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4.18.

숨은책 673


《한국전래 어린이놀이》

 최상수 글

 김성두 그림

 웅진출판주식회사

 1989.4.30.첫/1992.11.25.3벌



  1989년에 《한국전래 어린이놀이》가 나왔다고 할 적에는, 어린이놀이가 벌써 자취를 감추었다는 뜻입니다. 제 또래가 어린이로 뛰놀던 무렵(1982∼87)에는 그야말로 골목이며 마당이며 너른터(운동장) 어디나 놀이터였지만, 차츰 늘어나는 쇳덩이(자동차)가 우리 놀이터를 잡아먹었고, 푸른배움터(중·고등학교)로 접어들면 더는 놀면 안 되는 판이었어요. 어린이놀이를 다룬 알뜰한 책은 조금 읽혔되 오래 읽히지 못 했고, 어느덧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잊히는 놀이를 다루었으니 잊힐 만할 뿐 아니라, 이 책을 곁에 두면서 아이들이 실컷 뛰놀도록 마음쓰는 어른이 드뭅니다. 어른들은 집집마다 쇳덩이를 건사하느라 바빴고, 배움수렁(입시지옥)을 뿌리뽑는 일에는 마음을 안 기울였어요. 2000년을 지나고 2020년을 지나도 ‘어린이가 놀 틈과 터를 돌려주자!’고 외치는 어른은 한 줌조차 안 돼요. ‘놀이터’를 목돈 들여 지어 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놀이는 ‘놀이터란 이름을 붙인 데’에서만 하지 않거든요. 발걸음과 손짓이 놀이요, 노래가 놀이요, 눈짓도 놀이요, 조약돌에 모래도 놀이입니다. 너나없이(남녀 안 가르고) 누리는 놀이인데, 요새는 ‘문해력(글읽기)’이란 굴레에 어린이를 가두려는 어른마저 득시글합니다. 어린이는 언제 놀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3.4.7.

숨은책 820


《엽서》

 신영복 글·글씨

 너른마당

 1993.2.20.



  ‘잘 팔리거나 널리 알려진 책을 값싸게 사려는 뜻’으로 헌책집에 가는 이라면 빈손으로 물러나오겠지요. 그런 책은 요새 ‘알라딘 중고샵’으로 찾아가서 사면 됩니다. 헌책집이란, ‘미처 안 알려졌거나 얼마 안 팔렸지만, 두고두고 되읽으면서 새길 아름답고 알찬 책을 고맙게 만나려는 뜻’이 몹시 큽니다. ‘누구나 말하거나 읽는 책’이 아니라 ‘아직 말하지 않거나 읽히지 않은 빛나는 책’을 알아보면서 가슴으로 품고 마음으로 새겨 머리에 담고 손발에 새기운을 북돋우는 이야기를 누리려고 헌책집으로 책마실을 다닌다고 하겠습니다. 1998년 1월 6일에 〈헌책방 사랑 누리〉란 모임을 열었더니 《엽서》를 찾아 달라는 이웃님이 꽤 많았습니다. 글쪽(엽서)을 왜 찾아 달라 하는지 아리송했는데, 신영복 님 글씨를 오롯이 담은 커다랗고 까만 책이 있다더군요. 그래서 그런갑다 하고 찾아내어 건네곤 했는데 ‘아직 새책집에 멀쩡히 있는 책’을 싸게 사려고 여쭌 이웃이 많았더군요. “여보셔요. 새책으로 있는 책을 왜 헌책으로 찾아 달라 하시나요?” “아, 그게 …….” “이 책은 헌책이든 새책이든 값이 비슷합니다. 아름답다고 여기신다면 새책으로 만날 수 있을 적에 즐겁게 값을 치러 주셔요. 그래야 오래오래 갈 테니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3.4.7.

숨은책 821


《農民神學》

 Charles R.Avila 글

 안재웅 옮김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1976.11.15.



  흙꾼(농민)은 모두 가난할까요? 아닙니다. 예부터 땅을 넓게 거느린 흙꾼은 안 가난합니다. 예부터 벼슬아치나 나리한테 붙어서 굽신거리던 흙꾼은 안 가난합니다. 땅뙈기 없이 빌려서 흙을 짓던 일꾼은 가난합니다. 벼슬아치나 나리한테 안 붙으면서 조용하고 착하게 살던 일꾼은 가난합니다. 몇 해마다 뽑기철(선거철)에 이르면 ‘시골 군수·국회의원·군의원·교육감’이 되겠다며 떠들썩합니다. 요새는 돈을 함부로 못 먹인다지만 낱낱이 지켜보는 눈이 나라 곳곳에 있지는 않습니다. 2023년에도 “군수 당선에 이바지하지 않은 사람은 명단을 다 작성해 놓고서 모든 사업에서 배제합니다.” 같은 소리를 듣는 전남 고흥 시골입니다. 1976년에 나온 《農民神學》을 읽으면 “농민들은 조만간에, 그들 스스로가 자기들을 다스리며, 자기 문제들을 또한 스스로 처리해 나갈 것이다. 자기 자신들뿐만 아니라 전 국가가 자유스럽게 발전되어 갈 것이다(93쪽).” 하고 끝맺는데, 어진 흙꾼 못잖게 어질지 않은 흙꾼도 많아요. 이 작은 책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구미도시산업선교(경북 구미시 원평2동 7-52 T.4823)’에서 ‘마을책숲(마을도서관)’을 꾸리며 ‘76.11.12.’에 건사한 책이지 싶은데, 아무도 읽지 않은 티 그대로 남다가 버려졌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시렁 119


《김현희의 하느님》

 조갑제·정호승 글

 고시계

 1990.8.1.



  조갑제 씨는 처음부터 ‘조선일보·월간조선·극우’하고 한몸이지 않았습니다. ‘뿌리깊은 나무’에서 책을 냈으며, 《고문과 조작의 기술자들》 같은 책도 냈습니다. 다만 ‘조선일보’ 글밥을 먹자 휙 돌아섰을 뿐입니다. 이 조갑제 씨하고 꽤 오래 일하면서 〈월간조선〉 차장으로 있던 시인이 정호승 씨입니다. 1982년에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뽑히고부터 1991년까지 일했다지요. 전두환·노태우로 이어온 총칼수렁(군사독재) 한복판에서 배부르게 살았더군요. 어느 곳에 머물었든 대수롭지 않아요. 조갑제·정호승 둘이 낸 《김현희의 하느님》이란 책을 꽁꽁 숨기려 하더라도 이미 쓰고 펴낸 책이 사라질 턱이 없어요. ‘1980∼90’년대라는 총칼나라 한복판에서 ‘조선일보 기자’라는 이름쪽으로 글밥을 먹은 밑힘으로 이녁 이름을 드날리면서 무엇이 기쁨이고 사랑이고 슬픔이고 꿈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조갑제 씨랑 함께 일한 나날’이 창피해서 숨겨야 한다면, 처음부터 함께 일할 까닭이 없었을 테지요. ‘왼오른 없이 글은 그저 글일 뿐’이라고 여긴다면 떳떳이 ‘전두환·노태우 총칼나라 한복판에서 조선일보 기자 노릇’을 했던 일부터 글로 쓰면 되고요. 달콤하게 겉을 꾸민들 달빛이 되지 않습니다. 글에 한자를 유난히 쓰는 버릇도 조선일보스럽습니다. 정일권 씨도 이 책을 읽었네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처음에는 조갑제 단독으로 일본말로 냈다가

정호승이 글을 붙여 한글판을 새로 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숲노래 숨은책 2023.4.3.

헌책읽기 10 두 민족의 접점에서



  안 읽히거나 사라지는 책에는 안 읽히거나 사라지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지은이가 잘 쓰지 못 해서 안 읽히거나 사라지기도 하지만, 우리 스스로 눈먼 종살이를 하는 탓에 스스로 안 알아보거나 못 알아볼 뿐 아니라, 허물벗기나 날개돋이를 아예 생각조차 안 하는 탓이 대단히 큽니다. 《두 민족의 접점에서》는 일본에서는 제법 읽힌 책이고, 한글판이 가까스로 태어난 책이되, 고침판이 한 벌 나오기는 했으나 까맣게 잊힙니다. 글님은 예나 이제나 꾸준히 한·일(일·한) 두 나라 사이를 마음으로 잇는 징검다리라는 길을 천천히 가꿉니다. 노래님 이상은 씨는 글님이 도와준 손길에 힘입어 새길을 걸을 수 있었다지요. 잊혀진 헌책을 2022년에 문득 장만했고, 곰곰이 읽고서 열여섯 살 큰아이하고 함께 읽었습니다. 이 책이 갓 태어난 1989년부터 2023년에 이르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도무지 안 바뀌는 굴레를 엿보면서, 두 나라뿐 아니라 ‘두 나라에 깃든 사람들과 벼슬꾼과 먹물꾼’ 사이에 무엇이 있는지 돌아봅니다. 1961년에 태어난 글님은 두 이름을 품습니다. 하나는 ‘강신자’요, 둘은 ‘쿄 노부코’입니다. 글님은 으레 한자 ‘姜信子’로 적으면서 ‘강신자’ 아닌 ‘쿄 노부코’로 읽는다고 합니다. 그야말로 어느 쪽에도 기울지 않으면서 두 나라와 두 살림과 두 마음을 하나로 어우르면서 사랑이라는 빛길을 걸어가려는 뜻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한글·한말을 익히려고 무던히 애쓰셨다는데, 적잖은 한글책을 일본글로 옮기기도 했습니다. 요즈음은 ‘자이니치’라는 일본 말소리를 쓰는 분이 많고, 남녘에서는 ‘재일교포’라 하고 북녘에서는 ‘재일조선인’이라 합니다. 일본에서 살아가는 한겨레라면 ‘일본한겨레’라 하면 될 텐데요. ‘중국한겨레·일본한겨레·한국한겨레·미국한겨레’처럼 쓰면 되리라 봅니다. 뿌리를 내린 터전이 다르되, 이 푸른별에서 이루려는 뜻은 다툼질 아닌 어깨동무라면 ‘한겨레’를 넘어 ‘한사람·한사랑’으로 바라보면 될 테고요.



《두 민족의 접점에서》(강신자/송일준 옮김, 밝은글, 1989.10.10.)



대학을 1년간 더 다녔다. 소위 ‘취직차별’이 원인이다. 최초로 나 자신에게 심각한 문제로 ‘차별’이 대두된 것이다. 아직 젊고, 일본에서 살아갈 일밖에는 생각할 수 없는 나에게 한국 국적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회사에서 거부되었다는 사실이 생사를 가름하는 문제로 다가왔다. (18쪽)


조선반도에 왠지 모르게 친근감을 갖고 한글공부를 하고 있던 그 사람조차도 이 정도였다. 그렇다면 한국과 재일한국인에게 특별한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뭘 알고 있겠는가. (27쪽)


“소중히 여겨 주어야 할 것이야.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혹시 친척들 사이에서 이 아이가 고통스런 입장에 서게 될지도 몰라. 자네밖에 없어. 그런 때에 딸아이를 지켜줄 사람은. 철저하게 지켜주어야 해.” 조용하게 천천히 그의 눈을 응시하면서 말씀하셨다. (31쪽)


“하지만 우리들은 일본인, 한국인을 말하기 전에 같은 인간 아닌가요?” 내 물음에 차별철폐운동을 하고 있는 40세 정도의 남성은 대답했다. “넌 너무 어수룩해. 그런 건 현실도피의 말에 지나지 않아. 우리들은 인간이기 이전에 조선인이다.” (37쪽)


시어머니는 참으로 평범한 일본 여인. 줄곧 사회생활을 하고 계신 분으로서 집에 틀어박혀 있는 가정주부보다 시야는 넓을지도 모른다. 매일 신문을 읽고 있어서 사회에 지금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도 알고 있다. 그렇지만 재일한국인의 지문날인거부를 눈여겨본 적도 없고 그 의미도 알 바 아니다. 원래 재일한국인을 본 적도 없는데다 말을 해본 적도 없다. 그런데 갑자기 참으로 미지의, 아들과 결혼할 여자로서 ‘나’라는 재일한국인이 나타난 것이다. (43쪽)


“왜 우리 집에서는 하나마츠리를 안 해, 엄마?” “우리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그런 습관이 없단다.” 참 시시하다고 생각하면서 언니들과 셋이서 손으로 히나사마를 만들었다 … 어린 마음에 ‘이건 손해잖아’ 하는 느낌이 들었다. 한편으론 한국인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행사도 틀림없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경험한 일이 없었다. (55쪽)


아버지가 무뚝뚝하게 대답하셨다. “선생은 안 돼. 공무원도 안 되고 보통 회사 같은 데도 안 되는 거야. 기술이라도 지니지 못하면 살아갈 수 없어.” 냉정하게 설명해 주셨다. (61쪽)


이것으로 세 번째의 실수였다. 밖에 나갈 때는 외국인등록증을 잊지 말 것. 이것은 재일한국·조선인에게는 상식이다. (102쪽)


일본인도 아니고 한국인도 아니다. 그 두 개의 마이너스도 서로 곱셈을 하면 플러스가 된다. ‘민족’과 같은 딱딱한 의식이 아니라 ‘재일한국인다움’ 같은 것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149쪽)


아버지는 가와사끼고를 나와 쥬오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법조인이 되려는 꿈을 갖고 계셨다. 그러나 한국인에게는 사법시험을 치를 자격이 없었다. 그것만이 아니었다. 일본 기업에서 재일한국·조선인을 고용하려는 곳은 없었다. (156쪽)


미싱기름 냄새가 나는 작업장에서 아침부터 밤까지 미싱을 돌리던 어머니, 손톱이 기름에 까맣게 물든 채 반제품을 나르고 차를 운전하시던 아버지. (161쪽)


“저는 한국 국적입니다만, 입사 때 무슨 지장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한국 국적을 가진 분이 입사한 예는 없읍니다. 귀화한 분은 있읍니다. 다만 전례가 없을 뿐 들어올 수 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176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