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옷 생각 브로콜리숲 동시집 32
신재섭 지음, 구해인 그림 / 브로콜리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동시읽기 2023.1.7.

노래책시렁 281


《시옷 생각》

 신재섭

 브로콜리숲

 2022.1.20.



  우리가 쓰는 말은 하늘에서 왔습니다. 하늘을 바라보면서 바람빛을 읽고 햇빛을 살피고 별빛을 헤아린 사람들이 스스로 지었거든요. 우리가 쓰는 말은 들숲에서 왔습니다. 들숲을 이룬 흙을 읽고 풀꽃을 살피고 나무를 헤아린 사람들이 손수 지었어요. 우리가 쓰는 말은 오늘 태어났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문득 사랑을 새롭게 알아보면서 짓고, 어버이랑 한집살림을 누리는 아이가 시나브로 사랑을 새롭게 돌아보면서 함께 지었어요. 《시옷 생각》을 쓴 분도 이 노래책을 읽을 어린이도 으레 잿집(아파트)에 살겠거니 싶습니다. 요새는 잿집 아닌 데에 사는 사람이 드물고, 시골조차 잿집이 우르르 올라옵니다. 어린이가 다니는 배움터도 잿집을 닮아요. 지난날 배움터는 시골집스레 ‘마당 있는 살림집’을 닮았다면, 오늘날 배움터는 서울스레 ‘마당 없고 전자제품 넘치는 잿집’을 닮습니다. 이러다 보니 ㅅ을 살피는 글도 서울스럽고, 개구리도 들숲이 아닌 싱싱칸(냉장고)에서 찾는 글이 태어납니다. 잿집은 잿빛입니다. 잿집에서는 씨앗이 싹트지 않습니다. 잿집에 깃들면 하늘도 흙도 바람도 별도 바라볼 틈이 없습니다. 이제는 잿집을 훌훌 털고서 어린이하고 맨손 맨발 맨몸으로 들판에 서야 비로소 어른스러우리라 봅니다.


ㅅㄴㄹ


우리 집 냉장고에 / 개구리가 살아요 // 개록개록 개고르르 개고르르 / 밤낮으로 울어요 // 겨울이 되자 몸을 떨며 / 캐륵캐륵 캐르르 캐르르 울어요 (개구리 냉장고/30쪽)


옷, 깃발, 햇살, 날갯짓, 빗방울 …… // 시옷이 들어간 말에는 바람이 스치는 것 같아 / 내 머릿결 쓸어 주는 엄마의 손가락빗처럼 (시옷 생각/7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짜장면이 오면 상상의힘 동시집 7
김찬곤 지음, 정연주 그림 / 상상의힘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80


《짜장면이 오면》

 김찬곤 글

 정연주 그림

 상상의힘

 2019.1.20.



  일본사람이 엮은 ‘童詩’라는 일본 한자말을 한글로만 바꾸어 ‘동시’로 씁니다. 일본말 ‘아동문학’을 ‘어린이문학’으로 바꾸는 데에만 얼추 100해가 걸렸으니 ‘노래꽃’으로건 다른 우리말로건 ‘동시’를 고치자면 꽤 멀었을는지 모릅니다. 이름이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다면, 처음부터 끝입니다. 이름이 대수로운 줄 알아야, 아이한테 아무 이름이나 안 붙일 뿐 아니라, 아이한테 아무 말이나 안 하고, 아이 둘레에서 아무 짓이나 안 하는 ‘참어른’으로 살림을 짓습니다. 《짜장면이 오면》은 ‘동시집’이지만, 이보다는 글님 어린날 생채기하고 멍울을 고스란히 옮기면서 ‘다시 아이로 살면서 새롭게 바꾸고픈 마음’을 드러내는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그런데 굳이 옛날로 돌아가야 바꿀 수 있지 않아요. 오늘 이곳에서 새롭게 하루를 가꾸면서 ‘우리 스스로 어른빛’을 노래하면 됩니다. 가랑잎이 떨어져 주어야 씨앗을 맺고, 꽃송이가 떨어져 주어야 열매를 맺어요. ‘떨어짐’은 두렵지도 슬프지도 않습니다. 지난날 어머니가 흠씬 두들겨팬 일이 흔했으나, 우리는 오늘 포근손길로 새롭게 살면 돼요. 깨진 무릎도 멍든 마음도 스스로 낫습니다.


ㅅㄴㄹ


하지만, / 떨어진다는 것은 언제나 / 두렵고 / 슬픈 일이다. (떨어진다는 것은/48쪽)


동생과 싸웠다. / 한 대 맞으면 두 대 때리고 / 두 대 맞으면 세 대 때리고 / 오늘은 지고 싶지 않았다. / 나는 동생보다 세 살이나 많은 오빠이니까. // 어머니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 동생은 코를 씩씩 불었다. / 어머니는 나를 보고 화부터 냈다. / 둘을 번갈아 보지도 않았다. (오빠인 나와 동생인 너/8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 찾으러 간다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228
장문석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79


《꽃 찾으러 간다》

 장문석

 실천문학사

 2014.12.5.



  ‘글’을 쓴다고 해도 울타리가 높다는 분이 있으나 ‘시’라고 하면 울타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분이 있습니다. ‘노래’를 부르자 해도 담이 높다는 분이 있지만 ‘문학’이나 ‘예술’이라 하면 담이 아찔하다는 분이 있습니다. 우리말로 ‘글·노래’라 하면 썩 안 높다고 여기고, 한자말로 ‘시·문학·예술’이라 하면 썩 높다고 여기더군요. 그러나 어느 말로 가리키든 똑같습니다. 바라보는 마음만 다릅니다. 《꽃 찾으러 간다》는 ‘시·문학·예술’로 매만지면서 묶은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잔뜩 매만져서 길들인 티가 물씬 흐릅니다. 오늘날은 이렇게 써야 시요 문학이고 예술이라 할 테지요. 그러나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나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처럼 치레하는 꾸밈새를 ‘글’이라 해도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시·문학·예술’이라는 옷을 입힌다면 아무래도 ‘노래’일 수는 없겠구나 싶습니다. 그저 글을 써서 서로 띄우고 받으면서 누리기에 즐겁습니다. 그저 노래를 부르면서 주고받으면서 마음을 북돋우면 아름답습니다. 이제라도 글을 쓰기를 바라요. 이제부터 노래하기를 바랍니다. 꾸며야 시가 된다면, 시는 없어도 됩니다. 치레해야 문학이나 예술이 된다면, 문학이나 예술은 부질없습니다.


ㅅㄴㄹ


그 향내를 더듬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가 전혀 두렵지 않았던 것을 (차마고도 1/13쪽)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에 들어 젓가락 장단 걸판지게 놀다나 갈까 (차마고도 3/16쪽)


형님 생신을 핑계로 간만에 만난 우리 4남매, 생선회 몇 접시 거나하게 포식하고는 짧은 인사치레로 뿔뿔이 흩어지는데 / 덜컥! 다가선 서산마루에 살점을 모두 발린 생선 한 마리가 붉은 숨 헐떡이며 길게 누워 있을 때 (지청구/1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 걷는사람 시인선 8
김성장 지음 / 걷는사람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2.23.

노래책시렁 262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

 김성광

 걷는사람

 2019.2.22.



  넘어지기에 일어섭니다. 일어서기에 걷습니다. 걷기에 문득 서서 둘레를 보고 땅바닥을 들여다보고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바람이 불기에 여름이 시원하고 겨울이 얼어붙습니다. 바람은 여름날 뛰놀라고 북돋우고 겨울날 꿈꾸라고 잠재웁니다. 철을 거스르기에 철딱서니없다고 합니다. 철을 알고 품기에 어질다고 합니다. 둘레를 보면, 철없는 이가 벼슬을 거머쥐어 들판을 짓밟고 이웃이 없이 우쭐거립니다. 참말로 벼슬아치한테는 이웃이 없어요. 우두머리한테는 동무가 없습니다. 이들은 끼리끼리 담벼락을 둘러치고서 움켜잡으려 하는데, 이러다가 이내 죽음길로 갑니다.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을 가만히 읽었습니다. ‘바라다’는 ‘바람’일 뿐, ‘바램(빛바램)’일 수 없습니다. 철없이 벼슬살이를 하던 이들도 어진길을 등돌렸고, 그저 목소리만 높이는 무리도 나란히 철을 잊고서 어진길을 등진 나날이었다고 느낍니다.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는 사람들을 짓밟아서 길들이려 합니다. 이를테면 “맞아야 넋을 차린다”고 읊잖아요. 그러나 참길이라면, “꿈을 어질게 그려야 넋을 차린다”고 해야 맞습니다. 아이들은 놀면서 철듭니다. 어른은 일하고 어깨동무하고 노래하기에 철들어요. 허울을 내려놓을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


독재가 끝나고 민주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할 무렵인 1988년 바라다의 명사형을 바램에서 바람으로 바꾼다는 표준어 규정이 개정된 이후 한동안 나는 바램을 바람으로 쓰기 어려웠다 바램이 바람에 날아가 버릴 것 같았기 때문이다 바람보다 바램이 더 간절한 소망을 담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바람과 바람/26쪽)


속옷을 젖혀 반달 구멍을 내고 / 너의 몸을 들여다보던 밤은 짧고 비렸다 (신화/99쪽)


당신이 붕어빵 장사를 시작했다고 해서 농협 앞 사거리에 갔는데 시를 생각하며 집 앞을 나서는 해질 무렵 붕어빵은 시가 될 수 있지만 친누이의 붕어빵은 사적 거리가 너무 가까워 시가 되기엔 간극이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일체유심조/10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 바다 창비시선 45
박용래 지음 / 창비 / 198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2.8.
노래책시렁 275


《먼 바다》
 박용래
 창작과비평사
 1984.11.5.



  글을 쓰는 자리에 서고 싶다면, 먼저 살림을 하는 자리에 설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엌칼을 쥐고서 도마질을 하여 밥짓기를 하지 않은 사람은 ‘부엌칼·도마·밥·짓다’라는 우리말을 풀이하지 못 합니다. 그리고 이런 낱말을 여미어 글을 쓰지 못 해요. 한자를 익히 읽고 한문책을 으레 읽은 사람은 한자말을 듬뿍 담아서 글을 씁니다. 일본말씨나 옮김말씨가 가득한 책으로 배운 사람은 이 말씨가 마음에 가득하니 이 말씨대로 글을 씁니다. 《먼 바다》를 되읽고서 생각합니다. 서른 해쯤 앞서 읽을 적에는 박용래 님이 글이름이나 글에 한자를 숱하게 적어도 대수로이 여기지 않았는데, 서른 해가 지나서 되읽다 보니 거슬립니다. 새로 태어나 자라나는 어린이가 어른이 될 서른 해 뒤라면 아예 못 읽힐 글이 많겠다고 느껴요. 앵두꽃도 살구꽃도 못 볼 뿐 아니라, 나무에서 앵두랑 살구를 따먹지 못 하고, 새가 앵두랑 살구를 쪼는 모습을 못 본다면, 이러한 한살림을 글로 담을 길이 없어요. 우리는 어떤 삶을 글로 여미는 하루일까요? 우리는 어떤 책을 곁에 두면서 어떤 말과 삶과 마음을 바라보는가요? ‘문학에 이름을 남기는 글’이 아닌 ‘아이들이 물려받으면서 삶을 기쁘게 노래하는 글’을 읽거나 쓰거나 나누는 하루인가요?

ㅅㄴㄹ

앵두꽃 피면 / 앵두바람 / 살구꽃 피면 / 살구바람 // 보리바람에 / 고뿔 들릴세라 / 황새목 둘러주던 / 외할머니 목수건 (앵두, 살구꽃 피면/30쪽)

한뼘데기 논밭이라 할 일도 없어, 흥부도 흥얼흥얼 문풍지 바르면 흥부네 문턱은 햇살이 한 말. / 파랭이꽃 몇 송이 아무렇게 따서 문고리 문살에 무늬 놓으면 흥부네 몽당비 햇살이 열 말. (小感/1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