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깎 (2022.5.23.)

― 서울 〈서울책보고〉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깎아내릴 수 없어요. 모든 말은 스스로한테 하는 말이거든요. 남을 깎아내리려고 하는 말은 늘 그이 스스로 깎아내리는 터라, 둘레에서 그런 말을 쓰든 말든 우리는 빙그레 웃으면 그만이에요. 그들은 마음을 휘어잡으려고 그런 말을 쓰거든요. 또한 우리가 그들이나 다른 누구를 미워하면, 이 미움빛이 그들을 먹여살리는 구실을 합니다.


  누가 나를 보면서 “병신 같은 게” 같은 말을 하면, “네, 제가 좀 아픕니다. 제가 아프니 앓으면서, 천천히 배우며 살아갑니다. 저는 제가 바라보니 그대는 다른 아픈 사람을 돌아보시기를 바랍니다.” 하고 빙그레 웃으며 대꾸합니다. 또는 그저 고개를 꾸벅 숙이고서 뒤돌아섭니다. 저는 누구하고도 미움빛을 섞으면서 삶을 갉고픈 마음이 없습니다.


  어버이가 착하게 살면 아이도 착하게 마련입니다. 어버이가 아름답게 살면 아이도 아름답게 마련입니다. 어버이가 슬기롭게 살면 아이도 슬기롭게 마련이에요. 다만, 어버이가 안 착하고 안 아름답고 안 슬기롭더라도, 아이는 어버이를 거울로 삼아서 착하고 아름답고 슬기롭게 삶을 새로 지을 수 있는 마음빛이 있어요.


  서울마실을 합니다. 〈서울책보고〉에서 마을책집 두 곳을 알려주는 이야기를 펴기 앞서 골마루부터 누빕니다. 오늘 품을 책부터 건사하고서야 일을 합니다. 어린날에는 어린날대로 마음을 사로잡은 책이 스쳤고, 푸른날에는 푸른날대로 마음을 감싸는 책이 스몄습니다. 오늘은 오늘대로 마음을 토닥이는 책이 눈앞에 있어요. 모든 다른 책을 모든 다른 때에 다르게 손에 얹고서 읽습니다.


  빛나는 나날을 보낸 하루가 지나갑니다. 새해 새봄에도, 지난해 첫봄에도, 다가올 이듬해 봄에도, 하늘을 씻어 주는 빗방울노래와 함께하기를 바라면서 거닐고, 멈추고, 다시 거닐고, 새로 하늘을 보고, 문득 바람을 맛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은 늘 ‘앞(미래)’이면서 ‘뒤(과거)’입니다. 그런데 우리말을 짚어 보면 ‘앞’은 ‘미래·과거’를 나란히 나타내고, ‘뒤’도 ‘과거·미래’를 함께 나타내요. 앞도 뒤도 쳐다보지 않고서 늘 ‘나(오늘)’를 바라보는 마음이라면, 누구나 빛나는 씨앗을 말로도 글로도 옮기는구나 하고 느껴요.


  내가 보기에는 “내가 있기에 네가 있”다면, 네가 보기에는 “네가 있기에 내가 있”어요. 우리는 다 다른 넋이면서 모두 나란히 하늘넋이고 바다빛이며 들얼이자 숲노래입니다. 못난책을 멀리하거나 좋은책을 가까이하지 않습니다. 그저 다 다른 책에 다다르려고 손을 뻗으면서 서로서로 다가서고 다가올 뿐입니다.


ㅅㄴㄹ


《누군가 사랑하기에!》(헬렌 스타이나 라이스/편집부 옮김, 보이스사, 1989.8.28.중판)

《배가본드 14》(요시카와 에이지 글·이노우에 타카히코 그림/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2.7.30.)

《개와 산다는 것 1》(이시카와 유고/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5.1.30.)

《생활의 길잡이 2-1》(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국정교과서주식화사, 1995.9.1./1999.9.1.)

《생활의 길잡이 3-2》(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국정교과서주식화사, 1996.9.1./1998.9.1.)

《생활의 길잡이 4-2》(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국정교과서주식화사, 1996.9.1./1998.9.1.)

《실과 4》(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국정교과서주식화사, 1996.3.1./1999.3.1.)

《실과 5》(교육부·한국교원대학교 1종도서연구개발위원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3.1.)

《실과 6》(교육부·한국교원대학교 1종도서연구개발위원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3.1./2001.3.1.)

《길과 풍경과 시》(허만하, 솔, 2002.12.10.첫/2002.12.30.2벌)

《캠핑》(차현희 엮음, 총리원교육국, 1965.9.20.)

- “젠센기념관 장서” 535

- 빌린이 없음

《믿음으로 산 위인들 1 문둥이의 벗 다미엔》(신복윤 엮음, 기독교어린이문화관, 1960.6.20.)

《느릅골 아이들》(임길택, 산하, 1994.9.27.첫/2006.11.15.31벌)

《딸꼬마이》(이상권, 산하, 1991.8.20.첫/2001.3.20.11벌)

《후쿠시마 사고 Q&A》(고이데 히로아키/고노 다이스케 옮김, 무명인, 2012.10.25.)

《極限の民族》(藤木高嶺, 朝日新聞社, 1968.5.10.)

《성산별곡》(윤태호, 료녕민족출판사,1997.11.)

《石燈籠》

《CAMBODIA》(임종진, 오마이북, 2014.6.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마감하는 마음 (2024.12.22.)

― 부산 〈책과 아이들〉



  한 해를 마감하는 때를 ‘섣달 그믐’이라 합니다. 새롭게 한 해를 여는 날을 ‘설날’이라 합니다. 우리 겨레는 달종이가 아닌 날씨를 살피고 하늘빛과 바다빛과 들빛과 숲빛을 고루 헤아리면서 ‘섣달·설날’이란 두 이름을 붙입니다.


  끝날과 첫날을 잇는 낱말이 ‘서’입니다. ‘서다’ 하나를 ‘멈춰서다’로 새기면서 ‘섣달’로 붙인다면, ‘서다’ 둘을 ‘일어서다’로 새기면서 ‘설날’로 붙입니다. 까마득히 오랜 나날 수수께끼로 이은 우리 말밑입니다. 그러나 이런 말빛을 배움터에서 슬기롭게 가르치는 길잡이는 아직 없어 보입니다.


  차근차근 매듭을 짓고 마감하는 나날입니다. 부산으로 ‘이오덕 읽기 모임’을 꾸리러 가는 길에도 여러모로 마감글을 추스릅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며 이웃하고 으레 “산타는 바로 여러분 스스로예요. 내가 나한테 주는 빛을 ‘선물’이라고 말한답니다“ 하고 속삭입니다. 우리는 서로 ‘빛’을 주고받습니다. ‘덩이’를 주고받지 않아요. 덩이나 돈을 주고받더라도, ‘이 덩이에 빛을 담아’서 주고받게 마련이고, 빛으로 마주하는 사이라서 오래오래 반갑습니다.


  ‘반갑다’라는 낱말은 ‘밝다’를 나타내요. 아무나 안 반갑지요. 밝게 웃고 노래하고 이야기할 사이일 때에만 반갑습니다. 반갑게 여밀 끝날과 새날을 그리면서 짐을 꾸려서 길을 나섭니다. 가는 길도 오는 길도 매한가지입니다. 시골마을을 뜸하게 지나가는 버스를 먼저 타고, 읍내에서 이웃고을로 넘어가는 버스를 갈아타고, 다시 부산으로 가로지르는 버스를 탑니다. 부산에서는 버스나 전철로 마을책집으로 또 나아가지요. 이러구러 길에서 늘 일고여덟 시간을 가볍게 보냅니다.


  아침에 겨울빛을 듬뿍 누리면서 〈책과 아이들〉에서 ‘바보눈’ 여덟걸음을 잇습니다. 처음에는 겨울빛이더니 이내 겨울볕으로 포근포근합니다. 까치가 동백꽃을 톡톡 쪼아먹는 모습을 다같이 지켜보면서 ‘힘들면서 즐거운’이라는 글이름으로 저마다 쪽글을 씁니다. ‘힘들다 = 힘을 들이다’라는 뜻입니다. 힘을 들이기에 나쁘다는 결이 아닌, 그저 스스로 새롭게 지으려고 온몸을 다하여 힘을 들인다는 길이고, 온몸에 이어 온마음을 나란히 들이기에 늘 즐겁습니다.


  책은 눈으로도 읽지만, 먼저 마음으로 읽습니다. 다음으로 손길로 읽고, 언제나 우리 숨결에 흐르는 사람으로 늘 읽어요. 첫자락에 매듭을 짓는 읽기와 쓰기가 있고, 끝자락에 비로소 매듭을 보는 일거리가 있어요. 흐르는 마음에 별빛을 한 줄기 얹으면서 가다듬습니다. 오가는 눈빛에 이야기를 사르르 놓으면서 매만집니다. 오늘도 모레도 어제도 하나로 흐르면서 마주하는 발걸음입니다.


ㅅㄴㄹ


《인형의 집》(루머 고든 글, 조안나 자미에슨· 캐롤 바커 그림/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2008.4.10.첫/2020.12.7.16벌)

《빛을 가진 아이들》(이가을, 대원사, 1997.1.5.)

《라퐁텐 우화집》(라퐁텐/이가을 엮음, 대원사, 1990.6.5.첫/1999.5.25.7벌)

《열두 살의 전설》(고토 류지/박종진 옮김, 우리교육, 2003.11.30.첫/2015.7.20.6벌)

#後藤?二 #鈴木びんこ 

#後藤龍二 #12歲たちの傳說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아이랑 거닐며 (2024.2.5.)

― 서울 〈숨어있는 책〉



  큰아이랑 일산에 계신 아이들 할머니를 뵙고, 이모·이모부랑 동생을 만나고서 서울로 건너옵니다. 이모네에서 더 머물다가 움직일 수 있지만, 버스때에 빡빡하게 움직이면 으레 서울에서는 곳곳이 붐빕니다. 일찌감치 서울로 옮기는데 퍽 일찍 들어섰구나 싶고, 얼굴이라도 비추려고 〈숨어있는 책〉에 찾아갑니다. 큰아이가 갓난쟁이일 적에 업고서 찾아오기도 했고, 큰아이가 자라는 동안 틈틈이 찾아왔는데, 책집지기님은 벌써 열일곱 해나 지난 옛일을 떠올립니다.


  설날을 앞두고 하늘을 파랗게 씻으려는 늦겨울비가 포근하게 적시는 나날입니다. 서울에서도 시골에서도 철 따라 새롭게 찾아오는 바람과 해와 비를 마주합니다. 맑게 개면 ‘맑다’하고 ‘개다’라는 오랜 우리말을 돌아보고, 궂거나 비가 오면 ‘궂다’하고 ‘비’라는 오랜 우리말을 생각합니다. 파란하늘을 나타내는 ‘파랗다’에는 어떤 숨결이 깃들었을까요? 구름이 짙어 흐린 날씨를 알리는 ‘흐리다’에는 어떤 숨빛이 흐를까요?


  새해 첫머리에 《우리말꽃》을 써내었습니다. 이 책에 가볍게 다루기도 했는데 ‘개’라는 낱말은 ‘개다’하고 얽힙니다. ‘개나리·개오동나무’에 붙는 ‘개-’는 “작은 숲빛”을 품어요. 빨래를 개고, 반죽을 갠다는 몸짓에는 “정갈하게 빚는” 손길을 품습니다. 짐승을 가리키는 ‘개(가이·가히)’는 마땅히 이 두 가지를 아울러요.


  수수한 말씨에 수수께끼가 숨습니다. 수수께끼란 숲빛으로 반짝이는 살림결입니다. 어느 나라·겨레도 그냥 ‘말소리’만 나누지 않습니다. 말마디에 마음을 담아서 ‘숨소리’를 드러내요. 가장 쉽고 흔하다고 여길 낱말에 언제나 오늘 하루를 새롭게 가꾸는 밑거름인 말씨앗이 도사립니다. 모든 사람이 삶말로 마음씨를 일구고 살림말로 매무새를 돌볼 줄 안다면 온누리는 천천히 아름답게 피어납니다.


  이제 시골집으로 돌아갈 때입니다. 슬쩍 골마루를 돌며 살핀 책을 주섬주섬 모읍니다. “오늘 돌아가면 언제 또 서울 와?” “일이 있으면 올 테지만 일이 없으면 2025년에 뵐는지 몰라요.” 서울마실을 올해에 새로 하더라도 다시 노고산동 언저리를 지나갈 수 있는지는 모릅니다. 지난날 〈숨어있는 책〉을 사흘마다 들락거릴 적에도 ‘바로 오늘이 마지막 들르는 날’이라 여기며 책을 살펴 읽었습니다. 올해이든 다음해이든 ‘새걸음이 끝걸음일 수 있다’는 마음으로 한 자락을 쥐고 두 자락을 쓰다듬습니다. 다만, 아무리 드문드문 들르더라도 마음으로는 한결같이 곁에 있다고 여겨요. 아이하고 걷는 길도 혼자이든 함께이든 한꽃같이 누리는 삶입니다.


ㅅㄴㄹ


《러시아 혁명사 2》(편집부 엮음, 거름, 1990.3.22.)

- 열린글사랑. 541-4810 사회과학서적

《日本言論界와 朝鮮 1910-1945》(강동진, 지식산업사, 1987.9.25.)

《日帝言論界의 韓國觀》(강동진, 일지사, 1982.7.30.)

《말도로프의 노래》(로트레아몽/윤인선 옮김, 청하, 1987.2.25.첫/1988.6.30.4벌)

《모래 위에 쓰는 글》(남재희, 경미문화사, 1978.5.20.)

《茶山詩選》(정약용/송재소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1.12.20.)

《꼬까신》(최계락, 문학수첩, 1988.10.20.)

《사무원》(김기택, 창작과비평사, 1999.5.1.첫/2000.5.15.2벌)

《싱글》(김바다, 실천문학사, 2016.11.16.)

《걷기,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프레데리크 그로/이재형 옮김, 책세상, 2014.12.15.)

《養兎·山羊》(채동섭, 화학사, 1967.1.10.)

《두 번째 글쓰기》(최정, 오월의봄, 2021.10.18.)

《白頭山登陟記》(안재홍, 백두산자료특별전기념·삼성출판박물관, 1931.6.30.첫/1993.10.영인)

《日本史にみる 女の愛と生き方》(永井路子, 新潮社, 1983.3.25.첫/1983.6.15.3벌)

《日本女性の生活社》(?口淸之, 講談社. 1977.4.1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8.


《내 친구 11월의 구름》

 힐러리 루벤 글/남진희 옮김, 우리교육, 2000.11.30.



아침을 서울 신촌에서 맞는다. 아침 일찍 연 책집이 있나 어림하지만 없다. 용케 ‘알라딘헌책집 신촌집’이 열었기에 가볍게 둘러본다. 온나라 여러 알라딘헌책집을 다녀 보았는데, 여태 다닌 곳 가운데 책이 가장 허술하고 적다. 서울 신촌을 오가는 젊은이가 책을 덜 읽거나 안 읽는다는 뜻일까? ‘오늘 다녀간 손님이 판 책’이라는 칸에는 《작별하지 않는다》가 있는데, “2024년 11월 1일 펴냄”으로 찍혔다. 오늘은 10월 28일인데 웬 11월 1일? 누가 새책을 읽자마자 팔았다는 뜻일까? 아니면? 이제 고흥으로 돌아가자. 《내 친구 11월의 구름》을 되읽었다. 2000년 가을에는 이제 더는 책마을에 발을 안 디딜 마음이었기에, 그동안 사읽은 책을 1000∼2000자락씩 모아서 헌책집에 팔아 입에 풀을 바르다가 12월 31일에 《보리 국어사전》 엮음빛으로 뽑히면서 다시 책을 사읽기로 했다. 어느덧 스물다섯 해가 지났으니 《내 친구 11월의 구름》은 판이 끊길 만한지 모른다. 큰아이도 이 책이 판이 끊겼다는 말에 섭섭하게 여긴다. 사람들이 스스로 눈을 틔우면서 생각을 밝힐 책이 자꾸자꾸 사라지는구나 싶지만, 그러면 앞으로 새롭게 살림글을 쓰고 살림꾸러미를 여미면 될 테지. 뚜벅뚜벅 걸어가면 된다. 구름처럼 비처럼 바람처럼 별처럼.


#TheCalfofthenovember (1997년)

#HilaryRube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7.


《자라지 않는 아이》

 펄벅 글/김정휘 옮김, 샘터, 1990.2.25.



부산책집 〈책과 아이들〉에서 10:00∼12:00 사이에 꾹꾹 눌러서 ‘바보눈 + 나살림 : 바라보고 보살피는 눈 + 나를 살리는 씨앗’ 모임 여섯걸음을 눈썹 휘날리듯 말을 빨리 풀어내어 자리를 마친다. 부산나루에서 서울 가는 칙폭이를 타려고 신나게 달려간다. 13:04 칙폭이를 탔고, 문화비축기지에 17시가 안 되어 닿는다. 17:16∼18:16 사이에 ‘노래쓰기(시창작)’를 어떻게 하면 즐거울는지 들려주고서 함께 쓰고 읽는다. 19:30 즈음에 비로소 첫끼를 먹고서 21:30에 길손집으로 들어오니 다리힘이 풀린다. 오늘은 여섯 시간을 서서 움직였다. 자리에 드러누워 하루를 돌아본다. 아침에 부산이웃님하고 《자라지 않는 아이》를 새삼스레 읽고 얘기했다. 어느덧 판이 끊겼는데, 이 작은 꾸러미로 돌아볼 대목이 꽤 많다. 펄벅 님은 노벨문학상을 받기도 했지만, 중국에서 아이를 낳아 돌본 삶과 우리나라에 세운 어린돌봄터도 눈여겨볼 일이라고 느낀다. 이제는 예전하고 다르겠으나, ‘중국 시골’에서는 ‘절름발이·장님·벙어리’는 그저 그 사람을 수수하게 가리키는 이름일 뿐, 누구나 어울려서 살아갔는데, ‘미국 도시’로 가 보니 ‘수수하게 가리키던 이름’을 따돌림말(차별어)로 여기며 삼가지만 정작 어디에서도 ‘장애인’을 볼 수 없었다고 밝힌다.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예전에는 따돌림말이 없었으나, 이제는 따돌림말이 끔찍하게 넘칠 뿐 아니라, 마을에도 삶터에도 뭇사람이 어울리지 않고 다들 끼리끼리 뭉치면서 담벼락이 드높다. 우리는 “자라지 않는 철바보”가 됐다.


#Pearl S. Buck #The Child Who Never Grew (1950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