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 창조 2023.6.26.



솜씨로만 뚝딱거리면

함께 즐거운 길이 아냐

재주로만 밀어붙이면

같이 웃는 살림이 아냐


히죽대는 몸짓으로는

이웃을 괴롭히고 너부터 갉아

우쭐대는 어깻짓이니

동무를 따돌리고 나부터 낡아


파란바람 품는 손으로

파란바다 안는 몸으로

파란마음 그린 눈으로

밝게 열기에 새로짓지


새랑 노래하니 새롭다

풀을 돌보기에 푸르다

생각이란 새로 가는 길

이룸이란 사랑 펴는 삶


ㅅㄴㄹ


이제까지 없었기에 처음으로 선보입습니다. 아직 없기에 비로소 일구어요. 누구도 보거나 듣거나 알지 않던 길을 새롭게 열고 펴고 나아갑니다. 한자말 ‘창조(創造)’는 “1.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듦 2. 신(神)이 우주 만물을 처음으로 만듦 3. 새로운 성과나 업적, 가치 따위를 이룩함”을 뜻한다지요. 그런데 ‘만들다’는 똑같이 찍어내듯 이루는 몸짓을 나타내요. 틀로 찍는 결이 아닌, 사람마다 다 다른 손길과 솜씨와 마음으로 선보이거나 일굴 적에는 ‘짓다’나 ‘빚다’ 같은 낱말로 나타내야 알맞습니다. 온누리를 짓고, 새나라를 짓습니다. 이야기를 짓고, 노래를 지어요. 살림을 짓고, 보금자리를 짓습니다. 사랑을 짓고, 생각을 짓지요. ‘움직’인다고 할 적에 ‘움’은 ‘움트다·싹트다’하고 맞물리고, ‘직’은 ‘지·짓’하고 얽혀요. 슬프면 눈물을 짓고, 기쁘면 웃음을 지어요. 흙하고 물이 만나도록 손으로 만지기에 새롭게 나타나도록 ‘빚’어요. ‘빈’ 곳에서 ‘빛’이 나도록 이루는 ‘빚다’입니다. 무엇을 해볼까요? 어떤 길을 틔우면서 어떤 싹이 자라도록 북돋울까요? 말을 짓고 이름을 짓습니다. 옷과 밥과 집을 짓습니다. 그릇을 빚고 이야기를 빚으며, 즐거이 어울릴 오늘 하루를 빚어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양복 2023.9.29.쇠.



아무 소리나 노래라 하지 않고, 아무 소리나 말이라 하지 않지. 그런데 어떤 소리이든 노래나 말이 된단다. 마음을 담은 소리일 적에, 사랑을 싣는 소리이기에, 살림을 짓는 씨앗을 이루기에, 삶을 반짝이는 별빛으로 가꾸는 소리일 적에, 노래가 되거나 말이 되고, 이야기가 돼. ‘듣기 좋은 소리’여야 노래나 말일까? ‘-기 좋다’는 허울로 싸이거나 감쌀 적에는 ‘겉소리·꾸밈소리’일 뿐이야. ‘사랑하고 살림하는 숲빛이자 별빛인 삶’을 담는 소리이기에, 노래일 때가 있고 말일 때가 있고 이야기일 때가 있어. 네 소리를 네가 스스로 돌아보렴. 너는 무슨 소리이니? 네 모습을 네가 스스로 바라보렴. 너는 어떤 모습이니? 한옷(한복)이나 하늬옷(서양옷·양복)을 차려야 ‘보기 좋은’ 모습일 수 있어. 그러나 ‘듣기 좋은·보기 좋은·먹기 좋은·하기 좋은·쓰기 좋은·주기 좋은’ 모든 것은 사랑도 아니고 살림도 아니고 빛도 아니고 씨앗도 아니란다. 사랑을 담아야 사랑이야. 살리는 빛이어야 살림이야. 별이나 초처럼 초롱초롱하니 빛이야. 숲으로 피어나도록 숨결을 품고서 수수하게 풀어내기에 씨앗이야. ‘듣기 좋은 소리’나 ‘보기 좋은 모습’에 얽매이지 않기를 바라. ‘주기 좋은 선물’이나 ‘알기 좋은 책’을 곁에 두지 마. 속빛을 보고, 속살을 가꾸고, 속알을 풀고, 속눈을 뜨고, 속속들이 사랑인 차림새를 스스로 자아내기를 바라. 겉모습은 참모습이 아니지. 겉말(거짓말)은 참말이 아니야. 겉옷이 참빛일 수 없고, 네 참나일 수조차 없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장례식 2023.9.28.나무.



손에 묻은 때는 물로 씻지. 땀을 실컷 흘린 몸도 물로 씻어. 물결은 바다가 언제나 맑도록 출렁거릴 뿐 아니라, 바닷물은 김·아지랑이·구름을 거쳐 모습을 바꾸어 이 별을 씻어. 비는 냇물을 이루고 샘으로 솟고 풀꽃나무에 스며서 너희 몸에 들어가지. 이때에 바닷물은 ‘비’로 바뀌다가 ‘풀·알·열매’로 바뀌더니 어느새 ‘피’로 바뀌지. 물로 겉몸인 살갗을 씻고, 피로 속몸(몸속)을 씻어. 그리고 너희 마음은 눈물로 씻는단다. 바탕으로 보면 모두 ‘같은 물’이되, 맡은 일이 ‘다 다르’면서 이름도 모두 달라. ‘산몸’은 빗물·냇물·샘물·바닷물로 살린다면, ‘죽은몸’은 어떻게 할까? 죽은 다음뿐 아니라 사는 동안에도, 몸은 ‘빛’으로 살리고 살찌우는데, 죽은몸으로 갈 적에는 ‘빛’으로 풀어내어 새길·새빛·새삶으로 가도록 북돋운단다. 그러나 ‘불빛’으로는 녹이거나 달래거나 씻거나 풀지 않아. ‘불길·불빛’은 부아(화)가 나는 굴레로 끌어가지. ‘별빛’으로 달래렴. ‘꽃빛’으로 녹이렴. ‘초빛(초를 켠 빛)’으로 풀고, ‘숨빛’을 곁에서 ‘말빛’으로 들려주렴. 주검길을 다루는 주검터(장례식장)에서 무엇을 하니? 죽은몸을 고이 풀고서 ‘죽은몸에서 나온 넋’이 새롭게 꿈길을 그리도록 찬찬히 북돋우거나 이야기하니? 아니면, ‘꽃·초·말’은 있되, 불빛으로 환한 채 별빛을 막니? 마음을 살리는 빛을 보고 나누면서, 죽은몸을 기리고 산몸을 그리기를 바라. 넋이어야 사람인 줄 함께 보고 느끼고 나누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고기 2023.9.27.물.



무엇을 먹든 물이란다. ‘무엇’이거나 ‘물’이거든. 물도 물이고, 돌도 물이고, 모래도 물이고, 나무도 물이고, 꽃도 물이고, 씨앗도 물이야. ‘무엇’이란, ‘모두’ 겉이든 속이든 ‘몸’을 이루려면 ‘물’을 입어. 다 다른 ‘무엇’은 ‘물’을 저마다 다르게 입기에, 잎이나 잔나비나 나비나 곰이나 토끼나 선인장이라는 ‘모습’을 ‘입’어서 ‘이룬’단다. 네가 풀을 먹으면 ‘풀몸을 이룬 물’을 먹는 셈이고, 고기를 먹으면 ‘고깃살을 이룬 물’을 먹는 셈이야. 너희는 물만 마시더라도 배고프지 않아. 모든 밥은, ‘물을 다르게 다룬 먹을거리’이거든. 물을 물 그대로 먹을 적에는 네 몸을 물빛으로 입어서 짓는다는 뜻이야. 그러니까 어느 물을 어떻게 머금느냐에 따라 네 몸이 바뀌겠지. 그리고 어떤 물을 머금더라도 네가 어떤 마음으로 있느냐에 따라 달라. 머금은 물이 맑으면 너도 몸이 맑아. 머금는 물이 더러우면 너도 몸이 더러워. 다만, 받아들이는 마음은 ‘코앞에 있는 먹을거리인 물’이 어떤 결로 바뀔 수 있느냐를 밝히지. 맑은 물을 맑게 머금고, 더러운 물을 ‘맑은 물’로 여기면서 머금을 수 있어. 물을 머금을 적마다 마음을 새로 그리렴. “이 아름다이 맑은 물이 나한테 스미어 내 숨빛이 언제나 환하게 깨어나네!” 하는 마음이 싹트고 자라도록 북돋우렴. 고기나 고깃물을 먹어야 하거나 안 먹어야 하지 않아. 빛을 먹고, 빛물을 머금고, 빛줄기를 받아들이고 빛살을 나누면 돼. 빛나는 오늘을 냠냠 누리기를 바라. 너는 활짝 웃으며 노래하기에 물 한 모금이 모두를 살리거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무겁게 2023.9.26.불.



몸이 무거워서 가볍게 못 다니지 않아. 네가 살아가는 푸른별을 봐. 코끼리라서 무겁고 멧돼지라서 가벼울까? 토끼라서 무겁고 개미라서 가벼울까? 잠자리라서 무겁고 물벼룩이라서 가벼울까? 푸른별은 다 다른 숨결을 다 다르게 맞아들여. 누가 무겁거나 가볍다고 따지지 않아. 그저 저마다 무엇을 하면서 어떤 삶을 짓는가 하는 모습을 지켜본단다. 새는 가볍게 날아. 새는 하늘을 바라보다가 바람을 읽고서 “아! 이제 탈 때로구나!” 하고 느껴서 가볍게 뛰지. 뛰면서 날개를 펴고, 이 날개가 바람결을 품고서 흘러갈 줄 안단다. 사람들은 왜 못 날까? 하늘을 안 보는데다가 바람을 안 읽을 뿐 아니라, 어느 때에 뛰어야 할는지 모르고, 가볍게 바람에 몸을 맡기면서 즐겁게 품으려는 마음이 없거든. 안 보고, 안 읽고, 모르고, 안 가볍고, 안 즐겁고, 안 품는데, 어떻게 날까? 가만히 보고 속으로 읽기에 어느덧 알 수 있고, 이때에 가볍게 하면 돼. 머리에 담기만 하면, 볼 눈이 없고 읽는 슬기가 없고 아는 마음이 없으니, 그만 묵직하게 가라앉거나 갇혀. 무게를 잡으려고 하니 못 날아. 무게를 내려놓는 사람은 머리가 아닌 마음에 담아. 머리로 하려니 막히고, 마음으로 하려니 틔워. 머리를 쓰려 하니 무게가 늘고, 마음을 쓰려 하니 무게가 없어. 통통 튀듯 걷는 아이들은 톡톡 튀듯 노는 마음이 가득하니, 안 지치면서 신나게 걷고 달려. 툭툭 발걸음이 묵직한 사람들은 ‘몸에 힘이 없다’고 여기기에 몸이 무겁고 하루하루가 주눅이 들듯 캄캄해. 마음을 보고, 마음에 말을 걸고 마음에 사랑을 심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