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0.13.

숨은책 985


《三中堂文庫 4 그리이스 로마 神話》

 T.불핀치 글

 장왕록 옮김

 삼중당

 1975.2.1.첫/1981.9.10.중판



  종이가 드물어 값지게 여기던 무렵에는 나라에서 ‘헌종이 모으기(폐품 수집)’를 벌였습니다. 종이 한 쪽을 알뜰히 쓰던 지난날에는 나라에 헌종이를 바치느라 빠듯할 뿐 아니라, 집안 곳곳에 헌종이를 살뜰히 건사하거나 대거나 붙였습니다. 어릴 적에 주전부리를 사는 길에 어머니는 으레 “사려면 종이곽이 있는 쪽으로 사.” 하고 말씀합니다. 이곳에서 나오는 종이도, 저곳에서 받치는 종이도, 뭘 알린다면서 가게에서 뿌리는 종이도, 하나하나 모아서 요모조모 되썼어요. 《三中堂文庫 4 그리이스 로마 神話》는 1975년에 처음 나온 판이고, 1981년에 부산 어느 곳에서 살던 분이 장만해서 읽은 책입니다. 이 책을 읽던 분은 겉싸개를 대려 했는데 종이가 모자란 듯싶어요. 200원짜리 달콤이를 사먹은 뒤에 나온 겉종이로 단단히 책싸개로 삼았습니다. 요사이야 달콤이 겉종이쯤은 쉽게 버릴 만하지만, 1981∼82년만 하더라도 글월종이(편지지)로 삼을 만큼 정갈하고 반짝였어요. 그나저나 “TO YOU 님에게 초컬릿 200원 82.2.10.”이라는 글씨가 겉으로 드러나도록 책싸개를 대었어요. 뒤집어서 하얗게만 보이도록 대지 않았기에, 작은책 한 자락은 오래오래 흘러도 지난날 이야기를 포근히 들려줄 수 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0.13.

숨은책 971


《교주 증보조선소설사》

 김태준 글

 박희병 풀이

 한길사

 1990.6.30.



  1933년에 처음 나왔다는 책을 새로 여민 《교주 증보조선소설사》입니다. 얼핏 보면 ‘우리나라 책’인데, 곰곰이 보면 ‘교주’도 ‘증보’도 ‘소설사’도 우리말이지 않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우리한테 우리말이 있어도 나라이름을 굳이 한자 ‘조선’으로 지었습니다. 긴긴 발자취를 더듬으면, 나라를 이끈다는 이들은 ‘우리말’이 아닌 ‘중국말’로 나라이름을 삼았고, 나라일을 보았고, 글도 중국글로 남겼습니다. 훈민정음이 태어났어도 정작 우리 스스로 쓰고 읽는 길을 안 열었을 뿐 아니라, 단단히 틀어막았다는 뜻이며, ‘아무나 글을 쓰거나 읽지 말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2024년에 한강 씨가 노벨문학상을 받습니다. 다만 ‘한글로 쓴 책’이 아닌, ‘영어로 옮긴 책’으로 받습니다. 이 대목을 차분히 짚을 수 있기를 빕니다. 우리는 ‘일본문학을 우리글로 제대로 옮길’ 수 있을까요? 우리는 ‘영국·미국문학을 우리글로 똑바로 옮길’ 수 있을까요? 《반지의 제왕》이며 《해리 포터》는 ‘엉성하고 틀린 옮김말’ 탓에 오래도록 도마에 오르지만, 여태 바로잡지 못 합니다. 이제 이 나라 글꽃(문학)은 우리말을 우리글로 알맞게 담으면서 이 땅을 사랑으로 다독이며 가꾸는 길을 여는 실마리 노릇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0.13.

숨은책 977


《‘진보의 새시대’는 오는가》

 편집부 엮음

 새벽별

 1993.2.13.



  ‘진보’는 ‘보수’하고 다르다고 말하는 분이 꽤 있으나, 무엇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는 무늬나 옷차림이라도 달랐다면, 요새는 무늬나 옷차림마저 똑같을 뿐 아니라, 굴리는 쇳덩이(자가용)나 지내는 잿집(아파트)마저 똑같아 보입니다. 시골에서도 잿집에서 살아야 할까요? 서울이며 크고작은 고장을 잿집으로 싹 갈아엎어야 할까요? 모든 사람이 쇳덩이를 굴려야 할까요? 《‘진보의 새시대’는 오는가》는 ‘진보운동·진보정치’가 왜 자꾸 쓴맛만 보는지 낱낱이 짚고 돌아보려는 줄거리 같습니다만, 어느 만큼 잘잘못을 짚더라도 ‘그들끼리 오가는 말’에서 그치는구나 싶습니다. 이 책을 누가 읽을까요? 이 책을 ‘대중’이 읽을까요? 또는 이 책을 ‘대중’이 읽을 만하도록 글결을 가다듬거나 쉽게 풀어냈을까요? 우리나라 왼오른·진보보수·페미니즘 모두 똑같이 ‘가부장권력’에 찌든 말글이라는 굴레에 갇혔습니다. 윗사내질(가부장권력)을 일삼는 바보를 나무랄 적에 ‘수수한 살림말(대중언어·민중언어)’을 안 쓴다면, 늘 쳇바퀴로 맴돌다가 그친다고 느껴요. 새날을 바란다면 새말을 짓고 새길을 열고 새넋으로 일어서서 새사람으로 설 노릇입니다.


ㅅㄴㄹ


백본(백기완 후보 선거운동본부)을 구성했던 진보정당 결성파들은 현실성 없는 관념적 주장이나 논의들을 지양해야 한다. 이들은 대중조직의 토대, 대중투쟁, 대중성의 견지 등을 강조하고 있으나 그들의 정치활동이 대중조직들과 얼마나 유기적인 교류관계 및 긴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사상, 노선, 원리, 원칙들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그것들이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기준이라는 사실을 망각한 채 자기정파의 입장만을 내세우려 한다면 그것들은 아무런 생산성 없는 앙상한 교조의 고목나무에 불과한 것이 되고 만다. 계절이야 다시 오겠지만 누가 그 나무에 푸른 열매를 기대하고 기쁨을 주려 하겠는가. (52∼5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형석, 백 년의 지혜 - 105세 철학자가 전하는 세기의 인생론
김형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0.13.

숨은책 982


《한권의책 22 영원한 것을 찾아서》

 김형석 글

 학원사

 1986.8.1.



  서슬퍼런 박정희가 사람을 떡처럼 주무르고, 이에 못잖게 차갑던 전두환이 사람을 마구 패던 무렵, 멀쩡하게 철학교수를 하던 분이 쓰는 글은 여러 자리를 덮었습니다. 머리카락이 ‘교칙보다 0.1mm 길다’고 하더라도 죽죽 밀던 1988년(중학생)과 1991년(고등학생) 무렵, 김형석 글을 문득 읽어야 하면 “이이 글은 오늘(1988년이나 1991년)이 아니라 어제(1960년·1970년)나 모레(2000년·2020년)에도 똑같이 우려내겠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2024년과 2023년과 2022년에 나온 책을 새책집에서 읽어 보아도 매한가지입니다. 헌책집을 다니면서 예전 글을 찾아서 펼쳐도 비슷비슷합니다. 앎빛이나 삶빛을 밝히는 글이기보다는 윗자리에 앉아서 아랫사람을 타이르는 얼거리에서 그쳐요. 이러다가 1986년치 손바닥책 《영원한 것을 찾아서》를 읽다가 김장값도 배추값도 고춧가루값도 모르는 민낯을 들여다봅니다. 집안일을 아예 안 한 삶을 아무렇지도 않게 풀어놓았더군요. 집안일에 손도 못 대고 마음조차 없으니, 이녁 어머니하고 나눌 말이 없을 만하지요. 벌써 온살(100살)이 넘었어도 ‘교수’라는 허울을 못 버린다면, 아직 ‘사람’과 ‘살림꾼’이라는 길을 찾지 않는다면, 이름값(명예)에 얽매여 옛날수다만 하겠지요.


ㅅㄴㄹ


“금년에는 김장 값이 비쌀 거라고 그럽니다. 신문을 보니까…….”라고 말을 꺼내 보았다. 그러나 나는 집에서 김장을 얼마나 하는지,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전연 알지 못한다. 그저 이런 얘기라도 해서 어머니의 마음을 위로해 드리고 대화를 가져 보자는 심정일 뿐이다 “무우, 배추 값이야 비싼들 얼마나 하겠니. 양념 때문에 그렇지…….”라고 말씀하시는 어머니는 생강, 고춧가루 등등의 양념을 설명해 주신다. 나는 양념이 무엇이 드는지는 모르지만 그 값이 얼만지 전혀 짐작도 안 간다. (47쪽)


어머니는 벌써 나의 고독의 벗이 아니다. 장사를 하고 있는 동생과는 많은 대화를 가지고 계셔도 철학 교수인 나와는 마음의 대화가 점점 더 없어져 가고 있다 … 나는 아름다운 예술품을 대할 때마다 마음의 외로움을 느낀다. (48쪽)


+


《김형석, 백 년의 지혜》(김형석, 21세기북스, 2024.5.8.)


금년에는 김장 값이 비쌀 거라고 그럽니다

→ 올해에는 김장값이 비싸다고 그럽니다

47쪽


장사를 하고 있는 동생과는 많은 대화를 가지고 계셔도

→ 장사를 하는 동생과는 얘기를 많이 하셔도

→ 장사하는 동생과는 두런두런 얘기하셔도

48쪽


마음의 대화가 점점 더 없어져 가고 있다

→ 마음이야기가 줄어든다

→ 마음을 더 나누지 못 한다

→ 마음을 주고받지 못 한다

48쪽


모든 물음에 대하여 남김없이 해답을 준다는 것은 불가능 때문이다

→ 물어볼 때마다 남김없이 풀어내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 몯는 말을 남김없이 풀이할 수는 없는 탓이다

75쪽


어떤 사료에서 나폴레옹이 52세에 죽었다는 것을 알면 되고

→ 어떤 밑글로 나폴레옹이 쉰두 살에 죽은 줄 알면 되고

→ 어떤 글을 읽어서 나폴레옹이 쉰둘에 죽은 줄 알면 되고

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0.10. 롱롱롱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든 말은 재미있고, 모든 말을 이루는 모든 삶은 즐겁습니다. 울 적에는 눈물이 즐겁고, 웃을 적에는 웃음이 즐겁습니다. 하룻밤을 부천에서 보내는 가을에 대롱대롱하다가 떨어지는 가랑잎을 보고, 먹이가 만만하지 않을 텐데도 노래하는 새를 봅니다. 어질게 이끄는 어른 곁에서 초롱초롱 눈빛으로 하루를 누리는 어린이를 만납니다. 먼마실로 이야기밭을 가꾸는 일을 마치고서 고흥으로 돌아오는 몸은 해롱해롱입니다. 가을이 깊으면서 배롱꽃은 모두 떨어지고 나뭇가지가 앙상하게 바뀝니다.


  우리말에 ‘롱’으로 여는 낱말은 없지만, 대롱·초롱·해롱·배롱처럼, 끝을 맺는 ‘-롱’은 여러 낱말입니다. 한글날이 지나가고, 글바치 한강 씨는 노벨상(또는 다이너마이트 문학상)을 받습니다. 문득 생각합니다. 숱한 글바치는 예전에 ‘고은·이문열·황석영’이 우리나라 노벨상감이라고 추켜세웠는데, 저는 예전부터 그들이 아닌 ‘신동엽·고정희·최명희·이원수·임길택·권정생·김남주·유미리·김석범’ 같은 이들이 노벨상하고 어울릴 텐데 하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문학상보다는 그저 글을 글로 마주하고 책을 책으로 품을 수 있는 길을 그립니다. 여태까지 신동엽이나 고정희를 영어나 프랑스말이나 독일말이나 스웨덴말로 얼마나 옮겼을까요? 최명희나 이원수를 이웃말로 얼마나 옮겼을까요?


  우리나라에 배구선수 김연경 씨와 배드민턴선수 안세영 씨가 있습니다. 김연경 씨하고 안세영 씨는 배구밭과 배드민턴밭 고인물과 고름이 무엇인지 밝히면서 터뜨리려고 나섰습니다. 비록 노벨상을 받기는 하되, 한강 씨는 우리나라 글밭(문학계) 고인물과 고름을 밝히면서 터뜨리려고 몇 마디를 들려준 적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니, 들은 바 없고, 본 바 없습니다.


  노래하던 고정희 님이 노벨상을 받았다면, 어떤 목소리를 틔웠을까요? 붓에 온넋을 바치다가 이슬로 떠난 최명희 님이 노벨상을 받았으면, 어떤 목소리를 나즈막이 속삭였을까요? 낫 놓고 풀벨 줄 모르는 글바치를 나무라던 김남주 님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으면, 어떤 말씨앗을 새록새록 심었을까요? 대롱대롱, 초롱초롱, 해롱해롱, 배롱배롱, 가을이 깊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