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5.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

 오늘 글·김연정 그림·사자양 기획, 다른매듭, 2023.5.15.



하루 내내 비가 온다. 사흘 해날이다가 다시 오는 비날에 나뭇잎도 풀잎도 쑥쑥 자란다. 한봄비는 자람비라고 새삼스레 느낀다. 작은아이하고 가볍게 저잣마실을 다녀오면서 이야기한다. 아침에는 밥을 차리고, 낮에는 생각을 주고받고, 저녁에는 집으로 돌아와서 다시 밥을 차리고는 일찍 곯아떨어진다.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을 곰곰이 읽는다. 일본 한자말 ‘인권’일 텐데, 우리말로 하자면 ‘사람빛·사람길’이라 할 만하다. 사람으로 사람답게 빛나거나, 사람으로서 걷는 길을 돌아본다면, 나하고 너는 다르면서 하나요, 서로 하늘빛을 품은 숨결이라는 대목을 알아야 한다. ‘나너우리’라는 얼거리를 안 보거나 등지거나 놓친다면, 사람답게 살림하는 사랑을 안 배우거나 내친다고 느낀다. 어린이를 안 살피는 사람은 ‘어른 아닌 늙은 꼰대’이다. “안 살핀다”라는 말을 생각해야 한다. 어린이를 깎아내리거나 괴롭히는 짓도 “안 살핌”이요, 바보짓에 막말을 서슴지 않는 어린이를 나무라지 않거나 달래지 않거나 가르치지 않는 짓도 “안 살핌”이다. 어버이하고 멀리 떨어지거나 말을 거의 안 섞는 집이라면 아무런 “어린이 인권”도 “이웃사람 인권”도 안 쳐다보더라. 다들 어린이를 볼 틈이 없이 바쁜 듯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4.


《레이리 2》

 이와아키 히토시 글·무로이 다이스케 그림/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9.1.17.



해날보다는 구름날로 흐르는 하루이다. 구름결을 바라보며 생각한다. 작은아이가 집안일에 마음을 기울이도록 이끌려면 어떻게 지켜보면서 이야기를 해야 아늑하면서 사랑스러운 보금자리일까. 구름을 보다가 나무를 보고, 들풀을 보고, 봄꽃을 본다. 하늘을 가르는 새를 보고, 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다가, 마음소리를 들으면서 목소리를 북돋운다. 밤에는 비가 온다. 《레이리》는 언제쯤 뒷이야기를 마저 볼 수 있을려나 모르겠다. 한글판은 석걸음에서 멈추는데, 일본판은 이미 2019년에 여섯걸음까지 나왔다. 칼부림이나 막짓을 서슴없이 보여주는데, 왜 이렇게 그려야 하나 하고 곱씹자면, 이미 ‘우두머리가 있는 모든 나라’에서는 칼부림하고 막짓이 아무렇지 않게 춤춘다. 지난날이나 오늘날이나 매한가지이다. 힘을 부리는 이들 손가락짓 하나로 숱한 사람들 목숨이 날아가고, 여러 마을이 불탔고, 들숲바다가 사라졌다. ‘그 자리’는 누가 서든지 사람다움을 잊은 채 사랑스러움을 잃는 굴레이니, 이런 발자취와 민낯을 어제뿐 아니라 오늘도 어디서나 볼 수 있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또한 ‘그 자리’는 아예 마음에 담지도 않으면서 수수하게 하루를 짓는 사람들은 늘 사람다우면서 사랑스럽게 살림을 짓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岩明均 #レイリ #室井大資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순이 어디 가니 - 봄 도토리 계절 그림책
윤구병 글, 이태수 그림 / 보리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430


《우리 순이 어디 가니》

 이태수 그림

 윤구병 글

 보리

 1999.3.30.



  둘레 일곱 마을까지 통틀어 ‘아이가 하나조차 없는’ 시골에 2011년부터 깃들어서 열네 해가 지나는 동안 ‘아이를 데리고 시골로 살러 온’ 젊은 이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젊은 가시버시가 깃들어서 아기를 낳은 일조차 없습니다. 이미 다른 고을도 비슷합니다. 시골에서 들숲바다를 품으면서 고즈넉이 아이하고 온하루를 누리려는 꿈을 품는 젊은이가 매우 적습니다. “젊은이가 시골에 가서 뭘 먹고사느냐?” 하고들 걱정하지만, 오히려 시골에 일거리가 널렸습니다. 시골에 일거리가 안 널렸다면, 오늘날 웬만한 시골일을 이웃일꾼(이주노동자)이 거의 도맡을 까닭이 없습니다. 다만, 시골에서 아이를 낳고 느긋하면서 즐거이 살아가자면 “우리 땅(논밭·숲)”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빈집만 얻는대서 시골살이를 할 수 있지 않아요. 땅을 누려야 시골살림을 짓습니다. 《우리 순이 어디 가니》는 어느덧 사라지는 두멧자락 시골살이를 부드러이 보여줍니다. 누가 새롭게 그리거나 다시 그릴 수조차 없을 듯한 얼거리라고 느낍니다. 다만, 앞으로는 새살림과 새사랑을 새그림으로 엮을 일이지 싶어요. 할매할배가 이야기를 들려주고, 젊은 가시버시가 들살림을 짓고, 아이들이 숲놀이를 누리는 새판을 짜서 빚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lay with Me (Paperback) - 1956 Caldecott
매리 홀 엣츠 지음 / Puffin / 197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314


《Play with me》

 Marie Hall Ets

 Puffin

 1955/1976.



  아이가 왜 태어나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우리나라는 한때 아기를 엄청나게 낳던 살림이었는데, 이제 아기를 거의 안 낳는 모래밭으로 바뀝니다. 둘레를 봐요. 아기가 태어나도 엄마아빠가 아기랑 느긋이 쉬거나 머물거나 놀 데가 안 보입니다. 온통 ‘나이든 이’들이 놀고 먹고 마시고 노닥거리는 가게가 그득합니다. 돈을 치르고 들어가는 놀이마당은 아기나 아이를 안 헤아립니다. ‘롯데월드’ 같은 데가 아이를 헤아릴까요? 터럭만큼도 아닙니다. 그런 곳은 ‘돈’만 쳐다볼 뿐입니다. 아이어른 모두 돈에 길들도록 내모는 얼개입니다. 《Play with me》는 《나랑 같이 놀자》란 이름으로 한글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마리 홀 에츠(매리 홀 엣츠) 님 그림책은 ‘아기·아이·어른·어버이’가 서로 어떤 사이인지 상냥하게 풀어내면서 사랑으로 보여줍니다. 아이는 어른하고 놀려고 태어납니다. 어른은 아이하고 놀려고 어버이라는 이름으로 거듭납니다. 아이어른은 같이 놀고 함께 배우고 서로 베풀면서 언제나 즐겁게 살림을 짓습니다. 그런데 막상 태어난 아이가 놀 데가 없이 어린이집에 배움터에 갇혀야 한다면, 왜 태어나야 하지요? 아이를 낳고도 어버이가 같이 놀 틈이 없으면 무슨 보람이지요? 들과 숲과 바다를 푸르게 살리면서 느긋해야 아이가 태어나고 어른도 즐겁습니다.


#나랑같이놀자 #매리홀엣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의 매듭
리사 비기 지음, 모니카 바렌고 그림, 정원정.박서영(무루) 옮김 / 오후의소묘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394


《마녀의 매듭》

 리사 비기 글

 모니카 바렌고 그림

 정원정·박서영 옮김

 오후의소묘

 2022.11.22.



  모든 철이 다릅니다. 아무리 춥거나 더운 고장이라 하더라도 아침저녁이 있고, 밤낮이 있으며, 새벽과 어스름이 있어요. 철마다 늘 다르게 흐르는 바람과 해와 별이요, 날마다 노상 새롭게 흐르는 하루입니다. 숲에 한 가지 나무만 자라지 않습니다. 들에 한 가지 풀만 돋지 않습니다. 숱한 나무하고 풀이 어우러지기에 온갖 나비하고 벌이 어울리고, 갖은 개미하고 벌레가 나란하며, 바로 이 곁에 사람이 사랑으로 살림을 짓습니다. “Felicita ne avete?”를 옮긴 《마녀의 매듭》입니다. 바꾼 책이름이 좀 뜬금없습니다. 이 그림책은 바람아씨가 아니라 ‘즐거움’을 다루거든요. “즐겁게 있는”지 묻는 줄거리입니다. “즐겁게 사는”지 돌아보려는 삶입니다. “즐겁게 보”거나 “즐겁게 하”는지 되새기자는 뜻입니다. 매듭은 남이 매거나 묶거나 동이지 않아요. 우리가 스스로 짓습니다. 남이 해주어야 즐겁지 않아요. 스스로 하고, 스스로 짓고, 스스로 펴서, 스스로 베풀 줄 알기에 즐겁습니다. 곰곰이 본다면, 겨울에 겨울다운 추위가 없고 여름에 여름다운 더위가 없는 곳은 안 즐겁습니다. 봄에 나비에 개구리에 새에 풀벌레를 만나지 않는 곳도 안 즐겁습니다. 바람아씨는 바람을 읽는 눈빛입니다. 숲아씨는 숲을 아는 철빛입니다.


ㅅㄴㄹ


#Felicitaneavete (즐겁게 있어?)

#LisaBiggi #MonicaBarengo


마녀는 늘 기분이 좋지 않았어

→ 숲아씨는 늘 언짢았어

→ 바람아씨는 늘 처졌어

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