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축복 2023.8.22.불.



누가 너한테 1000억 원을 주면 기뻐? 누가 너한테 1000원을 주면 안 기쁘고 시시해? 누가 너한테 1000억 원을 빼앗으면 골나니? 누가 너한테서 1000원을 훔치면 짜증스럽니? 가볍게 불어도 바람이고, 세게 불어도 바람이야. 봄에도 가을에도 햇볕은 햇볕이야. 새벽에도 밤에도 풀벌레는 늘 풀벌레로서 노래하지. 밤에 가득하든 낮에 안 보이든 별은 늘 별이지. 기쁨(축복·축하)이라면 크기가 없이 기쁨이란다. 빚이라면 그저 빚이야. 빛도 언제나 빛일 테지. 네 눈빛과 마음결에 따라서 이 하루는 기쁨(축복)이기도 하지만, ‘안 기쁨’이기도 해. 네가 앓든 낫든, 네가 잠들든 깨든, 네가 모르든 말든, 네가 고프든 굶든 부르든 푸지든, 늘 ‘기쁨이거나 안 기쁨’이야. 어떤 마음이니? 넌 네 말소리에 기쁨빛을 담니? 넌 네 발걸음에 기쁨빛을 얹니? 넌 네 몸짓에 기쁨빛이 물결치도록 스스로 다스리니? 주거나 받을 적에만 기쁨으로 여긴다면, 아무래도 ‘기쁨시늉·기쁨척·기쁨흉내’로 여길 만해. 기쁨은 줄 수도 받을 수도 없거든. 사랑을 누가 누구한테 주겠니? 주거나 받지 않는 기쁨·사랑·노래·꿈·빛·숨·이야기·말·넋이란다. 언제나 스스로 그려서 스스로 짓고 스스로 펴고 스스로 나누면서 스스로 훨훨 나는 동안 스스로 보고 느끼고 알아가는 기쁨이고 넋이야. 남을 ‘축복’하지 마. 너 스스로 기뻐하면서 웃고 노래하고 춤추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말꽃노래 18 긴밤 2023.7.6.



봄에 접어들려고

나즈막히 앉아

별을 바라보는 꽃 피고

개구리 하나둘 깨어나


여름에 이르러

여름새 하늘 누비고

매미가 함께 노래하는

긴낮 짧은밤 흐른다


가을에 닿으니

구름빛 높이 덮으며

푸른들 고루 돌보는

한가위 가만히 지나


겨울에 다다라

해가 비스듬하고

바람노래가 고즈넉하지

긴밤 짧은낮 머문다


← 동지冬至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말꽃노래 15 책숲 2023.7.4.



바다에 이는 물결과

들에 피어난 뭇꽃과

숲을 이루는 푸나무

다 달리 이야기 흘러


어제를 새긴 글하고

오늘을 옮긴 그림에

모레를 담은 노래를

늘 새로 누리고 나눠


날개돋이를 알려주는 나비

허물벗기를 가르치는 벌레

하늘씻이를 베푸는 비구름

하루를 익히며 간다


누구나 읽도록 편다

언제나 보도록 연다

손잡고 웃도록 풀고

즐겁게 짓도록 살아


← 도서관, 장서, 서고, 도서목록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호랑나비 2023.9.1.쇠.



마음에 안 든다면서 바꿀까? 마음에 안 차기에 바꾼다고 해야 걸맞아. 마음에 안 들 적에는 ‘갈’지. 마음에 차도록 바꾸는데, ‘배우’려 하기에 바꾸면서, 마음이 차오르는 길에 선단다. ‘배울 마음이 없’는 채 ‘뜻대로 움직이려’고 하기에 ‘갈’아. 그래서 ‘갈아치우는’ 사람은 마음이 허전하니 또 갈고 자꾸 갈면서 더욱 허탕에 빈수레란다. 마음이 그대로 가기를 바라니 ‘고쳐’. 마음에 맞기를 바라니 ‘손질’을 해. 그러면 너희는 나비 한 마리 이름을 어떻게 보겠니? ‘호랑띠’가 아닌 ‘범띠’이고, ‘호랑이’가 아닌 ‘범’인데, 언제까지 ‘호랑나비’ 같은 ‘낡은’ 이름을 붙들 셈이야? ‘배우는 마음’으로 차오르면서 ‘바꿀’ 수 있니? ‘이름갈이’가 아닌, ‘이름고침’이 아닌, ‘이름손질’이 아닌, ‘이름바꿈’을 할 수 있겠니? 나비를 바라보면서 이웃으로 여기고 동무로 만나려는 마음이라면 ‘범’무늬를 그대로 이름으로 삼을 테지. 나비 한 마리뿐 아니라 숲짐승 한 마리를 너희랑 함께 살아가고 숨쉬고 노래하는 이웃이자 동무로 마주하려고 생각을 바꿀 줄 안다면 ‘범’을 볼 수 있을 테고. 너희가 어떤 허울에 길들고 물들라면서 넌지시 뒷심을 쓰는 우두머리나 무리가 있어. 너희가 스스로 눈뜨고 깨어나고 거듭나고 일어서라면서 가만히 밑힘을 기울이는 작은이가 있어. 넌 무엇을 보니? 넌 어디로 가니? 넌 무엇을 아니? 오늘은 어디로 가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티끌일까 2023.9.2.흙.



티눈은 작아. 참으로 작아. 그런데 이렇게 작게 나온 티눈을 쳐다보는구나. 그냥 ‘티’가 아닌 온갖 티로 숱하게 번질 밑동인 ‘눈’인 ‘티눈’이라 쳐다볼는지 몰라. 잎눈이나 꽃눈을 바라보듯 ‘티가 얼마나 어떻게 자랄는지 궁금’하기에 보니? 얼른얼른 아주 티나게 퍼지기를 바라기에 바라보니? 군더더기 같은 티끌이 보기싫어서 미움을 담아 노려보니? 너희 옛말에 “긁어 부스럼”이 있더구나. 부스럼을 긁으면 어찌 될까? 사라지니? 걱정이나 근심이나 미움이나 시샘이나 부아나 불길은 말이야, 보면 볼수록 불어나. 네가 티눈이며 티끌을 자꾸 보고 또 보고 미워하다가 노려보고 째려보면 어떻게 될까? 아주 조그마한 ‘티·티끌’은 가벼이 부는 바람에도 훅 날아가. 아주 작은 ‘티·티끌’은 빗물 한 방울에도 말끔히 씻겨. 너는 무엇이든 불리거나 늘리거나 키울 수 있어. 걱정을 쌓을 수 있고, 말썽을 늘릴 수 있고, 가난을 키울 수 있어. 왜 그럴까? ‘꽃눈·잎눈’이라는 ‘꿈눈’을 바라보려고 쓰는 마음이 아닌 ‘티눈’이라는 ‘불씨’를 바라보려고 쓰는 마음이잖니. 저절로 사그라드는 티눈에 티에 티끌한테 온마음을 기울일 셈이니? 네 온길을 바라보고, 네 온눈을 뜨고, 네 온사랑을 온빛으로 바라보면서 네 온하루를 가꾸고 누리겠니? 어느 쪽에 서도 너는 너야. 왼쪽도 오른쪽도 위쪽도 밑쪽도 가운쪽도 대수롭지 않아. 네 제자리를 보렴. 네 눈을 뜨렴. 조금이라도 빈틈이 있으면 안 되니? 틈이 나야 싹이 날 텐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