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1.


《록사벅슨》

 앨리스 맥레란 글·바바라 쿠니 그림/아기장수의 날개 옮김, 고슴도치, 2005.6.1.



오늘부터 민소매를 입는다. 어제는 깡똥소매로 책짐을 이고 지고 안고 나르며 땀을 좀 뺐고, 이 알뜰한 햇볕을 어깨까지 맞아들이고 싶다. 오늘도 책짐을 이고 안은 채 걷는다. 대전국악방송에 닿는다. 어림보다 더 걸린다. 지난달에 태어난 《우리말꽃》이 어떤 책인지 이야기하러 찾아왔다. ‘국어학개론’처럼 어렵게 책이름을 붙이면 어렵기만 할 뿐 아니라, 이웃이 못 읽는다. 우리말을 꽃씨를 심는 눈길로 살피면서, 꽃내를 맡는 마음으로 읽고서, 꽃빛을 펴는 말씨로 들려주는 길을 여미어 본다면, 누구나 꽃길을 걷는 꽃사람으로 피어날 만하다는 줄거리를 이야기한다. 일을 마치고서 집으로 돌아간다. 칙폭이에서 조금 눈을 붙이다가 《말밑 꾸러미》를 손질한다. 글쓰기 못잖게 글손질로 하루를 지샌다. 《록사벅슨》을 떠올린다. 자리맡에 놓고서 곧잘 들춘다. 아름책은 언제까지나 되읽는 아름빛이다. 이 그림책을 드문드문 펼쳐서 즈믄(1000) 벌쯤 읽을 무렵이면, 나도 곁님하고 우리 아이들하고 짓는 보금숲 이야기를 이렇게 그림책으로 풀어낼 만하리라 본다. 어른은 맨손으로 일하고, 아이는 맨발로 뛰놀 수 있는 데가, 집이자 마을이자 누리이다. 대전도 순천도 서울도, 또 전남 고흥도, 맨손에 맨발일 만한 데가 확 사라진다.


#Roxaboxen #AliceMcLerran #BarbaraCooney

1991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0.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

 김미조 글·홍윤표 그림, 철수와영희, 2024.1.15.



추스를 글살림을 더 여미고서 아침에 길을 나선다. 순천을 거쳐 대전으로 간다. 〈중도서점〉에서 꾸러미 가득 책을 장만한다. 책집을 더 갈까 하다가 그만둔다. 길손집에 깃들어 책을 읽는다. 이 책에서 읽는 이 이야기는 앞으로 어떤 씨앗이 되려나 어림한다. 저 책에서 배우는 저 이야기는 머잖아 어떻게 움트면서 자라려나 헤아린다. 이제 곯아떨어진다.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를 돌아본다. ‘난민 = 어려운 사람’이라는 뜻일 텐데, 집이나 나라나 터전을 잃고서 떠돌아야 하는 몸이다. ‘나그네’요 ‘떠돌이’요 ‘맴돌이’인 셈이다. 바람을 타고서 날아가는 풀씨는 나그네일까? 서울이 늘어나면서 짓밟혀서 죽는 나무는 떠돌이일까? 구경터를 세운다면서 무너지는 숲은 맴돌이일 수 있다. 멀쩡한 바다 한복판에 바람개비(풍력발전기)가 서고, 애먼 멧자락이 민둥갓으로 바뀌더니 햇볕판(태양광패널)이 박힌다. 들숲바다와 풀꽃나무를 괴롭히는 사람이기에, 사람 사이에서도 내쫓고 괴롭힌다. 눈길을 넓힌다면, 왜 여러 나라 사이에서 끝없이 총칼로 괴롭히는지 알 수 있다. 사람들은 더 배우고 더 똑똑하다지만, 정작 ‘쉬운말(생활용어)’을 버리고서 ‘어려운말(전문용어)’로 힘을 쥐고 이름을 날리고 돈을 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의 여행법 - 불편하고 아름다운 것들을 사랑하는 마음에 관하여
이지나 지음 / 라이프앤페이지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5.

읽었습니다 319



  배우려는 사람은 자랍니다. 배우려 하지 않는 사람은 안 자랍니다. 안 배우려는 어린이는 몸뚱이는 불거나 늘지만 ‘자라’지 않아요. 배우는 어른은 몸뚱이가 줄거나 작아도 ‘자랍’니다. ‘자라다’하고 ‘크다’는 달라요. 안 배우더라도 얼마든지 ‘큽’니다. 안 배우더라도 ‘높다’는 자리를 거머쥐기도 합니다. 이와 달리, 배우는 사람은 높낮이나 크기를 안 가립니다. 배움길이란 ‘나음’이 아닌 ‘나다움’입니다. 《어린이의 여행법》은 퍽 알쏭합니다. 어린이 곁에서 배우는 길을 들려주지 못 하기도 하지만, 어린이로서 거니는 길을 짚지도 못 합니다. ‘어린이길’이란 ‘어린길’이면서, ‘씨앗길’입니다. 어린이는 힘으로 배우지 않아요. 마음으로 배웁니다. 이와 달리, ‘어른 아닌 꼰대’는 ‘마음 아닌 힘’으로 아이들을 붙잡거나 다그치거나 끌어가지요. 우리가 어른이기를 바란다면, 치레나 꾸미기나 만들기가 아닌, 사랑으로 짓는 하루를 바라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어린이의 여행법》(이지나, 라이프앤페이지, 2023.5.22.)


나는 운전에 대단한 로망을 가지고 있었다

→ 나는 부릉부릉 몰고 싶었다

→ 나는 손수 몰고 싶었다

17쪽


실제로 운전을 배우게 되었을 때 그 설렘은 말로 다 할 수가 없었다

→ 막상 어떻게 모는지 배울 적에 말로 다 할 수가 없이 설렜다

→ 그러니까 모는길을 배우면서 더없이 설렜다

18쪽


아이는 배울 게 참 많다

― 아이는 우리를 가르친다

→ 아이한테서 배운다

60쪽


하지만 고작 열 달 공부한 것으로 나의 스페인어는 일천했다

→ 그렇지만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얕았다

→ 그러나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허술했다

8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두나무 작업실
소윤경 지음 / 사계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5.

읽었습니다 320



  아이가 나룻배를 그리려 한다면, 나룻배를 살펴볼 노릇입니다. 그러나 나룻배를 몸소 젓지 않고서는 나룻배를 알 길이 없고, 손수 나무를 켜고 다루고 만져서 뭇지 않았으면, 나룻배를 제대로 그리지 못 합니다. 글이든 그림으로든 누구나 스스로 살아내고 살림하며 사랑할 적에 담아낼 수 있습니다. 눈으로 얼핏 보면 허술하고, 몸으로 살아내지 않을 적에는 겉멋이고, 사랑으로 풀거나 녹이지 않으면 자꾸 꾸밉니다. 《호두나무 작업실》을 읽는 동안 갸우뚱했습니다. 왜 자꾸 글을 꾸미거나 ‘만들’려고 할까요? 가만히 보니, 글님은 시골에서조차 ‘서울처럼 살기’를 하더군요. 왜 헤엄터(수영장)에 가서 헤엄을 쳐야 할까요? 시골이라면 냇물이나 바닷물에서 헤엄을 칠 일입니다. 풀꽃을 그리려면 ‘식물도감’이 아닌 ‘풀꽃’을 들이며 숲이며 논둑에서 여러 해에 걸쳐 지켜보면서 그릴 노릇이에요. 남한테 내보이려고 하면 꾸밀 수밖에 없어요. 스스로 사랑할 적에라야 글이며 그림입니다.


ㅅㄴㄹ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3.10.)


막상 글을 쓰기 시작하자 두려움이 고개를 들었다

→ 막상 글을 쓰자 두렵기부터 하다

→ 막상 글을 쓰려 하자 두렵다

5쪽


그림과 글들은 나의 몸과 시간을 먹고 자라난다

→ 그림과 글은 내 몸과 하루를 먹고 자라난다

6쪽


글들은 텃밭의 채소들처럼 무수히 열렸다

→ 글은 텃밭 남새처럼 숱하게 열린다

→ 글은 텃밭에서처럼 끝없이 열린다

6쪽


내가 통과하고 있는 오후의 시간

→ 내가 지나가는 낮

→ 내가 누리는 낮나절

7쪽


빛의 각도와 정원에 새로이 편 꽃들, 새들의 지저귐들

→ 빛길과 뜰에 새로이 핀 꽃, 지저귀는 새

→ 빛녘과 뜨락에 새로이 핀 꽃, 지저귀는 새

7쪽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는 건 어리석은 짓이라는 걸 깨닫는다

→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면 어리석은 짓인 줄 깨닫는다

→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면 어리석다고 깨닫는다

18쪽


영법을 바꿔가며 레일을 왕복하다가

→ 헤엄길을 바꿔가며 줄을 오가다가

24쪽


레일 맞은편에서 건장한 남자가 접영으로 오고 있다. 반대 방향에서 개구리처럼 평영으로 가던 내 팔다리를 마구 치고

→ 줄 맞은쪽에서 듬직한 사내가 나비헤엄으로 온다. 건너쪽에서 개구리헤엄으로 가던 내 팔다리를 마구 치고

24쪽


내 눈에서 이글거리는 분노 레이저가 그의 머리를 조준한다. 발사!

→ 내 눈은 이글거리며 그이 머리를 겨냥한다. 쏴!

→ 이글거리는 눈으로 그 사람 머리를 겨누고 쏜다!

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알았겠어?
푸름 지음 / 키위북스(어린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3.

그림책시렁 1387


《누가 알았겠어》

 푸름

 키위북스

 2023.3.3.



  늑대는 나무를 타지 않거나 못 탑니다. 여우는 나무를 탈 수 있습니다. 이 땅에서 늑대도 여우도 자취를 감추었으니, 두 숲짐승 살림길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늑대도 여우도 새끼나 동무를 더없이 아끼고, 숲을 지키는 듬직한 지기입니다. 둘뿐 아니라 곰도 범도 사람을 굳이 안 건드리고, 사냥도 아무 때나 안 합니다. 더욱이 ‘사냥짐승’이라 하더라도 풀열매나 멧딸기를 무척 즐겨요. 그런데 이런 숲빛을 찬찬히 읽는 사람은 드뭅니다. 《누가 알았겠어》를 가만히 읽습니다. 털빛이 붉다면 ‘여우’일 텐데, 이 그림책에서는 ‘늑대’로 나옵니다. 짐승을 빗대기는 했으되, 곰곰이 보면 사람살이 이야기입니다. 아니, ‘서울사람’ 이야기입니다. 사람물결이어도 이웃이나 동무를 반기지 못 하는 바쁘고 메마른 곳에서 “누가 나를 ‘반기’는가?” 하고 묻는 줄거리입니다. 우리 삶을 숲짐승한테 빗댈 수 있지만, ‘숲’을 숲으로 그리는 이야기가 아니라면, 굳이 짐승 모습에 빗대지 않아도 되리라 느낍니다. 어린이부터 읽을 그림책인데 ‘반갑다·반기다’라는 우리말이 아닌, 일본스런 한자말 ‘환대’를 써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상냥해 보이는 탈”을 쓰면서 날마다 고달픈 서울살이란 그야말로 고달프게 마련인데, “탈을 벗은 맨몸으로 마주하는 오늘”을 바라보자면, 그냥 ‘사람’을 그리면 됩니다.


ㅅㄴㄹ


《누가 알았겠어》(푸름, 키위북스, 2023)


이 넓고 넓은 세상에서 나 혼자 초원을 떠돌게 될 줄 누가 알았겠어?

→ 이 넓고넓은 곳에 나 혼자 들판을 떠돌 줄 누가 알았겠어?

→ 이렇게 넓고넓은데 나 혼자 들을 떠돌 줄 누가 알았겠어?

2쪽


나무 그늘 아래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 나무 그늘에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 나무 밑에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10쪽


달아나지 않는 걸 보니 속은 것 같아

→ 달아나지 않으니 속은 듯해

→ 안 달아나니 속았나 봐

17쪽


나를 진심으로 환대하는 거야?

→ 나를 참으로 반기니?

→ 내가 참말로 반갑니?

21쪽


혼자가 아닌 건 더 행복해

→ 혼자가 아니면 더 기뻐

→ 혼자가 아니라 더 신나

23쪽


이런 환대를 받게 될 거라곤 정말 생각하지 못했는데

→ 이렇게 받아들이리라곤 아주 생각하지 못했는데

→ 이렇게 반기리라곤 아예 생각하지 못했는데

2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