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게 휘두르며 4
히구치 아사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9월
평점 :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12.19.
다듬읽기 247
《크게 휘두르며 4》
히구치 아사
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9.25.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여러 가지를 보면 ‘일본사람이 지은 말’이 무척 많습니다. 일본말인 줄 알면서 그냥 쓰는 사람이 있고, 이제 와서 어떻게 새말을 짓느냐고 나무라는 사람이 있고, 일본말인 줄 여태 몰랐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새롭게 짓거나 엮거나 배우기란, 언제나 처음에만 고비를 맞습니다. 고비를 넘으면 이다음부터 수월하지요. 어린이는 모든 말이 낯설면서 새롭습니다. 우리가 ‘이미 온갖 말이 익숙한 나이든 사람 눈높이’가 아닌 ‘이제 모든 말을 새로 익힐 어린이 눈높이’로 보려고 한다면, 모든 말을 우리 나름대로 쉽고 알맞으며 넉넉하게 짓고 엮을 수 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도 제 나라 어린이를 헤아려서 숱한 말을 어마어마하게 지었어요. 《크게 휘두르며》는 ‘야구’를 바탕으로 줄거리를 폅니다. 그냥 일본말일 ‘야구’인데, ‘나이든 사람’끼리 머리를 맞대서는 길을 못 냅니다. 어린이 스스로 공과 방망이와 주머니를 놓고서 놀며 생각하자고 하면 길을 낼 만합니다. 무엇보다도 ‘들(필드)’에서 하는 공놀이입니다. ‘들공’인 셈입니다. 이러면서 공을 치거나 때려요. ‘공치기’입니다. 공으로 하는 놀이가 여러모로 비슷하다지만, 하나씩 자리를 잡으려고 하면 말길도 새록새록 찾아나설 만하리라 봅니다.
ㅅㄴㄹ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낙제를 피해야 해
→ 그러자면 먼저 안 떨어져야 해
→ 그러려면 먼저 미끄덩을 말아야 해
《크게 휘두르며 4》(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43쪽
공 찾는 시간이 엄청 짧아졌어
→ 공 찾는 틈이 엄청 짧아
→ 공을 일찍 찾아
《크게 휘두르며 4》(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09쪽
베이스에서 2∼3보 떨어져 리드하고 있는 장면
→ 칸에서 2∼3걸음 떨어져서 끄는 모습
→ 자리에서 2∼3발 떨어져서 가는 대목
《크게 휘두르며 4》(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31쪽
화낸 거 아냐. 목소리에 노기가 섞여 있지 않은걸
→ 성내지 않았어. 목소리에 성이 안 섞였는걸
→ 부아 아니야. 목소리에 부아가 안 섞였는길
《크게 휘두르며 4》(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56쪽
자비로 사신 거야?
→ 손수 사셨어?
→ 혼벌이로 사셨어?
《크게 휘두르며 3》(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0쪽
다른 포지션도 움직여야 하니까
→ 다른 자리도 움직여야 하니까
→ 다른 곳도 움직여야 하니까
《크게 휘두르며 3》(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31쪽
역시 성장통이 맞았다며 여름에도 계속 던지게 했는데
→ 자람앓이가 맞다며 여름에도 내처 던지라 했는데
→ 자람앓이 맞다며 여름에도 그대로 던졌는데
《크게 휘두르며 3》(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200쪽
얕보지 않는 점은 요주의 사항이지만 힘이 들어갔다면 요리하기 쉽다
→ 얕보지 않으니 들여다봐야 하지만 힘이 들어갔다면 다루기 쉽다
→ 얕보지 않으니 살펴야 하지만 힘이 들어갔다면 주무르기 쉽다
《크게 휘두르며 2》(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4쪽
녀석한테는 그게 최고일 거란 생각이 드니까
→ 녀석한테는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 녀석은 그 길이 으뜸이라고 생각하니까
《크게 휘두르며 2》(히구치 아사/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