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잠 2023.9.3.해.



숨결이 흐르는 몸을 입으면, 누구나 잠을 이루지. 몸을 안 입는다면 잠을 이루지 않아. 몸을 써서 무언가 하고, 하는 대로 무엇이든 마음에 담으려면, 움직여서 몸을 쓰고 느끼고 보고 겪는 대로 하나하나 새기려고 잠을 이루지. 잠이란, ‘몸에 깃든 이야기’를 ‘마음으로 옮겨’ 담거나 놓을 틈이라고 할 만해. 잠을 이루지 않으면, 마음에 이야기를 옮기거나 담을 틈이 없으니, 몸에는 이야기가 쌓이고 겹치다가 그만 엉키거나 꼬이거나 뒤틀려. 그래서 이때에는 몸이 ‘엉키거나 꼬이거나 뒤틀린 이야기’를 말끔히 털려고 앓아. 앓는 동안에는 모든 이야기를 사르르 녹여. 몸이 홀가분해야 새로 움직여서 삶을 누릴 만하거든. 그동안 쌓은 이야기를 훌훌 녹이고 털면, 비로소 몸이 가볍기에, 새롭게 하루를 맞이하면서 기운을 내어 움직인단다. 몸은 ‘끝’이 있어. 마음은 ‘끝’이 없어. 일부러 ‘끝’을 두는 몸이기에 삶을 느끼고 보고 맞이한단다. 끝이 없다면 너희 몸은 그만 수렁에 잠겨서 썩어문드러지지. 그런데 썩어문드러진 채 몸을 이으니, ‘앙금이 쌓여 옴쭉달싹 못하는’ 덩어리에 갇힌단다. 마음은 가없는 빛바다야. 그래서 마음에는 무엇이든 얼마든지 옮기고 담아. ‘빛으로 이룬 끝없는 바다라는 그릇’이 마음이야. 너희는 이 마음을 밤마다 고요히 누리기에 아침마다 몸을 말끔히 일으켜세우지. 그러니, 푹 자렴. 애쓴 몸에 담은 이야기를 마음에 옮기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군사시설 : 전남 고흥 나로섬에 때려박은 ‘우주발사대’가 ‘우주선 쏘는 곳’이 아닌 ‘군사시설’인 줄 시골 푸름이조차 알더라. 다만, 모르는 시골 푸름이도 제법 있으나, 스스로 생각하면서 스스로 하루를 그리는 푸름이는 바로 알아보더군. 그렇지만 숱한 ‘어른’이란 이름인 이들은 그곳이 군사시설이 아닌 듯 숨기거나 덮어씌우기에 바쁘다. 이러면서 남몰래 고흥만에 ‘경비행기시험장’을 끌어들였고, 이곳에서 ‘무인군사드론 실험’을 꾸준히 이었으며 ‘군공항’을 뒷길로 끌어들이는 짓도 해왔다. 전남 벌교에서 전남 고흥으로 들어서는 ‘고속도로 같은 네찻길’이 있는데, 이 네찻길 사이사이에 ‘군사시설’이 있다. 그런데 이 잿더미가 군사시설인 줄 까맣게 모르더라. 강원 멧골짝 ‘완전무장지대(비무장지대가 아니다)’로 들어서면 숱하게 나오는 잿더미요, 서울에서 일산·파주로 가는 찻길에도 이런 잿더미가 있다. 북녘이 남녘으로 쳐들어오면 북녘 싸움수레(탱크)가 못 지나가도록 길막이를 하려고 ‘가로지르는 길’처럼 꾸며놓은 묵직한 잿더미(시멘트블록)인데, 이 따위가 시골 한복판에 버젓이 있는 꼴을 못 알아본다면, 어떻게 그대를 ‘어른’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저 철없는 바보일 뿐이다. 2021.8.2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기계 : 사람이 하던 일을 맡아서 하도록 짜서 기름·땔감으로 돌리는 틀을 으레 ‘기계’라 한다. 스스로 생각을 일으켜서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줄 모르는 채, 남이 시키는 대로 따라갈 뿐 아니라, 나라가 시키는 대로 넋빈이로 뒹구는 몸짓일 적에도 똑같이 ‘기계’라 한다. 예전에는 ‘허수아비’라 했지만, 어느새 ‘기계·거수기·로봇’ 같은 새말로 가리킨다. 단추만 누르면 된다고 여기지만, 단추만 눌러도 되도록 길든 채 삶·살림·사랑·숲을 잊고 잃은 몸뚱이라면, 어찌 우리가 스스로 사람일 수 있을까? 2005.9.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시골에 무슨 얼어죽을 복싱대회인가?

시골 할매 할배더러

읍내 체육관으로 나와서

복싱 구경을 하라고 외치는

면사무소 공무원은

그저 군수 심부름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풀죽임물 : 풀을 죽이려고 뿌리는 물은, 풀을 비롯한 뭇목숨을 모조리 죽이는 구실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풀죽임물’이 아닌 ‘농약’이라는 한자말 이름을 붙인다. ‘약국’이란 약가게일 텐데, 아프거나 앓을 적에 몸에 넣는 ‘약’은 참말로 돌봄빛이나 살림빛 구실일까? 모든 약은 거꾸로 살림길 아닌 죽음길(+ 죽임길)로 몰아붙이는 구실이지 않을까? 풀죽임물을 뿌린 땅에는 맨발이나 맨손으로 못 다닌다. 풀죽임물이 맨몸에 닿으면 살갗이 타들 뿐 아니라 자칫 목숨을 잃을 만하다. 그런데 사람들이 먹는 모든 낟알이며 남새이며 열매이며 과일에 이 풀죽임물이 듬뿍 스민다. ‘살림길 아닌 죽임길인 약’을 아무렇지 않게 자주 많이 먹는 서울살이(도시생활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살림물 아닌 죽임물인 농약’을 아무렇지 않게 여기는 시골살이로 굳어버렸지 싶다. ‘마약’만 죽임구렁이지 않다. 모든 ‘약’이 죽음수렁이다. 예부터 굳이 ‘약초’라 하지 않았고, 모든 약초는 낱낱이 짚고 보면 그저 ‘잡초’이고, 우리말로는 수수하게 ‘풀’이다. 우리말 이름 ‘풀’은 ‘풀다’를 밑뜻으로 품는다. 모든 찌꺼기를 풀어주는 노릇인 ‘풀’이고, 모든 숨빛을 품는 ‘풀’이다. 그래서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을 ‘푸른별(지구)’이라 한다. 푸른별이란, 사랑을 품고 풀꽃나무를 품어서, 사람들이 서로서로 이야기를 풀어내고 살림을 풀어가는 즐거운 터전일 수 있다. 남들이 아닌 우리 스스로 ‘약·농약·마약·약초’라고 하는 꺼풀스러운 이름을 벗어던지면서 ‘풀을 품는 푸른살림’으로 거듭나려 할 적에 비로소 싱그럽게 깨어나고 거듭나고 날개돋이를 하리라. 2023.9.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밑에 붙이는 사진은,

요 몇 해 사이에

새롭게 나온,

'죽임물(농약)'을 허벌나게 뿌려대어

모든 거미와 새와 개구리에다가

사람까지 싹 죽여버릴 수 있는

'농약대포'이다.


"농약을 없애자!" 하고 목소리를 내려고

길거리에 나올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이 나라는 그저 썩었다고 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주호민 갑질 : ‘주호민·한수자 갑질’이 불거진 지 한 달이 지난다. 지난 한 달을 돌아보니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는 ‘주호민·한수자 갑질’ 이야기를 글로 안 다뤘다. 이 세 곳만 ‘주호민·한수자 갑질’이 아닌 ‘장애아 인권’을 다루는 척을 한다. 그런데 ‘주호민·한수자’가 그들 아이를 넣은 어린배움터(초등학교)에는 다른 ‘별아이(장애아)’가 여럿 있다. 다른 별아이는 여태 그 배움터를 잘 다니다가, 그들 ‘주호민·한수자’가 부린 막짓 탓에 배움살이(학교생활)가 엉망진창이 되었다. 다시 말하자면,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는 ‘주호민·한수자 갑질’ 탓에 어느 배움터 여러 별아이(장애아)를 비롯한 모든 아이들이 시달리고 들볶이고 괴로운 삶을 안 들여다볼 뿐 아니라, 등지고 등돌리는 셈이다. 모든 아이는 고르게 배울 수 있어야 하고, 즐겁게 놀 수 있어야 한다. ‘주호민·한수자’ 집안 아이만 걱정없이 배움살이를 해야 하는가? 왜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는 ‘다른 별아이랑 모든 아이들’이 누릴 ‘인권’은 아예 안 쳐다볼 뿐 아니라, 그 배움터 ‘여러 별아이 어버이’가 외치는 눈물어린 목소리에 귀를 닫을까? 적잖은 분들은 ‘조선·중앙·동아’ 세 곳이 사라져야 우리네 글길이 숨통을 트리라 여기는데,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는 ‘주호민·한수자 갑질’을 글로 안 쓸 뿐 아니라, ‘학교폭력 이재영·이다영 쌍둥이자매 갑질’도 여태 글로 안 쓴다. 또한 ‘문재인 정권 태양광패널 부정부패와 막삽질’ 이야기도 아예 글을 안 쓴다. ‘햇볕판(태양광패널)’은 ‘기울기 5°’가 넘는 곳에 놓으면 안 된다고 하지만, 온나라 멧자락에 햇볕판이 마구 때려박혔다. 못(호수)하고 바다에까지 때려박혔다. ‘해상국립공원’에 햇볕판을 때려박아도 될까? 왜 길(고속도로)에 지붕으로 햇볕판을 안 놓을까? 가파른 멧자락이나 해상국립공원 바다에 때려박는 햇볕판은 걱정없고, 길에 지붕으로 햇볕판을 놓으면 걱정거리가 있을까? 말썽은 누가 부려도 말썽이다. ‘조선·중앙·동아’나 박근혜가 저지르는 짓만 말썽일 수 없다.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나 문재인이 저질러도 말썽은 늘 똑같이 말썽이다. 우리 집 아이가 설거지를 하다가 그릇을 깨건, 낯모르는 사람이 설거지를 하다가 접시를 깨건, 똑같이 ‘깨뜨린’ 일이다. 이웃집 아재 ‘역주행’이건, ‘이근 대위 역주행’이건, 똑같이 길에서 하지 말아야 할 몹쓸짓이다. ‘내로남불’이라는 멍청짓을 멈출 줄 알아야 한다. ‘내로남불’로는 어깨동무(평화·평등)를 터럭만큼도 이룰 수 없다. 2023.8.3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