는 하면서 마음이 가는 일이 드뭅니다. 새로 나오는 노래책은 새롭게 피어나는 마음을 사랑하는 이야기보다는, 어쩐지 말재주를 피우거나 말장난으로 가득한 쳇바퀴가 가득합니다. 왜 그럴까 하고 돌아보면, 아침저녁으로 서울 한복판이나 한켠에서 오락가락 아주 똑같다 싶은 나날을 보내느라, 철빛을 못 보고 못 느끼거든요. 겉옷만 갈아입을 뿐, 맨몸으로 해바람비랑 풀꽃나무랑 들숲바다를 품지 않는 눈망울에는 겉치레 같은 숨소리만 깃듭니다. 《이 좋은 세상에》을 되읽고 또 되읽습니다. 좁다랗고 차디찬 사슬에 갇힌 채 해도 풀꽃도 들숲도 구경조차 못 하던 나날이던 김남주 님은 비로소 햇살 한 조각을 머금고 들꽃 한 송이를 쓰다듬을 수 있자 “이 좋은 누리·나날”을 노래했습니다. 그러나 ‘좋은’은 겹겹이 눌러담은 눈물이 그득한 멍울이에요. 좋아 보인다고 좋을 수 없고, 좋더라도 아름다움이나 사랑이지는 않거든요. 얼핏 좋아 보이는 겉치레에 숨거나 감춘 민낯을 벗겨내지 않으면, 이 땅에는 아름길도 사랑꽃도 깨어날 수 없습니다. 스스로 종인 줄 알기만 해서는 종살이를 떨치지 못 합니다. 스스로 사랑을 품은 숲사람인 줄 깨달아야 합니다.


ㅅㄴㄹ


종이 되어 사람이 / 남의 집 문간방에서 떨고 있는 곳 / 그곳으로 주인집 마당으로 / 우리네 꺽정이들이 몰려간 것은 / 우르르 우르르 주먹이 되어 몰려간 것은 / 분노만은 아녔으리라 양반들에 대한 // 개가 되어 사람이 / 남의 집 담을 지키고 있는 곳 / 그곳으로 주인집 곳간으로 / 우리네 길산이들이 몰려간 것은 / 칼이 되어 시퍼렇게 몰려간 것은 / 적개심만은 아녔으리라 부자들에 대한 (종이 되어 사람이/16쪽)


나를 다시 / 국회에 보내주시면 / 여기서 저기까지 둑을 쌓아 / 바다를 막겠습니다 / 농가마다 토지없는 설움을 없게 하겠습니다 / 그리고 그는 유권자들의 의심을 사기는 했지만 / 돌 하나 슬그머니 들어올려 / 퐁당 바다 속에 던졌다 / 그리고 그는 가까스로 / 재선의원이 되었다 // 마지막으로 한번 더 속을 셈치고 / 다시 한번 저를 국회에 보내주시면 / 삼선의원의 관록과 명예를 걸고 / 내 몸을 던져서라도 / 바다가 문전옥답 되게 하겠습니다 / 그리고 그는 유권자들의 야유를 받으며 / 그들의 손에 번쩍 들어올려져 / 철부덕 바다 속으로 내던져졌다. (유세장에서/114∼11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4.

노래책시렁 271


《소금꽃·안개꽃》

 정인화

 일빛

 1991.10.30.



  들빛물결이 한창 일어날 무렵, 숱한 노래(시)는 “분노하고 투쟁하라!” 같은 목소리를 내놓았습니다. 그무렵 ‘운동권’이 흔히 쓰는 ‘분노·투쟁’ 같은 일본 한자말을 ‘불길·싸움’으로 고쳐쓰면 안 되겠느냐고 ‘운동권’인 분들을 만날 적마다 얘기해 보았는데, 우리말 ‘불길·싸움’은 멋대가리도 없고 힘알이도 없다면서, ‘분노·투쟁’을 꼭 써야 한다고들 대꾸했습니다. ‘제국주의’를 거스른다고 외치지만 정작 ‘군사제국주의 일본이 흩뿌리거나 심은 한자말’을 고스란히 쓴다면, 우리 스스로 들빛으로 설 수 있을까 아리송합니다. 그러고 보면, 그분들은 ‘들꽃·들풀’ 같은 우리말을 이따금 쓰지만, 이보다는 ‘민(民)’이란 한자를 즐깁니다. 한자 ‘민’은 ‘눈먼 종(눈을 빼앗긴 노예)’을 가리킵니다. 이와 달리 우리말 ‘들꽃·들풀’은 온누리를 푸르게 덮는 숨결이에요. 《소금꽃·안개꽃》은 “투쟁과 사랑 속에 피어난 해방의 이야기”를 내세우는 노래책이라고 하지만, 사랑은 싸움 곁에 있지 않습니다. 사랑에는 싸움이 없어요. 사랑은 모든 싸움을 녹이거든요. 곰곰이 보면, 그분들은 ‘짝맺기’를 외쳤을 뿐, ‘사랑’을 노래한 적이 없습니다. 불타올라서(분노하며) 때려잡을 미운놈(적)을 찾기만 했더군요.


ㅅㄴㄹ


미소 띤 얼굴로 다시 / 그 전장으로 돌아갔는데 / 아, 눈물이 아닙니다 / 서러움이 아닙니다 / 노동해방의 뿌리를 흥건히 적시는 / 물줄기입니다 / 이젠 가슴 벅찬 기쁨입니다 / 진정 솟아나는 환희입니다 (눈물이 아닙니다/23쪽)


분노는 하늘을 찌르고 / 증오는 반도를 뒤흔드는데 / 우리는 어디로 가는 것입니까? / 수천 수만의 만장을 들고 / 우리는 어디로 가는 것입니까? / 아― / 답답하여라 / 캄캄하여라 / 막막하여라 (우리더러 어디로 가잔 말인가?/12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과꽃 당신이 올 때 사과꽃 시선 3
신현림 지음 / 사과꽃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4.

노래책시렁 268


《사과꽃 당신이 올 때》

 신현림

 사과꽃

 2019.2.25.



  남한테 이러구러 잔소리를 해본들 달라질 일이 없습니다. 남한테 따질 까닭이 없이 내가 나한테 사랑노래를 들려주면서 스스로 피어나면 됩니다. 노래(시)란 남한테 자랑하거나 보여주려는 글가락이 아닙니다. 글꽃(문학)이란 남한테 읽히려고 멋부리는 글자락이 아닙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로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으면서 생각을 밝혀 나부터 꽃으로 피어나기를 바라는 하루를 살아낸 자취를 가만히 담거나 옮기기에 노래요 글꽃입니다. 《사과꽃 당신이 올 때》은 제자리걸음조차 아닌 뒷걸음을 드러냅니다. 신현림 님이 큰고장(대도시)이 아닌 시골로 터전을 옮겨 풀꽃나무를 이웃삼고 해바람비를 동무삼는다면 글결이 활짝 피어나리라 생각합니다. 큰고장에 깃들어 서울곁에 머물 적에는 어쩔 길 없이 서울바라기로 머뭅니다. 서울마실을 안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에요. 서울바라기 아닌 숲바라기일 적에 말꽃이 깨어나고, 이 말꽃이란 마음꽃이게 마련입니다. 마음꽃을 말꽃으로 읊을 줄 안다면, 말꽃은 저절로 글꽃으로 옮아갑니다. 꾸밀 까닭이 없이 온하루가 노래꽃입니다. 다만, 서울도 부릉이(자가용)도 잿집(아파트)도 버려야 합니다. 글을 쓰고 노래를 부르고 싶다면, 누구나 숲을 품는 숲순이에 시골돌이로 살림을 지으면 됩니다.


ㅅㄴㄹ


인생 대부분을 건물에서 사는 우리가 / 우주, 인생 전체를 어찌 느낄 수 있을까 / 중심을 가지고 세상을 잘 볼 수 있을까 / 뼈 빠지게 일하는 몸은 / 왜 이리 쉼 없이 돌아가는 공장일까 (지금 울고 싶은 곳/37쪽)


나는 촛불을 왜 들었나? / 묻게 되는 나날이다 / 한국바퀴가 잘 구르지 않아 / 하늘 위에서 타고 있었다 / 물과 밥그릇을 놓칠까 봐 의협심은 (체게바라와 걷던 시간/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문장 문학과지성 시인선 504
김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3.

노래책시렁 270


《한 문장》

 김언

 문학과지성사

 2018.1.8.



  다른 사람은 그저 다릅니다. 다르기에 ‘다르다’라 할 뿐입니다. 둘레에서는 한자말로 ‘유별·구별·개별’이나 ‘특별·특이·특수’나 ‘차·차이·차별’로 나타내곤 하지만, 그저 ‘다르다’일 뿐입니다. 글만 보며 글만 쓰는 사람이라면, 글이 굴레이곤 합니다. 말을 담는 글인 줄 읽으면, 글결이 조금 다릅니다. 마음을 담은 말을 옮긴 글인 줄 읽으면, 글빛이 조금 납니다. 살림하는 마음을 담은 말을 옮긴 글인 줄 읽으면, 글자락이 살아납니다. 사랑으로 살림하면서 마음에 숲을 담는 말을 옮기는 글로 씨앗을 심으려는 생각까지 읽으면, 비로소 이웃하고 나누면서 노래하는 글로 나아갑니다. 《한 문장》을 읽었습니다. 몇 벌 되읽다가 접었습니다. 글을 글로만 뚝딱거리면 이 나라에서는 보람(훈장·상패)을 주곤 합니다. 글에 숲빛이나 마음꽃이나 살림길을 얹으면 이 나라에서는 알아보지 않거나 파묻곤 합니다. ‘문학’도 ‘시’도 아닌 ‘노래’를 부르면서 ‘놀이’를 ‘노늘(나눌)’ 줄 아는 눈망울을 틔우기를 바라요.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 줄 처음부터 새롭게 배우고서 다섯 살 시골아이 눈망울로 한 마디를 읊을 적에 비로소 노래가 깨어납니다. 먹물로 길들이는 글은 늘 굴레입니다. 먹빛 아닌 숨빛을 담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나는 슬퍼하고 있고 슬퍼지고 있고 슬프고 있고 그래서 슬프다. (있다/10쪽)


참치집에 예약을 했다. 조용한 방을 부탁했다. 조용한 방에서 참치가 나왔다. 조용한 참치는 끝없이 나왔다. 우리들 입속으로 들어가서 더 조용해졌다. 꿀꺽 삼키는 소리도 조용해졌다. 참치는 조용히 나와서 조용히 사라졌다. 간만의 대화도 간만에 나와서 조용해졌다. (참치/7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