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교복지원금 2023.9.25.달.



걷지 않고 버스를 타면 빠르고, 택시를 타면 더 빠르고, 기차를 타면 더 빠르고, 비행기를 타면 더 빠르다고 여기는구나. 그러나 네가 마음길을 틔워서 훅 가로지르면 가장 빠르지 않아? 너는 왜 빨리 가야 하니? 너는 왜 둘레를 느긋이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배우면서 사랑하는 길하고는 등지니? 돈이 있으면 다 되니? 돈이 많으면 다 이루니? 너희는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세 해나 여섯 해 동안 ‘다 다른 모든 아이한테 틀에 박은 차림새’에 길들도록 배움옷(교복)을 입히려 하더구나. 그 배움옷은 왜 입히니? 그 옷을 입혀야 배우니? 옷을 안 갖추면 못 배우니? 앞으로 모든 아이들은 저마다 다르게 꿈을 그리고, 누구나 다르게 하루를 누리고, 언제나 다르게 오늘을 지으면서, 날마다 다르게 초롱초롱 배우고 짓고 펴고 사랑할 일이지 않을까? ‘가을’이어도 같은 가을은 없어. ‘봄’이어도 같은 봄은 없어. 들깨밭에서 나는 들깨는 모두 달라. 똑같은 들깨가 아닌 다 다른 들깨가 자라고, 다 다르게 생긴 들깻잎에 들깨씨에 들깨꽃을 이룬단다. 들깻잎이 모두 같아야 좋니? 아마 ‘돈이 되려는 굴레’라면 모두 틀박이마냥 똑같아야겠지. ‘교복지원금’은 어디에 이바지하고, 누구를 도울까? ‘교복지원금’이 아닌, ‘어린이·푸름이 스스로 옷살림에 쓸 돈’을 그 나이에 줄 노릇이지 않을까? 실값에 바늘값을 주고서 손수 옷짓기를 하도록 가르치고 배울 일이지 않을까? 다 다른 사람으로서 다 다르게 배우고, 다 다르게 자라고, 다 다르게 꿈꾸어, 다 다르게 피어나는 꽃이라고 느낄 수 있기를 바라. 굴레를 쓰지 말고, 옷을 입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국군의 날 : 열세 살 작은아이가 문득 “아버지, 왜 ‘국군의 날’은 있고, ‘숲의 날’은 없어요? 사람들이 알아야 할 것은 숲이지 않아요? 숲을 모르고 전쟁무기만 내세우면 어떡해요?” 하고 묻는다. 여러모로 알아보니 2012년에 유엔에서 3월 21일을 ‘International Day of Forests’로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세계 숲의 날’이나 ‘세계 산림의 날’쯤으로 옮기는 듯한데, 우리말을 제대로 쓰자면 ‘숲날’이나 ‘온숲날’이나 ‘온누리 숲날’이라 해야겠지. 그러면 ‘숲날·온숲날’에는 무엇을 할 만할까? 사람들이 나무를 심을 만한 빈터가 이 나라 어디에 있을까? 이미 나무가 자라는 옆에 어린나무를 박는가? 부릉부릉 매캐한 길을 걷어내고서 나무를 심어 숲으로 돌리는가? ‘공공기관·아파트·군대·공장·관광지·긴다리·터널·케이블카’를 걷어내고서 나무를 심을 짬을 마련하는가? 누구나 보금자리에서 “마당에 심어 돌보는 나무”를 누리지 않는다면, ‘숲날·온숲날’ 같은 이름을 2012년부터 쓴다고 하더라도 허울로 그친다. 더구나 ‘숲’이라는 우리말조차 못 쓰면서 ‘산림·삼림’이라 한다든지, ‘풀·푸르다’라는 우리말마저 안 쓰면서 ‘에코·그린·청정’이라 한다면, 겉치레로 그치게 마련이다. ‘숲날·온숲날’은 목돈을 들여서 자랑하거나 잔치를 벌이는 날이 아니다. 한글날·스승날·어버이날 같은 때도 돈을 들여서 뭘 보여주거나 치켜세워야 하는 날이 아니다. 한 해 내내 스스로 푸르게 마음을 추스르고 가꾸고 일구면서 사랑을 품을 적에 비로소 숲빛에 풀빛으로 사람다운 넋을 돌아보리라. 2023.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남이 해주는 밥 : “남이 해주는 밥이 가장 맛있더라.” 하고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뜨악하다. 나는 “내가 지은 밥이 가장 맛있다.”고 밝힌다. 간장에 맨밥을 말건, 식은밥을 고추장에 비비건, 손수 짓고 차려서 누리는 밥이 가장 맛있다고 여긴다. 어떻게 남이 해주는 밥이 맛있을까? 이런 마음이라면 “남이 써주는 글이 가장 아름답다”고 여기게 마련이고, “남이 일을 해주면 가장 수월하다”고 여기리라. 나는 언제나 “내가 스스로 쓰는 글이 내 마음을 살찌운다”고 여기고, “어떤 일도 고되거나 힘들 까닭이 없이 스스로 기꺼이 맡으면서 스스로 새롭게 거듭난다”고 여긴다. 이따금 “남이 해주는 밥”을 먹을 수 있고, 으레 “남이 쓴 책”을 읽지만, 언제나 “내 삶을 내 손으로 스스로 쓰”고, “내 하루를 내 눈빛으로 추스르고 갈무리해서 스스로 여미어 책으로 지”으려고 한다. 2004.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돌려받는다 2023.9.24.해.



너는 무엇이든 한단다. 너는 말을 하고, 너는 말을 않고, 너는 글을 읽고, 너는 글을 안 읽고, 너는 네 발을 써서 걷고, 너는 안 걷고, 너는 자고, 너는 안 자고, 너는 웃고, 너는 안 웃고, 너는 먹고, 너는 안 먹고, 너는 숨을 쉬고, 너는 숨을 쉬는 줄 못 느끼고, 너는 아무 말이나 함부로 하고, 너는 모든 말을 가려서 하지. 너는 네가 한 그대로 돌려받아. 네 말과 몸짓은 ‘씨앗심기’이거든. 네가 한 말은 네가 들을 말이야. 네가 읽은 글은 네가 쓸 글이야. 네가 한 짓대로 너한테 오고, 네가 그린 꿈대로 하루하루 흐르지. 네가 걱정을 하니까, 걱정스러운 일이 찾아와. 네가 싫어하니 싫은 일을 자꾸 봐. 네가 노래하니 둘레는 네 노래를 듣고서 춤추는구나. 네가 숨을 쉬니, 너는 이 숨을 내쉬어야 해. 들어오니 나가고, 나가니 들어와. 모든 삶은 물과 같아. 물처럼 흐르는 삶이지. 모든 사랑은 물빛과 같아. 어디서나 샘솟아 어디나 밝히고 녹여. 너는 어떻게 흐르는 물줄기이니? 네 몸은 어떤 물방울로 이루었니? 네 마음에는 어떤 물빛이 감도니? 모두 돌고돌아. 돌면서 돌아보고, 돌기에 동글동글 만나. 돌려고 하지 않거나 못 돌도록 막으니 모가 나고, 엉키다가 죽음수렁으로 가지. 돌지 않고 돌리지 않고 돌아보지 않기에 삶길도 살림길도 사랑길도 없어. 빛나는 사랑으로 꿈씨를 심고서 눈부신 노을을 담은 별 한 송이를 만나기를 바라. 네가 갈 곳은 어디일까? 네가 돌아갈 데는 어디일까? 네가 돌아보며 품을 자리는 어디일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이어폰 2023.9.23.흙.



모습을 보려고 눈이 있고, 기운을 맡으려고 코가 있고, 소리를 들으려고 귀가 있고, 살림을 지으려고 손이 있고, 스스로 일어서려고 발이 있고, 삶을 겪으려고 몸이 있고, 삶을 담으려고 마음이 있고, 삶을 그리려고 머리가 있고, 삶에 꿈을 펴려고 생각이 있고, 이 별에서 살아가는 나 스스로를 알려고 넋이 있고, 넋이 언제나 빛나도록 얼이 있어. 해바람눈비를 느끼려고 살갗이 있고, 뛰고 달리려고 다리가 있고, 짓고 나르는 모든 살림을 들려고 팔이 있고, 쉬엄쉬엄 앉으려고 엉덩이가 있고, 다리와 몸을 든든히 받치면서 움직이도록 허벅지가 있고, 언제나 곧게 몸을 쓰면서 곱게 지내려고 등뼈가 있어. 삶으로 누릴 뿐 아니라 삶으로 짓는 모든 하루를 이야기로 추슬러서 말을 하려고 입이 있지. 어머니한테서 사랑을 이어받아 새롭게 숨결을 얻은 줄 늘 돌아보려고 배꼽이 있단다. 이 얼거리를 찬찬히 짚으렴. 손가락에 발가락에 머리카락이 맡은 몫을 하나하나 헤아리렴. 너희가 모두 다른 몸을 입는 뜻이란, 모두 다른 마음을 일구는 하루를 살면서, 저마다 다르고 새롭게 배우는 길이 즐겁고 아름답기 때문이지. 너희는 곧잘 귀에 ‘소릿줄(이어폰)’을 꽂는구나. 네가 받아들여서 새기고픈 소리를 스스로 사랑하려는 뜻이지. 너는 네 소리를 들을 노릇이야. 다른 사람들은 다들 다른 소리를 들을 노릇이고. 그러니, ‘네가 듣고 싶은 소리’는 너 혼자 들으렴. 바람이 들려주거나 바다가 베풀거나 비가 알려주거나 새가 노래하거나 풀벌레가 우는 소리라면 누구나 넉넉히 누리기에 즐겁지. 이곳에 허튼소리를 퍼뜨리지 마. 네 귀에 꽂은 소리는 너한테 이바지할 뿐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