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못 일어나며 못 쓰는 글

 


 새벽에 일어나야 글을 쓸 수 있는데, 요 며칠 새벽에 통 일어나지 못한다. 아침에 느즈막하게 일어나더라도 온몸이 찌뿌둥하니까 아침 글쓰기를 제대로 하지도 못한다. 고단할 때에는 고단한 생각에 사로잡혀 고단한 글이 나올 뿐. 홀가분할 때에는 홀가분한 넋으로 홀가분한 글을 빚고. 사랑스러운 삶이 되도록 애쓰면서 사랑스러운 내 몸과 꿈과 매무새일 때에 내 눈가를 적시고 내 웃음꽃을 피우는 글 하나를 일군다. 오늘은 새벽에 일어나기는 했으나 쑤시고 결리는 몸을 끝내 견디지 못하고 도로 눕는다. 아침에 느즈막하게 일어나 밤새 밀린 빨래를 하고 마당에 넌다. 시골집에 마실 온 형이 빨래널이를 돕는다. 첫째 아이가 뽀르르 좇아나와 빨래널이를 거든다. 둘째는 방바닥을 기다가 똥을 뽀지작 눈다. 밑을 씻기고 옷을 갈아입힌다. (4344.12.11.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1-12-11 14:07   좋아요 0 | URL
몸이 힘들어 마음을 못따라갈 때에는 몸이 하는 말을 먼저 들어줘야하는데 그게 잘 안되더군요.
내 몸이 그리 좋지 않을 때에는 글에도 알게 모르게 그런 기분이 녹아들어가는 것 같아요. 느낀 그대로 쓰기보다는 어떤 결의가 강하게 드러나보이는 문장들을 나도 모르게 쓰게 되더라고요 저의 경우에는 말이지요.
날도 추워지는데 몸부터 달래주세요. 건강하셔야지요.

숲노래 2011-12-11 19:20   좋아요 0 | URL
넵, 고맙습니다~
친형이 시골집으로 마실와 주면서
여러 가지 일을 거들어 주어
크게 힘이 된답니다~~
 


 빨래를 해 주는 사람

 


 하룻밤만 묵고 서울을 다녀오느라 집을 비운 사이 둘째 옷가지랑 기저귀 빨래는 옆지기가 맡는다. 하루만에 고흥집으로 돌아오지만, 고속버스와 고속철도에서 너무 시달린 나머지 온몸이 찌뿌둥하고 눈을 뜨기조차 버겁다. 이튿날 빨래까지 옆지기가 맡는다. 나는 밤새 잠을 못 들어 아침까지 깬 채 있는 둘째를 안고 어르다가는 업는다. 둘째를 업고 바깥으로 나와 논둑에 선다. 바람이 좀 세다. 날은 따뜻하지만 바람이 차갑기에 얼마 있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온다. 나는 시원하지만 아이한테는 추울 테니까. 옆지기는 아직 빨래를 한다. 내가 서울을 다녀오며 입던 옷을 모조리 빨아야 하니, 내 옷가지 빨래까지 하자면 더 오래 걸리리라.

 

 아직 뜨기 힘든 눈을 뜨고는 아이한테 노래를 불러 준다. 아이를 한참 업다가 내린다. 등허리가 좀 결린다. 아이를 안는다. 팔이 후들거린다. 힘이 많이 빠졌는가 보다. 이런 몸으로 빨래를 할 수야 없겠지. 아마, 내가 여느 날 여느 때 여느 빨래를 하는 동안 내 옆지기도 이와 같은 몸이면서 마음이 아니었을까 헤아린다.

 

 빨래를 하고 집일을 맡는 사람이 고단할까. 빨래를 할 수 없고 집일을 맡을 수 없는 사람이 고될까. 누가 더 고되다든지 누가 덜 고단하다 할 수 없다. 누구는 한갓지거나 느긋하다 갈라 말할 수 없다. 빨래를 해 주는 사람이 있기에 고마우면서, 나 스스로 빨래를 할 만큼 힘을 북돋우고 몸을 추슬러야 한다고 느낀다. 나는 내 살붙이한테 고맙고, 나는 바로 나한테 고마운 사람으로 살아야지. (4344.12.8.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쓰는 버스길

 


 시를 쓰는 버스길이다. 고흥을 떠나 서울로 가는 다섯 시간 버스길에서 시를 쓴다. 나는 이 버스길을 시를 쓰면서 버틴다. 버스만 타도 버스가 달리며 태우는 기름이 버스를 온통 휘감는구나 하고 느낀다. 플라스틱과 쇠붙이로 만든 버스에서 풍기는 냄새는 기름 타는 냄새와 섞여 몸으로 스며든다. 흙을 밟으며 살아가면 흙내음이 내 몸으로 번지고, 시멘트로 지은 집에서 지내면 시멘트내음이 내 몸으로 퍼지며, 플라스틱과 쇠붙이로 만든 자동차를 얻어타면 플라스티과 쇠붙이에다가 기름 타는 죽음내음이 내 몸으로 박힌다.

 

 시를 쓰는 버스길이다. 빈 종이꾸러미 꺼내어 내 사랑이 무엇인가 되짚으며 시를 쓴다. 먼저 내 고운 옆지기한테 줄 시를 쓴다. 이 서울마실을 할 때에 만날 사람들한테 하나씩 나눌 시를 쓴다. 이 사람한테는 이 시를 써서 주자. 저 사람한테는 저 시를 써서 주자. 나하고 만날 분들이 어디에서 어떤 삶을 일구는가를 돌아본다. 저마다 다 다른 자리에서 모두들 다 다른 삶을 예쁘게 사랑하리라 믿으며, 이 믿음을 살포시 담을 시를 쓴다. 한 시간 반 남짓 시를 쓴다. 그래도 갈 길은 멀다. 눈을 붙인다. 그래도 아직 멀다. 책을 읽는다. 언제쯤 서울에 닿을까. 고흥 토박이 어르신 말씀을 들으면, 예전에는 일고여덟 시간은 가볍고, 차가 좀 막히면 열 시간은 식은죽이라던데. 달리고 또 달려도 언제 닿을까 알 길이 없는 이 버스길에서 이 시골사람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느끼며 무엇을 사랑했을까.

 

 버스를 타고 서울로 가면서, 버스와 서울은 헤아리지 않는다. 우리 식구들 곱게 사랑하며 살아가는 시골자락 꿈결을 돌아본다. 나무를 떠올리고 풀밭을 그린다. 새소리를 되새기고 바람소리를 곱씹는다. 내 시에는 내가 사랑하며 살아가는 내 보금자리 꿈씨를 적바림한다. (4344.12.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박나무 빨래 2


 후박나무 빨랫줄에 빨래를 널 때마다 흐뭇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신나게 해대는 빨래랑 낮에 힘겹게 졸음 참으며 하는 빨래는 모두 후박나무 빨랫줄에 넙니다. 타카도노 호오코 님 그림책 《내 머리가 길게 자란다면》(한림출판사,2003)을 날마다 떠올립니다. 이 그림책에 나오는 짧은머리 아이는 머리가 길게 자란다면 두 갈래로 땋아 나뭇가지에 묶고는 어머니가 한 빨래를 주렁주렁 매달아 몇 시간 꼼짝 않고 앉아 책읽기를 하면 책도 많이 읽고 어머니한테서 칭찬을 들으리라고 꿈을 꿉니다. 나뭇가지 하나 내주어 빨랫줄을 걸치도록 하는 후박나무는 우리 집에 얼마나 고마운 벗님일까요.

 바람이 불어 빨래가 나부낍니다. 첫째 아이가 빨래널기를 거듭니다. 후박나무 빨랫줄만으로는 널 빨래가 꽤 많아 빨랫대 하나 들고 나와 펼칩니다. 아이는 후박나무 잎사귀와 새 꽃송이 사이로 스미는 햇살을 받으면서 아버지랑 빨래널이를 합니다. (4344.12.4.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박나무 빨래


 사람들은 으레 ‘내 집 갖고 싶어’ 하고 말하지만, 정작 ‘내 집 갖기’를 하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오늘날 여느 사람들이 장만한다는 ‘내 집’이란 거의 다 ‘아파트’이면서 ‘부동산’이기 때문이다. 아이들하고 오래오래 함께 살아가면서, 내 아이들이 저희 아이들을 낳아 두고두고 살아갈 만한 보금자리를 ‘내 집 갖기’라는 꿈으로 꽃피우는 사람을 만나기란 너무 힘들다.

 우리 네 식구는 ‘우리 집’을 장만했다. 우리한테 있는 돈으로 장만한 집은 아니다. 우리 네 식구가 살아오며 쓴 글과 찍은 사진으로 일구는 책이 밑힘이 되어 둘레에서 도움을 받아 장만한 집이다. 살림집과 책터가 아직 함께하지는 못한다. 우리한테 알맞춤한 책터이면서 살림집을 제대로 꿈꾸지 못했기 때문에 이제 겨우 살림집만 우리 집으로 마련했다. 앞으로 참답고 예쁘면서 착하게 책터를 함께 꿈꾸어서, 이 고운 살림집과 마주할 어여쁜 책터를 일구자고 생각한다.

 네 식구 살림집에는 마당 한켠에 후박나무 예쁘게 자랐다. 몸무게 이십 킬로그램이 안 되는 첫째 아이는 나무타기를 하며 오를 만하다 싶지만, 제대로 나무타기를 하자면 우리 아이 때까지는 힘들고, 우리 아이가 어른이 되어 낳을 아이 때는 되어야지 싶다.

 이 후박나무를 날마다 바라보면서 생각에 젖는다. 후박나무를 이만큼 돌본 할머님이 고맙고, 이 고마운 할머님 손길처럼 나와 옆지기가 우리 아이들한테 어떤 나무를 물려주면서 아이들이 저희 삶을 사랑하도록 이끄는 어버이 손길이 될 만한가 하고 생각에 젖는다. 나는 살구나무를 좋아하고 옆지기는 잣나무를 좋아하는데, 따스한 날씨인 이곳 보금자리에 잣나무를 심을 수 있을까 궁금하지만, 잣나무 몇 그루 우리 집터에 심고 싶다. 살구나무는 꼭 두 그루만 우리 집에 심고 싶다. 살구꽃과 잣꽃이 어우러지는 내음은 어떤 느낌일까.

 볕이 좋던 며칠 앞서, 무거운 빨랫대를 밖에 내놓고 다시 들이고 하다가, 비로소 빨랫줄 걸어야지 하고 느끼면서 후박나무 가지 사이에 줄을 엮는다. 나무가 힘들지 않을까 걱정스럽고, 나무에 한쪽을 건다 하면 다른 한쪽은 처마에 박힌 못에 걸어야 하는데 집이 견딜 만한가 근심스러웠다. 틀림없이 이불을 널기는 벅차겠지. 그러나 둘째 기저귀 빨래는 얼마든지 널 만하다고 느낀다. 아니, 이제서야 느낀다. 가벼운 빨래를 널면 되잖아.

 새 보금자리에 깃든 지 한 달 보름만에 빨랫줄을 건다. 일찍부터 걸고는 싶었으나 미처 못 건 빨랫줄을 후박나무 가지에 걸친다. 오늘 비가 뿌리겠네 하고 생각했으나 비오기 앞서 조금이라도 바람에 마르라며 새벽빨래를 해서 기저귀를 내놓는다. 바람을 맞으며 팔랑거리는 기저귀는 햇살과 구름과 바람에다가 후박나무 기운이랑 동백꽃 내음을 함께 맞아들이겠지.

 빽빽히 걸면 기저귀 여섯 장을 널 만한 후박나무 빨래줄을 바라보면 나 혼자 그저 즐겁다. 빨래를 널 때에도, 빨래를 걷을 때에도, 빈 빨랫줄을 쓰다듬을 때에도 즐겁다. 후박나무야, 우리 아이들과 우리 아이들네 아이들한테도 곱게 사랑을 나누어 주렴. (4344.12.2.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