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89 식사 2023.7.10.



작은새는 작은벌레 잡고

작은벌레는 작은잎 갉고

작은잎은 너른해 머금고

너른해는 우리 마음 받고


벌나비는 꽃꿀가루 찾고

꽃은 해바람비 맞이하고

해바람비는 푸른별 돌고

푸른별은 서로 섞여 살고


밥알 한 톨에

해님 바람님 비님에

흙님 나무님 풀님에

우리 손길 깃들어


함께 누리면서 나눈다

같이 마시면서 베푼다

즐겁게 차려서 부른다

반갑게 모여서 먹는다


ㅅㄴㄹ


낱말책은 ‘식사(食事)’를 “끼니로 음식을 먹음”으로, ‘음식(飮食)’은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물건”으로 풀이합니다. 더 살피면, 우리말 ‘밥’을 ‘음식’으로 풀이해요. ‘밥 = 먹는 숨결’이기에 “음식을 먹음”이란 풀이라든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 같은 풀이는 뒤죽박죽입니다. 가만히 보면, 쌀밥을 이루는 낟알도 숨붙이입니다. 능금이나 복숭아나 수박이나 배 같은 열매도 숨붙이예요. 고기로 삼는 살점도 숨붙이예요. 우리는 돌이나 쇠를 먹지 않아요. 싱그럽게 빛나는 여러 숨결을 고마우면서 반가이 맞아들입니다. ‘먹다’란 ‘머금다’요, ‘맞다’이면서, ‘받다’입니다. ‘들여’서 몸에 새롭게 기운으로 빛나도록 ‘품’는 숨결인 ‘밥(먹을거리·먹는 숨결)’입니다. 우리가 먹으면서 몸으로 받아들이는 여러 숨결을 보면, 해랑 바람이랑 비를 두루 먼저 받아들였어요. 들이며 풀이며 숲이며 바다에서 스스로 빛나며 살아온 숨결을 새삼스레 ‘밥’으로 삼는 흐름이자 얼거리입니다. 밥알 한 톨부터 고이 여길 줄 아는 마음하고 몸짓이기에 스스로 몸을 사랑으로 돌보는 길이라 할 만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미리내 2023.6.19.미리내.



낮에 해를 쬐는 사람은, 햇볕·햇빛·햇살에 햇내음·햇소리·햇기운으로 넉넉한 줄 느끼고 알아. 이 해를 고루 듬뿍 받아들이기에 늘 튼튼하면서 싱그러운 줄 느끼고 알기도 해. 낮이어도 해를 안 쬐는 사람은, ‘해랑 얽힌 말 이름’도 모르고, ‘하늘·하나·하얗다’나 ‘맑다·밝다’가 ‘해’랑 맞닿으면서 쓰는 줄 어림조차 못 해. 그러면 보렴. 밤에 별을 안 보는 사람은 ‘밤빛’도 ‘별빛’도 모를 테지. 별을 안 바라보기에 ‘별’하고 얽힌 ‘벼르다·베다·벼락·번쩍·반짝’을 모를 테고, 밤하고 만나는 ‘밝다·바다·바람·바탕’을 모를 뿐 아니라, 낮에 보는 ‘해’랑 이어가는 ‘하다·해보다’를 생각은커녕 느끼지조차 않아. 별을 안 보고 안 느끼니 미리내(은하수)가 늘 드리우는 줄 아예 모르고, 먼나라 얘기로 여기고 말아. 그런데 너희 몸이 바로 “별 하나”이면서 “가득한 별”인 미리내란다. 너희는 스스로 ‘사람’이자 ‘알(씨앗)’이고 ‘별’이자 ‘미리내’요 ‘누리(우주)’란다. 어느 하나면서 모든 빛이야. 너희가 저마다 스스로 빛이니, ‘눈빛’이 밝거나 어두워. 너희가 누구나 스스로 빛이니, ‘살림빛’을 일구거나 죽음수렁을 뒤집어써. 너희는 서로 비추는 거울이고, 서로 마음이 비치는 사이야. 너희 숨빛이 너희를 살리면서 이웃을 살리고, 이웃 숨빛이 너희를 살찌우면서 마을과 이 별을 함께 살찌우는 얼거리야. 하늘을 볼 줄 알기에 ‘하나이면서 함께인 숨빛’을 나누는 낮해로 만나고 밤별로 마주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황무지 2023.6.21.물.



“거칠고 말라서 씨앗이 싹트지 않아 숨결이 자라거나 살아갈 수 없는 땅”을 한자말로 ‘황무지’라 한다지. 곰곰이 보면 빙 둘러서 가리키는 셈이야. ‘빈터’나 ‘죽음터’나 ‘잿터’라 하면 바로 느끼고 알 만하지 않겠어? 왜 있는 그대로 가리키거나 듣거나 마주하려 하지 않니? 꺼풀을 씌울수록 참하고 멀어. 겉을 치워야 속으로 차오르지. 꺼풀·겉·허울에 마음을 쏟으니, 속으로 스며서 자라는 기운이란 없이, 겉모습만 자꾸 매만지느라, 오히려 겉이 낡아가지. 겉으로 반드레하더라도 씨앗이 싹틀 수 없어. 씨앗은 흙을 품고서 깊이 스미고 싶거든. 뿌리를 죽죽 내리면서 줄기를 올리니, 속이 메마른 죽음터(황무지)는 푸른길하고 멀어. 씨앗이 어느 곳에서 깨어나는지 살펴보렴. 네가 살아갈 곳은 나무씨앗이 싹터서 자라는 곁에서 스스로 꿈씨앗을 틔울 만한 빛살이 있어야겠지. 또는 네가 일부러 죽음터(황무지)에 집을 짓고서 ‘살림터’를 바꿀 수 있어. ‘이미 잘 갖춘 숲’도 살아갈 만하고, ‘아무것도 없구나 싶은 죽음터’여도 네 숨빛으로 몽땅 바꿔낼 만하단다. “잘 갖춤 = 좋음”이요 “아무것도 없음 = 나쁨”으로 여겨 버릇하는 나라(사회·학교)야. 너는 ‘겉’이 아닌 ‘속’을, ‘오늘 겉모습’이 아닌 ‘앞으로 깨어날 씨앗으로 푸르게 이룰 숲’을 그리기를 바라. 네가 손들고 떠나기에 죽음터로 달려간단다. 네가 웃고 춤추며 지내기에 살림터로 피어나. 네가 가꾸고, 네가 바꾸고, 네가 일구어서, 네가 품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성별 2023.6.28.물.



개미는 개미대로 받아들여서 바꾸고 배워. 나비는 나비대로 받아들여서 바꾸고 배워. 여우는 여우대로 받아들여서 바꾸고 배워. 사람은 사람대로 받아들여서 바꾸고 배워. ‘똑같은 개미’나 ‘똑같은 여우’나 ‘똑같은 사람’은 없으니, 다 다른 숨결을 밝혀서 하나하나 받아들이고 바꾸고 배우지. 그런데 무리짓기를 꾀하는 놈(우두머리)이 있을 적에는 ‘다 다른 몸’이 얼핏 ‘배우는 시늉’을 하도록 길들이지. 개미가 무리짓기를 안 한다면, 개미는 다 혼자(또는 두엇이나 몇몇) 집을 지어서 살아. ‘배우는 시늉’으로 ‘똑같이 움직이게끔 길들이는 놈’이 있기에, 그만 다 다른 개미가 ‘그저 똑같은 개미’로 갇힌단다. 그런데 누가 ‘똑같은 개미·여우·사람’이 되니? 길들이기에 길들 뿐이니? 길들이려는 틀을 거스르면서 스스로 바꾸고 배우는 쪽도 너이고, 길들이려는 틀을 마냥 받아먹고서 ‘생각을 잊는’ 쪽도 너야. ‘생각’이란, 마음에 심는 ‘움직씨(움직이도록 가꾸는 씨앗)’라고 여길 만해. 네가 길들지 않는다면, 네 길을 스스로 생각하고 지어서 열지. 네가 길들기에 네 ‘생각(빛씨앗)’을 그놈(우두머리·권력자)한테 고스란히 내줘. 모든 목숨붙이는 ‘몸’을 입으면서 ‘암·수’라는 길을 골라. ‘생각을 심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몸’이라는 ‘암·수’라는 길 가운데 스스로 갈 길을 고르지. 그러나 ‘생각을 내준 채 몸뚱이만 남는다’면, ‘길들이려는 놈이 시키는 대로’ 두 길(암·수)을 ‘갈라’서 얽맨단다. 넌, 고르겠니? 가르겠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이 글은 “우리말 살리는 겨레모임”에서 내는 《우리말 우리얼》에 실으려고 썼지만, 누리집에도 걸쳐놓는다.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지 생각을 하고, 마음부터 가만히 쓰는 이웃님이, 오직 오롯이 사랑이라는 눈빛으로 말을 살피는 이웃님을 기다리면서 글을 여미어서 띄운다.

.

.

숲노래 살림말

우리말밑(우리말 어원)


벙어리


말소리를 내지 않거나 못 하는 사람을 두고 ‘벙어리’라 한다. ‘버우 + 어리’인 얼개인데, ‘버우’란 ‘바우(바위)’요, 듬직하게 가만히 선 커다란 숨결을 나타내는 낱말이다. 말소리를 내지 않거나 못 하면서 가만히 있다고 여기기에 ‘벙어리·바위’로 바라보는 셈인데, ‘벙·방’이 맞물리고, ‘버우·바위’가 맞물린다. ‘벙긋·방긋’은 소리를 내지 않고서 가만히 웃거나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다. ‘방그레·벙그레·빙그레’도 매한가지요, ‘방실·벙실’도 마찬가지이다. ‘빙그르르’라는 말씨에서도 아직 소리가 깃들지는 않는다. 이러한 말씨를 곰곰이 짚으면 ‘벙어리·버우·바위·방긋·벙긋’은 “듬직하고 크고 넓게 소리가 없이 가만히 있는 결”을 빗대면서 ‘봉긋’으로 잇는다. ‘봉긋’은 ‘봉오리’로 잇는다. 아직 피어나지 않은, 또는 곧 피어나려고 하는 망울인 ‘봉오리’이다. 아직 피어나지 않았기에 곧 피어날 꽃망울이라면 ‘꽃봉오리’이다. ‘봉긋’은 ‘붕긋’하고 만나며, ‘봉우리’로 새롭게 잇는다. ‘붕긋’은 꽤 높게 솟거나 돋았다고 여기는 모습이요, ‘봉우리’는 ‘멧봉우리’라는 낱말처럼 땅에서 하늘 쪽으로 높이 솟거나 돋은 자리를 나타낸다. ‘봉우리·멧봉우리’는 으레 “바위가 가득하면서 높이 솟거나 돋은 자리”로 여긴다. 그러니까 ‘벙어리’는 ‘바위’를 비롯해서 ‘방긋·벙긋·봉긋·붕긋’에 ‘봉오리·봉우리’가 나란히 깃든 낱말이다. ‘봉’이라는 말씨는 ‘보다·봄’하고 잇는다. ‘보다(본다)’는 눈으로 느끼거나 마주하는 몸짓이다. 소리를 내는 느낌이나 결이 아닌 ‘보다·봄·봉’이니, ‘벙어리’인 사람은 눈으로 보고 몸짓으로 보면서 이야기를 펴고 생각을 나누며 마음을 잇는다. 봄에 피어나는 봉오리처럼, 봄부터 푸르게 물드는 봉우리처럼, 둥글둥글 살갑고 살뜰하여 사랑스레 돌아가며 돌보는 빙글빙글 방긋웃음처럼, ‘벙어리’라는 낱말 한 마디에는 예부터 이웃을 어떤 숨빛으로 만나면서 품고 어우러지려 했느냐 하는 수수께끼와 살림과 꿈이 녹아들었다고 여길 만하다. 그리고, ‘방그레 웃고 봉긋 돋는 봉오리에 푸르게 붕긋하는 봉우리’는 ‘밝’고 ‘반짝반짝·번쩍번쩍’한다. ‘버·바·밝·반짝·번쩍’으로 잇는 말씨인 ‘빛’에는 소리가 흐르거나 깃들지 않는다. 오직 ‘보다·봄’으로 잇는 결이다. 그래서 ‘벼락’이나 ‘별’도 소리가 아닌 눈으로 마주하고 느끼고 보게 마련이다. 빛나는 숨결을 ‘버·바·보·부·비’라는 말씨에 담은 셈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