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구청장 2023.9.6.물.



‘벼슬(관리 직책)’은 “있어도 그만이거나 없어도 그만”이 아닌, 처음부터 덧없는 자리야. ‘벼슬’이라는 자리를 놓으니까 사람들이 사람으로서 사람다움을 잊다가 잃어버린단다. ‘대통령’이 있어야 할까? ‘국회의원·장관’이 있어야 할까? ‘공무원’이 있어야 할까? 모두 부질없어. ‘교사’는 있어야 할까? 다 덧없어. 모든 사람은 스스로 돌보고 다스리고 이끌고 가르친단다. 다른 사람을 세워야 할 까닭이 없지. 스스로 설 일이고, 스스로 살림할 하루이고, 스스로 사랑할 마음이야. 그런데 사람들 스스로 삶·살림·사랑을 등지고서 돈·이름·힘을 누리고 싶어하다 보니까, 벼슬을 세운단다. 벼슬도 윗자리·가운자리·밑자리를 가르면서 ‘심부름꾼’을 거느리려고 하지. ‘공무원’이란, 사람들 궂은일을 풀며 이바지할 자리여야 맞지만, 어쩐지 다들 ‘닭벼슬’처럼 팔랑거리고 ‘나리꽃’처럼 앞서려고 하더라. 닭은 닭이면 되고, 나리꽃은 나리꽃이면 돼. 그런데 ‘위아래’나 ‘높낮이’가 없는 사람 사이에서 금을 긋고서 우쭐거리려 한다면, 이이는 스스로 곪으려고 하는 셈이야. 함께 일하고 쉬고 노래하는 살림살이를 등지려고 하는 셈이지. 힘을 뽐내려는 벼슬이란 얼마나 어리석고 철없어 엉성할까. 나누려는 마음이 아닌, 심부름꾼을 거느리려는 벼슬아치(구청장·군수·시도지사)는 얼마나 가난할까. 너는 어디에 있고 싶니? 보금자리·살림자리·사랑자리가 아닌, 힘자리·이름자리·돈자리는 웃으며 물리치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나무에다 걸개천 매는 마음이

벼슬자리를 세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임옥상 할배 또는 꼰대 : 응큼짓(성추행)을 저지른 할배 임옥상이란 이름이 나돈다. 응큼짓을 저질렀으나 썩 뉘우치는 빛도, 창피하다는 낯도 없다. ‘글과 사람’은 다를까? 아니다. ‘글과 사람’이 다르다면, 고은·서정주·모윤숙·김활란·신경숙·박목월을 모두 나란히 ‘글(문학·예술)’로만 바라보아야겠지. 곰곰이 보라. 검은짓을 일삼은 이들치고 뉘우치거나 창피하다고 고개를 숙인 이가 누가 있는가? 뉘우침글(참회록)을 쓴 어른으로는 이원수 님 한 분을 빼고는 도무지 보기 어렵다. 왜 ‘이원수 기념관’이 그대로 있겠는가? 이원수 님은 총칼수렁 막바지에 아이들을 먹여살리려고 일본바라기를 했지만, 일본이 물러난 뒤에는 모든 총칼(이승만·박정희 독재)에 맞서서 어린이를 지키려고 힘썼다. 서슬퍼런 나라에서 우두머리(이승만·박정희 독재자)를 나무라는 글을 썼고, 어린이가 스스로 눈을 뜨고 일어나라고 북돋우는 글을 폈고, 전태일을 기리는 글을 1970년에 써내기까지 했다. 이원수 님은 1981년 1월에 숨을 거두기 앞서 딸아이 손바닥에 손가락으로 〈겨울 물오리〉라는 노래를 마지막으로 남겼다.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넘어선 얼음나라에서 손가락으로 겨우 남긴 글자락은 오늘날까지 이어서 우리 아이들한테 밑힘으로 흐른다. 그러면 임옥상 할배는 이제라도 뉘우칠 수 있을까? ‘공탁금’ 2000만 원을 앞세워 슬그머니 빠져나오면 되는가? 잘못을 뉘우친다면 스스로 모든 그림을 끌어내려서 불태울 줄 알아야 하지 않을까? 뻔뻔한 임옥상 할배를 감싸려는 무리는 풀빛모임(시민단체) 같지 않다. 뻔뻔하게 구는 그림할배를 따갑게 나무라면서 먼저 이이 그림을 끌어내리고 치울 노릇이지 않을까? 나이만 먹고 철들지 않는 이를 가리켜 꼰대라고 한다. 늘그막에 “임옥상 할배”로 남을는지, 아니면 “임옥상 꼰대”로 뒹굴려는지, 스스로 돌아보기를 바란다. 임옥상 씨는 이녁 누리집에 아직도 뉘우침글(반성문)조차 안 올렸더라. 대단하다. 2023.9.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조선일보한테서 이런 소리를 들어야 하나?

너무 창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신학림 책값 1억 6500만 원 : 2023년 9월 첫머리를 ‘책값’이 달군다. 신학림 씨가 받았다는 책값은 1000자락도 500자락도 100자락도 아닌, 고작 1자락(셋이 한묶음)인데 1억 6500만 원이었단다. 모름지기 글바치한테는 ‘기자 윤리강령’ 같은 ‘지킴길’이 있다. 시·소설·수필을 쓰는 글바치뿐 아니라, 교사·교수·기자로 붓을 놀리는 모든 글바치가 스스로 지키고 돌아보고 새기는 다짐(윤리강령)일 텐데, 글삯은 제대로 받되, 검은돈·뒷돈·몰래돈은 모두 물리쳐야 한다고 여긴다. 왜 그러하겠는가? 검은돈·뒷돈·몰래돈을 받고서 쓰는 글은 참글이 아닌 거짓글로 기울 테니까. 왼쪽이건 가운쪽이건 오른쪽이건 똑같다. 글을 쓴 삯만 받을 노릇이다. 넘치는 글삯은 물리쳐야 맞다. 글바치로서 일군 열매인 글이나 책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글 한 자락이나 책 한 자락에 천만 원이나 일억 원을 받아야겠는가? 아니다. 물리쳐야지. 그러나 신학림 씨는 뉘우칠 줄 모를 뿐 아니라, 창피도 부끄럼도 없다. 더구나 이이를 감싸려는 몇몇 글바치(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도 입을 싹 씻거나 딴청을 부린다. 붓을 쥐고서 참빛을 밝히려는 길에 서려는 사람이라면, 모든 말썽·잘못·티끌·허물을 말끔히 털고 씻을 노릇이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여느 어버이도 아이 곁에서 말썽·잘못·티끌·허물을 말끔히 털고 씻을 노릇인데, ‘글잡이’라는 사람은 언제나 정갈하고 밝게 눈을 뜨고 말을 펴도록 스스로 갈고닦고 벼리고 씻고 다스릴 일이다. 부디 신학림 씨는 1억 6500만 원 가운데 16만 5천 원만 남기고서 모두 뱉어내기를 바란다. 낛(세금)도 내기를 바란다. 그리고 다시는 붓을 쥘 생각조차 하지 않기를 바란다. 2023.9.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재다 2023.8.24.나무.



키를 재면 뭘 아니? 키를 알까? 키를 재서 ‘어떤 키’를 알까? 다리부터 머리로 뻗은 길이를 아니? 그 길이를 재고 알아서 넌 얼마나 어떻게 사랑스럽니? 네가 사랑이라면, 네 입에서 흐르는 모든 말이 사랑이야. 어쩌다 한두 마디만 사랑일 수 없어. 어쩌다 흐르는 한두 마디는 ‘사랑’이 아닌 ‘시늉’이야. ‘시늉질·흉내질·척’, 이 세 가지는 눈속임이나 눈가림·눈비음으로 일삼는 껍데기·허울·치레일 뿐이지. 언제 어디에서나 사랑으로 있는 사람은 ‘사랑으로 있어’서 힘들까? 아니지? 스스럼없겠지. 조금이라도 ‘있는 시늉’에 ‘하는 흉내’에 ‘아닌 척’하는 이들은 하루 내내 ‘시늉·흉내·척’을 하느라 지치기도 하고, 끝내 손을 들어. 속모습을 문득문득 비추다가 확 드러내지. 자, 보렴. 왜 뭘 재야 해? 왜 재주를 부려? 왜 재미를 찾니? 오롯이 사랑이면 힘들거나 어려울 일이 없이 슬슬 풀고 맺고 짓잖아. 사랑 아닌 시늉을 하느라 기운을 빼니, 네 삶이란 없이, 꺼풀에 껍데기만 남아. 허울스런 책을 갖춘들, 많다고 재거나 자랑하려는 돈을 쌓은들, 너부터 사랑이 아니고 네 둘레에 사랑이 없어. 그저 사랑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하렴. 못생기거나 잘생긴 사람은 없어. 못나거나 잘난 사람도, 못하거나 잘하는 사람도 없지. 그럼 누가 있을까? ‘너’와 ‘나’와 ‘우리’가 있어. 둘레에는 ‘이웃’ 숨결이 있고, 어느 곳에나 ‘바람’하고 ‘별빛’이 드리운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자전거로 2023.8.23.물.



제 다리로 걷는 사람은 제 몸으로 해와 바람을 느껴. 제 발로 두바퀴(자전거)를 구르는 사람은 제 몸으로 하늘과 길을 느껴. 쇳덩이(자동차)에 몸을 싣는 사람은 빨리 가는지 늦게 가는지 따지지. 넌 ‘어디로 가려는 뜻’이니? 넌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하려는 뜻’이니? 넌 ‘오늘 하루를 고스란히 느끼면서 어디로 가는 길에 무엇을 하려는 뜻’이니? 두바퀴를 달리면, 두다리로 걸을 적보다 빠른 듯싶지. 그런데 ‘빨리’ 갈 뜻이면 쇳덩이에 몸을 실으면서 해랑 바람을 잊어버리면 돼. 그저 ‘빨리 어느 곳에 가려는 뜻’에다가 ‘빨리 가서 어느 일을 잘 하려는 뜻’이라면, 넌 쇳덩이에 몸을 싣고서 거의 쇳덩이에서 하루를 보내겠지. 길을 나서고서 두다리나 두바퀴로 움직인다면, 두다리에 두바퀴로 ‘빨리 가려는 길’이 아닌 ‘하루를 살면서 가는 길’이라면, 모든 길에서 모든 춤과 노래로 어우러진 모든 이야기와 말을 들을 수 있어. ‘빨리’를 바라기에 ‘빠져들’어. ‘빠져들’기에 둘레를 안 봐. 둘레를 안 보는데 꿈이 아닌 ‘빨리’에 얽매이니, 스스로 허덕이는 줄 모르면서 그저 내달려. 그저 내달리느라 스스로 활활 태우고, 어느새 커다랗게 집어삼킬 듯한데, 온기운을 ‘빨리’랑 ‘빠져들기’에 쏟아서 내달렸기에, 이내 잿더미로 바뀌지. 꿈이 없기에 빠져들어. 꿈이 있기에 사랑하지. 두바퀴를 달리며 서두른다면, 두다리로 걸으며 다그친다면, 똑같이 ‘빨리’로 빠져서 타버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