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고른 책 : 책집에 있는 책은 그 책집지기가 고른 책이다. 펴냄터에서 찍어낸 책은 펴낸이랑 엮은이가 고른 책이다. 우리가 손에 쥐는 책은, 우리 마음을 이어서 앞으로 아이들한테 물려줄 만한가 아닌가 하고 헤아리는 책이다. 돈을 벌거나 이름을 얻거나 힘을 펴려는 뜻으로 ‘고른 책’이 있다. 마음을 나누거나 사랑을 짓거나 살림을 일구려는 길에 ‘고른 책’이 있다. 고르는 손길은, 고르는 삶길이다. 골라서 읽는 눈길은, 골라서 나아가려는 꿈길이다. 좋거나 나쁘다고 할 책은 없다. 돈바라기를 하려 책은 돈을 바랄 뿐이고, 이름바라기를 하려는 책은 이름을 바랄 뿐이다. 겉으로 번드레하게 보이면서 돈을 잘 벌고 싶기에 풀죽임물(농약)을 잔뜩 뿌릴 뿐 아니라, 갖은 덧죽임물(화학첨가물)을 바르는 우리 민낯이다. 우리가 껍데기 아닌 알맹이를 바라보려 한다면, 글바치나 책바치가 ‘돈·이름·힘’에 휘둘릴까? 글바치나 책바치부터 엉큼하기에 엉큼책을 내놓곤 하지만, 누구보다 우리 스스로 엉큼길을 슬금슬금 나아가니까 글바치나 책바치가 엉큼책을 써내고 팔아치울 수 있다. 책을 고르려 할 적에는, 우리 마음을 먼저 들여다볼 노릇이다. 무슨 뜻이고, 무슨 하루이고, 무슨 꿈인지, 이 셋을 찬찬히 짚고서 책을 고른다면 엉큼질도 엉터리도 엉망진창도 이 땅에서 말끔히 사라지리라. 2000.7.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고정순 그림책 《가드를 올리고》 : 지난 2019년 가을, 전주 마을책집 〈잘 익은 언어들〉 지기님이 말씀하셔서 고정순이라는 이름하고 《가드를 올리고》라는 그림책을 처음 만났다. 이날부터 고정순 님 그림책을 찬찬히 보았고, 한 해 동안 이녁 모든 그림책을 천천히 다 읽어내면서 생각을 갈무리해 본다. 《가드를 올리고》를 비롯한 고정순 님 그림책을 보며, 이렇게 그림책을 짓는 분이 우리나라에도 있네 싶어 반가우면서, “가드를 내리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거나 살아 본 적이 없거나 사랑해 본 적이 없나 싶어 아쉬웠다. 짧고 굵게 말하자면, 아이를 낳아서 돌보면 된다. 아이를 낳지 않거나 못한다면, 이웃 아이를 돌보거나 같이 놀면 된다. ‘아이’란 0살부터 10살까지 가리킨다. 다시 말해서 갓 태어난 아기부터 바야흐로 어린이로 넘어서며 철이 들 무렵인 아이까지 두루 “가드를 내리고” 마주해 본다면, 고정순 님은 아마 우리나라에서 빛나는 그림길을 열 만하리라 본다. 내가 보기로는 이우경 님 뒤로 아직 걸어 본 사람도 없고 열어 본 적도 없는 그림길이 태어날 듯하다. 한 가지를 잘 해내는 듯 보이는 사람은 많다. 두 가지를 잘 해내기 어렵다고 입버릇처럼 말하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우리는 아무것도 잘 해내야 하지 않는다. 그냥 하면 된다. 잘되거나 안되거나 따질 까닭이 없다. 그저 하면서, 그저 하는 동안 스스로 샘솟는 사랑을 지켜보고, 이 샘솟는 사랑을 그저 가없이 펼쳐 올려서 마음에 날개를 달고서 홀가분히 춤추고 노래하면 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이렇게 그림책을 짓는 ‘어른’이 하나도 없다고 느낀다. 다만, 어린이 가운데에는 이렇게 그림꽃을 짓는 멋진 눈빛이 꽤 많더라. “가드를 올리고”란 싸우겠다는 뜻이다. “가드를 올리고”는 싸워서 네놈을 무찌르겠다는 뜻이다. 그러니 제발 “가드를 내리고” 두 팔을 번쩍 들고서 폭 안아 주기를 빈다. 손에 동여맨 ‘글러브’를 벗어던지지 않는다면 풀꽃을 쓰다듬지 못 한다. ‘글러브’를 동여맨 손으로는 아기를 안지 못 한다. ‘사각링’도 ‘가드’도 ‘글러브’도 아닌, 풀꽃나무가 넘실거리는 즐거운 보금자리를 지으면서 마당에 나무를 심고 새를 부르면서 하루를 노니는 살림을 지어 본다면, 그림책이 ‘삶빛으로 환할’ 수 있으리라. 2020.12.7.


이 밑글을 쓴 지 세 해가 되어 간다. 2021∼2023년 사이에 새로 나온 고정순 그림책을 모두 챙겨서 읽어 보니, “가드를 더 올리고” 붓을 쥐었구나 싶다. 싸운대서 나쁠 일은 없다. 다만, ‘싸우는 그림책’은 ‘나쁜놈 좋은놈 갈라치기’를 할 수밖에 없고, 어린이한테도 어른한테도 ‘사랑 아닌 싸움’만 보여준다. 싸움(전쟁)을 보여주는 그림책을 마치 ‘평화 그림책’이라고 속이는 오늘날이다만, 사랑(평화)으로 누리는 삶을 보여주지 않고서 어떻게 사랑(평화)을 알거나 배우거나 물려받거나 나눌까? 싸우기(전쟁)만 하는 줄거리와 얼거리로 어떻게 사랑(평화)을 밝힐 수 있을까? “가드를 더 올리고” 붓을 쥐기에 나쁠 까닭은 없지만, 그린이부터 스스로 마음을 갉고 깎는 길이란, 길드는 굴레일 뿐이다. 2023.8.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같은 영화 100판 : “영화평을 쓸 만한 영화라고 여기면, 적어도 100판을 느긋이 다시금 보면서 생각을 가다듬습니다. 몇 판쯤 슥 보기만 해서는 놓치는 대목이 많아요. 그렇다고 영화평이란 글을 책 한 자락으로 써낼 수는 없습니다만, 다섯 줄이나 열 줄로 영화평을 쓰더라도, 그 영화를 제대로 말할 수 있으려면 100판쯤 다시보기를 해야겠지요. 그러니까, 오늘날 누리그물(인터넷)에 넘치는 온갖 영화평은 다 허울스럽거나 겉훑기이지 싶어요. 영화평 한 자락을 쓰려고 그 영화를 적어도 다섯 판이나 열 판쯤 곰곰이 다시보기를 한 분은 몇이나 될까요? 거의 다 한 판만 보고서 쓰지 않나요? 책느낌글도 매한가지예요. 책을 한 판만 읽고서 쓴다면 그런 느낌글은 엉터리일 테지요. 책느낌글을 쓰려고 한다면, 적어도 대여섯 벌을 되읽을 노릇이고, 보름이나 달포쯤은 곁에 두고서 곰곰이 새길 노릇입니다. 그러나 영화평도 책느낌글도 다들 후다닥 써갈겨요. ‘쓴다’조차 아닌 ‘써갈긴다’입니다. 생각해 봐요. 100판을 다시보기를 할 만한 영화가 아니라면, 1판조차 안 볼 만한 영화이지 않을까요? 100판을 다시보기를 하고서 영화평을 쓸 만한 영화가 아니라면, 처음부터 아예 영화평을 쓸 값어치조차 없는 영화가 아닐까요?” 영화평 이야기가 나오면 나는 으레 이렇게 말한다. 적어도 100판을 볼 수 없는 영화라면, 굳이 1판조차 안 보아도 된다고 느낀다. 같은 영화를 왜 다시 보고 또 보느냐 묻는 분들이 있지만, 아름다운 영화는 다시 볼 적마다 새롭게 느끼고 배우는 대목이 늘 있어서, 100판 아닌 1000판 넘게 보게 마련이다. 언제 1000판을 보느냐고? 스무 해나 마흔 해에 걸쳐서 틈틈이 보면 그만큼 볼 수 있다. 책도 매한가지이다. ‘알라딘중고샵’에 되팔 책이 아닌, ‘우리 집 책시렁에 고이 건사할’ 책을 사서 읽고 새기고 누리는 이웃님이 늘기를 바랄 뿐이다. 2019.12.2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화났어 2023.6.17.흙.



즐거워서 콧노래가 나올 적에, 누가 알아보기를 바라지 않아. 누가 보거나 듣거나 말거나 저절로 흐르는 콧노래야. 기뻐서 번쩍 뛰어오르거나 두 손을 치켜들거나 활짝 웃음을 터뜨릴 적에, 옆이나 둘레에 누가 있거나 말거나 아랑곳하지 않아. 그저 스스로 뛰고 달리고 웃고 춤추고 노래하다가 눈물까지 맺으며 기뻐한단다. 이와 달리 불(화)이 나면, 누가 앞이나 옆에 있든 끝까지 활활 타오르면서 몽땅 죽이고 싶다는 마음을 드러내. ‘불쟁이(화쟁이)’는 누가 꼭 저를 알아보기를 바라면서 활활 태우거나 부수거나 깨거나 죽이려 들지. 즐거움·기쁨은 스스로 우러나면서 스스럼없이 둘레를 햇빛·별빛으로 물들이는 사랑이야. 불질(화내기)은 스스로 숨결을 갉고 깎으면서 둘레까지 같이 갉고 깎아서 같이 죽음수렁에 빠지자고 하는, 모두 잿더미로 물들이려는 굴레이지. 그래서 아이나 어른 모두 ‘불났어(화났어)!’라는 마음을 확 퍼뜨려서 “제발, 날 알아보고! 나한테 맞춰!” 하고 내달린단다. 스스로 살림길로 나아가는 숨빛이 아니니, 자꾸 둘레를 쳐다보고 매달리면서 “날 보라고! 내가 이렇게 불났으니, 날 알아보라고! 나한테 굽신거리지 않으면 다 태워버리겠다고!” 하는 ‘죽음외침’이라고 할 만해. ‘불쟁이’는 나무랄 수 없어. “불난 네가 잘못이야!” 하고 따지면 더 불타다가 터진단다. 불을 어떻게 끌까? 불쏘시개를 치우고 ‘차갑게’ 식혀서 ‘참나(참빛)’를 알아보도록 달래야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붕괴 2023.6.11.해.



집을 새로짓고 싶으면 어떻게 하니? 이미 있는 집을 깔끔히 허물어야겠지? 새로서려면 여태까지 서서 흘러온 모든 뼈대에 받침에 기둥에 알맹이에 속살에 몸뚱이까지 몽땅 치워야 하지. 하나라도 남기지 않는단다. 너희 몸도 늘 새빛으로 갈아입는 줄 알까? 겉보기로는 ‘늘 그대로’이거나 ‘늙어간다’고 여길는지 모르지만, 너희가 ‘나이에 따라 낡아야 한다’고 여기면서 이 ‘빛씨’를 마음에 실으니까, 너희 몸은 너희가 마음에 심은 빛씨를 삶으로 펼쳐서 고스란히 받아들이지. 그렇기에 ‘낡고 늙’는단다. 보렴. 힘들거나 지쳐서 몸을 쉬잖아? 쉬고 나면 어떻게 기운이 새로 솟을까? ‘힘을 다 썼다고 여기는 몸’에 너희가 ‘빛씨’를 심어서 폈기 때문이야. 너희가 “이제 쉬고서 새로 일어나야겠다” 하는 뜻을 ‘빛씨’로 영글어서 마음에 심으니 그대로 이루지. 기쁘거나 거북하거나 좋거나 싫을 적에 “아! 먹을 때가 아니야!” 하고 여기니, 안 먹어도 배부르단다. 기쁘거나 슬퍼서 “아! 먹어야겠다!” 하고 여기면, 잔뜩 먹어도 아직 배고파서 자꾸 먹어야 하지. ‘빛씨’를 마음에 품어서 몸으로 펴려면, 너희는 이때까지 ‘그대로 두던 틀(몸)’을 모두 흩뜨려야 해. 이를 ‘붕괴’라는 한자말로 가리키기도 하는데, ‘흩어’ 놓고서 ‘새로 흐르’도록 바꾸는 길이란다. ‘흙’을 봐. 흙은 덩이일까? 알갱이일까? 흙은 늘 흩어진 알갱이로 있는 듯하지만, ‘흩어진 채 있다’가 ‘씨앗을 받아들여 품을’ 적에 새몸으로 틔우려고 ‘기운을 흘려보내어 새숨이 흐르’도록 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