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11.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카이》

 이와고 미츠아키 사진·이와고 히데코 글/구혜영 옮김, 동쪽나라, 2003.9.10.



모처럼 비가 주룩주룩 온다. 이내 멎고서 다시 내린다. 마을을 뿌옇게 감돌던 풀죽음물이 걷힌다. 덧없는 풀죽임물을 안 뿌리고도 들이 누렇게 익었는데, 왜 자꾸 풀죽음물을 뿌려대느냐고 가볍게 나무라는 하늘이다. 하늘빛을 읽지 않는다면, 이 고을은 죽어갈 수밖에 없고, 고을지기(군수)뿐 아니라 고을사람이 나란히 죽음수렁에 잠기리라 느낀다. 서울도 같다. 하늘읽기와 흙읽기와 숲읽기를 안 하면서 쳇바퀴처럼 날씨알림만 들여다보거나 기댈 적에는 우리 스스로 눈빛을 잃는다.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카이》를 돌아본다. 이만 한 책이 한글판으로 나온 일도 대단하고, 이 책을 알아보는 이웃이 적어서 쉽게 판이 끊긴 모습도 놀랍다. “눈에 띄는 책”에 꽂히는 사람이 늘 적에는 책빛이 스러진다. “눈을 띄우는 책”에 다가서는 사람이 늘어야 책빛이 살아난다. 이제는 “눈에 띄는 책”을 덮고 치울 때이다. “눈을 띄우는 책”한테 다가서면서 마음을 스스로 가꾸고 살림을 스스로 짓고 숲빛을 스스로 일굴 줄 알아야 한다. 남이 해주지 않는다. 내가 할 일이다. 고양이를 찍으려면 우리 스스로 고양이 매무새와 눈망울에 삶길로 바꾸면 된다. 쓰기도 그리기도 찍기도 살림하기도 쉽다. 고스란히 품고 받아들이면 다 이룬다.


#岩合光昭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10.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

 송경동 글, 창비, 2022.4.22.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오늘 큰아이는 고뿔로 눕고, 작은아이는 곁님을 도와서 집안일을 맡는다. 천천히 걷고 책을 읽고 노래를 쓰면서 곰곰이 돌아본다. 우리 하루란 무엇이고, 우리는 누구하고 어디에서 어떤 꿈을 그리는가. 밤에는 1994년부터 2024년 사이에 쓴 ‘책글(책을 다룬 글)’을 새삼스레 추스르면서 꾸러미를 새로 여미어 본다. 밤을 하얗게 샌다.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를 돌아본다. 박근혜를 나무라는 글이 수두룩하다. 그네는 손가락질을 받을 만했다. 그런데 그네뿐일까? 그네랑 맞은켠에 선 이들은 또다른 우두머리에 돈꾼에 이름꾼에 힘꾼이지 않은가? ‘일하는 글(노동문학)’을 쓰는 이들치고 시골에 깃들면서 시골지기 살림살이를 들여다보는 이가 드물거나 없다. 무엇보다도 ‘집에서 일하는 이웃’을 보듬으면서 ‘아이를 돌보는 살림’을 눈여겨보는 글마저 드물다. 그네붙이는 꿈흉내를 내었다면, 그대들은 글흉내이지 않은가? 이제 송경동 씨쯤 되는 글바치라면, 살림글을 쓰고 꿈글을 쓰고 숲글을 쓰고 시골글을 쓸 노릇 아닌가? 아이 곁에 서는 어른으로서 이슬받이로 수수하게 짙푸른 글을 쓸 때이지 않은가? 언제까지 서울 한복판에 또아리를 틀고서 글밭 안쪽에서 따뜻하게 지낼 셈인지 아리송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큰걸음도 작은걸음도 아닌 (2023.9.15.)

― 인천 〈아벨서점〉



  한꺼번에 다 푸는 일이 있을 테지만, 삶이란 하나씩 풀어가며 조금씩 배우면서 천천히 눈을 뜨기에 즐겁습니다. 겨울이 끝나는 첫봄에 모든 꽃이 한꺼번에 핀다면, 한봄하고 늦봄에는 아무 꽃이 없고, 첫여름이며 한여름이며 늦여름에도 아무 꽃이 없으며, 첫가을하고 한가을하고 늦가을에도 아무 꽃이 없을 테지요.


  그러나 꽃은 철 따라 새롭습니다. 첫봄꽃하고 한봄꽃이 다르고, 첫가을꽃하고 늦가을꽃이 달라요. 겨울을 앞둔 철에 피는 멧노랑(산국)이나 억새는 느림보가 아닙니다. 제철에 빛나는 아름꽃이에요. 어느 모로 보면 그냥 ‘느림꽃’이라 할 만합니다. 한자말로 가리키는 ‘대기만성·지적장애·발달장애’는 우리말로 ‘느림별’로 담아낼 만합니다.


  여태 걸어온 길을 으레 돌아보는데, 하나부터 쉰까지 느림보입니다. 열네 살에도 열일곱 살에도 배움터를 그만두지 못하다가, 스물과 스물한 살에도 미루다가, 싸움터(군대)를 다녀오고서야 스물셋 막바지에 드디어 배움터를 그만두었는데, 여덟 살 때부터 배움터를 그만두고 싶었습니다. 배움터만 가면 늘 꾸중을 들으며 얻어맞았거든요. 신나게 놀며 즐겁게 수다를 떨고 싶지만, 놀면 논다고 때리고 말을 더듬으면 더듬는다고 괴롭히는 그곳은 ‘학교’가 아닌 ‘감옥’이었다고 느껴요.


  인천 〈아벨서점〉에서 저녁나절에 ‘말꽃수다’를 폅니다. 굳이 어렵게 ‘어원강의’라 읊고 싶지 않습니다. 저뿐 아니라 누구나 느릿느릿 느슨하게 찾아내고 알아낼 수 있는 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굳이 열 살이나 스무 살에 깨달아야 하지 않습니다. 서른 살이나 마흔 살에 못 깨달아도 됩니다. 쉰 살이나 예순 살에도 아직 어리석을 수 있습니다. 일흔 살이나 여든 살이어도 철없을 수 있어요.


  안 서두르면 스스로 빛나요. 모든 꽃이 2∼3월에 피어나야 하지 않듯, 어느 꽃은 11월뿐 아니라 12월이나 1월에도 피듯, 우리는 아흔 살에 비로소 삶을 알아보고서 깨달아도 아름답습니다. 아흔아홉 살까지 철딱서니없이 굴다가 온살(100살)에 이르러 깨달아도 사랑스럽습니다.


  풀며 또 풀며 자꾸 풀면서 한 발씩 나아가는 오늘이지 싶어요. 큰걸음도 작은걸음도 아닌, 가만히 마을걸음을 디디면서, 부산도 전라도도 서울도, 저마다 소근소근 이야기꽃을 피우는 ‘살림자취’를 ‘역사’로 알아보고 바라보는 눈을 뜰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새치기하지 맙시다. 기다립시다. 사이에 끼지 맙시다. 언제나 스스로 빛납시다. 인천에서 서울로 올라가지 않고, 서울에서 인천으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ㅅㄴㄹ


《희망은 있다》(페트라 켈리/이수영 옮김, 달팽이, 2004.11.15.)

《밥의 위기 생명의 위기》(이병철, 종로서적, 1994.1.30.)

《야생 거위와 보낸 일 년》(콘라트 로렌츠/유영미 옮김, 한문화, 2004.1.6.)

《77人 에세이 山》(송지영 외, 평화출판사, 1977.12.15.)

《울고 들어온 너에게》(김용택, 창비, 2016.9.9.)

《물은 목마름 쪽으로 흐른다》(허만하, 솔, 2002.12.10.)

《이야기 서양 고사성어》(남경태, 새길, 1994.5.26.)

《포도밭 편지》(류기봉, 예담, 2006.8.28.)

《동물들의 사회생활》(리 듀거킨/장석봉 옮김, 지호, 2002.6.25.)

《잡초는 없다》(윤구병, 보리, 1998.5.15.)

《울지 않는 늑대》(팔리 모왓/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3.7.14.)

《까마귀》(보리아 색스/이한중 옮김, 가람기획, 2005.10.10.)

《인천 외래식물도감》(송홍선, 풀꽃나무, 2008.11.20.)

《위대한 늑대들》(어니스트 톰슨 시튼/장석봉 옮김, 지호, 2004.2.27.)

《어머니! 좋은 물을 마시고 계십니까》(마쯔시따·나까무라/조태동 옮김, 수문출판사, 2003.8.5.)

《百犬譜》(편집부 엮음, 天津 人民文化出版社, 1994.4.)

《알래스카 이야기》(호시노 미치오/햇살과나무꾼 옮김, 논장, 2013.2.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밤늦게 (2023.9.15.)

― 인천 〈나비날다〉



  어떤 일이건 우리가 배워야 하기에 찾아든다고 여깁니다. 어린날 겪은 숱한 일도, 어른이란 자리에 서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가꾸는 오늘도, 늘 새롭게 배울 일이 있어서 마주한다고 느껴요. 때로는 가시밭이고, 때로는 자갈밭입니다. 아직 꽃밭이나 숲밭 같은 자리는 드문데, 팍팍하거나 가파르게 지나가는 길이란, 이 밑바닥에서 숱한 이웃을 마주하면서 낱말책에 말글을 어떻게 싣고 엮고 추슬러야 하는지 다시 배워야 한다는 뜻이지 싶어요.


  그런데 밑바닥이 따로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름으로는 ‘가난’이나 ‘가멸’로 가르기는 하지만, 다 한끗일 뿐이거든요. 마음은 좁고 초라하면서 돈만 많은 사람을 ‘가멸’로 못 느끼겠어요. 돈은 없고 옷이 추레하다지만 마음이 넉넉하며 밝게 웃고 맑게 말하는 사람을 ‘가난’으로 못 느끼겠습니다.


  어제도 오늘도 쉴새없이 보내고서 드디어 밤을 맞이합니다. 여름이 끝난 밤에 인천 배다리를 문득 휘 거닐다가 〈나비날다〉에 들어서서 짐꾸러미를 내려놓습니다. 온몸은 땀으로 젖었고, 앞가방도 등가방도 땀범벅입니다. 시골집으로 돌아가면 가방도 죄다 빨아야겠습니다.


  작은책집을 꾸리는 분도, 작은가게를 일구는 분도, 작은집에서 조촐히 살림을 돌보는 분도, 새벽부터 밤까지 쉬잖고 일을 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일을 합니다.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른 자리에서 다 다르게 일하고, 일삯도 다 달라요.


  밑일삯(최저임금)이란 뭘까요? 책 한 자락은 돈을 얼마쯤 치르고서 사읽어야 스스로 배움밭 노릇을 할까요? 책을 써내거나 펴내는 일꾼은 돈을 얼마쯤 벌 때에 가슴을 펴면서 기지개도 켤 만할까요?


  저는 ‘뜻’은 굳이 안 읽으려고 하지만, 재미없거나 따분하거나 시시하구나 싶은 일이나 책이나 말이라면 애써 ‘뜻’을 찾아내려고 합니다. 오늘날 숱한 책과 글과 일은 ‘뜻’을 앞세우더군요. ‘살림’이나 ‘사랑’이 없는 채 다들 ‘뜻’만 거룩하다고 여기면서 높이 외치는구나 싶어요.


  우리가 하는 일이 사랑이라면 그저 사랑인데 왜 ‘뜻’을 소리높여 알려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우리가 하는 살림이 숲빛이라면 그저 푸른데 구태여 ‘뜻’을 드높이거나 퍼뜨려야 하는지 알쏭합니다. 저마다 오늘 하루 배우고 누리고 나누며 일군 보람을 나누면 넉넉하구나 싶어요.


  그나저나 하루키 씨 새책은 19500원이고, 글씨가 크고 줄틈이 듬성듬성입니다. 쓰게 웃습니다. 마른수세미 하나는 6500원이로군요.


ㅅㄴㄹ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무라카미 하루키/홍은주 옮김, 문학동네, 2023.9.6.)

#街とその不確かな壁 #村上春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나와바리なわばり



나와바리 : x

なわばり(繩張り) : 1. 줄을 쳐서 경계를 정함 2. (폭력단 등의) 세력 범위, 세력권 3. 건축 부지에 줄을 쳐서 건물의 위치를 정함 4. 텃세권; 세력권; 동물의 개체·집단 등이 생활 터전을 지키기 위해 다른 개체나 집단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구역


 이 전체가 자기 나와바리라면서 → 이곳이 다 저희 마당이라면서

 나와바리를 침범했다고 간주했는지 → 자리를 넘봤다고 여겼는지



  일본말로는 ‘나와바리’라 하고, 중국스런 한자말로는 ‘구역(區域)’이라 한다면, 우리말로는 다릅니다. ‘가르다·가지·각단·갈래·갈라놓다·쪼개다·쪽’이나 ‘마당·마을·바닥·밭·판·품·품다’라 하지요. ‘고이다·끼치다·미치다·번지다·퍼지다’나 ‘골·곳·께·녘·데·터·터전·텃밭’이라고도 합니다. 어느 때에는 ‘기슭·기스락·깃·깃새·길’이나 ‘담·담벼락·담다·우리·울·울타리’라 할 만하고, ‘도막·동·뜸·토막·통·통속’으로 나타낼 만합니다. ‘사이·새·실·앞뒤·칸·켠·틈’이라 할 수 있어요. ‘아우르다·안·안다·안쪽·어우르다·크고작다’나 ‘자리·자위·즈음·집·쯤·짬·참·춤’이라 하기도 합니다. ㅅㄴㄹ



공원 내에도 주거지역마다 나와바리가 있어서

→ 쉼터에도 삶자리마다 갈라놓아서

→ 들마당에도 삶터마다 품이 있어서

《도쿄 우에노 스테이션》(유미리/강방화 옮김, 소미미디어, 2021) 1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