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비협조적


 그의 비협조적 태도는 → 그는 팔짱만 끼고 / 그는 뒷짐이고 / 그는 빼고

 비협조적으로 나오다 → 못 돕겠다고 나오다 / 눈감다 / 귀닫다 / 멀리하다

 우리 일에 비협조적이다 → 우리 일에 나몰라라 한다 / 우리 일을 꺼린다

 다른 회원들의 비협조적인 방식 때문에 → 다른 이들이 구경하기 때문에

 시민들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 사람들이 뒷전이어서 / 사람들이 미지근해서


  ‘비협조적(非協調的)’은 “서로 힘을 모아 돕지 아니하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 뜻 그대로 ‘등돌리다·등지다·고개돌리다·얼굴돌리다’나 ‘돕지 않다·안 돕다·놀다·노닥거리다·놓다·나뒹굴다’로 손질하면 됩니다. ‘가로막다·막다·막히다·끊다·떼다·끄다·그러려니’나 ‘건너뛰다·넘기다·내버리다·내동댕이·내팽개치다·팽개치다’로 손질하고, ‘날다·내빼다·달아나다·다른짓·꽁무니를 빼다·비키다’나 ‘딴청·딴짓·남남·눙치다·부딪치다·부딪히다·부닥치다’로 손질합니다. ‘빠지다·빠져나가다·빼다·뺀질’이나 ‘모르다·몰라보다·못 듣다·못 들은 척하다·못 본 척하다’로 손질할 만하고, ‘뒷전·뒷짐·듣는 둥 마는 둥·떨떠름하다’나 ‘나몰라·팔짱끼다·눈밖·눈돌리다·눈감다·귀닫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마음없다·마음쓰지 않다·먼눈·멀리하다’나 ‘어긋나다·안 맞다·맞지 않다·안 되다·되지 않다’로 손질해도 어울리고, ‘시큰둥·싫다·심드렁·짜증·꺼리다·미지근’이나 ‘구경·발빼다·발뺌·손들다·두손들다·손사래·손떼다’로 손질합니다. ㅅㄴㄹ



의사들은 한국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 직업군이자 일체의 사회 개혁에 가장 비협조적인 반동 집단의 지위를 유지해 왔다

→ 돌봄이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도록 돈 많이 버는 무리이자 여러 새물결에 늘 뒷전이었다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내로라 할 만큼 돈 많이 버는 이들이자 숱한 새살림에 노상 등돌렸다

→ 돌봄지기는 우리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면서 새판짜기에는 순 팔짱질이었다

→ 돌봄일꾼은 이 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지만 삶터를 바꾸는 길에는 나몰라라였다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돈은 많이 벌되 삶터를 갈아엎는 일에는 늘 딴청이었다

→ 돌봄지기는 돈만 많이 벌고 삶터를 바로세울 뜻은 하나도 없었다

《B급 좌파》(김규항, 야간비행, 2001) 249쪽


이웃 간의 정이라고는 눈곱만치도 없는지 대단히 비협조적이었다

→ 이웃사랑이라고는 눈곱만치도 없는지 대단히 떨떠름해 했다

→ 이웃이라는 마음은 눈곱만치도 없는지 대단히 시큰둥해 했다

→ 이웃이라고는 눈곱만치도 여기지 않는지 대단히 짜증스러웠다

→ 이웃이라고는 눈곱만치도 안 느끼는지 대단히 미지근했다

《사하라 이야기》(싼마오/조은 옮김, 막내집게, 2008) 47쪽


사소한 것이 비협조적일 때 왜 서글퍼지는가를

→ 작은 일을 돕지 않을 때 왜 서글픈가를

→ 작은 데에서 가로막힐 때 왜 서글픈가를

→ 자잘한 데에서 막힐 때 왜 서글픈가를

→ 작은 일에서 부딪힐 때 왜 서글픈가를

→ 작은 일 하나가 어긋날 때 왜 서글픈가를

→ 아무것도 아닌 일이 안 될 때 왜 서글픈가를

《그림에 스미다》(민봄내, 아트북스, 2010) 99쪽


일손이 부족한데 남자들은 비협조적이야

→ 일손이 빠듯한데 사내들은 팔짱껴

→ 일손이 적은데 사내들은 뺀질거려

→ 일손이 모자란데 사내들은 안 도와

《센고쿠 여고생담 1》(교치쿠토·히라사와 게코·사와다 하지메/주원일 옮김, 재담미디어, 2023) 50쪽


비협조적인 녀석이구만

→ 시큰둥한 녀석이구만

→ 딴짓하는 녀석이구만

《드래곤볼 슈퍼 22》(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24) 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오불관언



 설법을 듣되 마음은 오불관언 → 이야기를 듣되 마음은 딴청 / 말씀을 듣되 마음은 콩밭

 오불관언할 수야 없는 → 모른 척할 수야 없는 / 딴전을 부릴 수야 없는


오불관언(吾不關焉) :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어느 일을 쳐다보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마음이 없고, 눈길도 없습니다. 봐야 할 텐데 싶으나 안 보고, 보는 척하지만 마음은 어쩐지 먼먼 데에 있는 듯합니다. 이때에는 ‘게으르다·구경하다·불구경·애쓰지 않다·힘쓰지 않다’나 ‘고개돌리다·나몰라·남일·남탓·얼굴돌리다’나 ‘내던지다·내동댕이·내맡기다·내버리다’로 나타낼 만합니다. ‘내팽개치다·팽개치다·팔짱끼다·저버리다’나 ‘넘기다·미루다·발빼다·손놓다·손떼다·손빼다’라 할 수 있고, ‘노닥거리다·노닥이다·놀다·노닐다·놀리다’나 ‘놓다·놓아두다·놔두다·아무렇게나·안 하다·하지 않다’라 하면 되어요. ‘눈감다·눈돌리다·새침·시들시들·시침·일을 안 하다’나 ‘시큰둥·심드렁·자다·입닫이·입씻이·한눈팔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돕지 않다·안 돕다·뒷짐·등돌리다·등지다·멀리하다’나 ‘딴전·딴짓·딴청·떠맡기다·떠밀다·떼밀다’라 할 만하고, ‘마음쓰지 않다·마음을 안 쓰다·멀리하다·흘려듣다·흘리다’나 ‘모르는 척하다·모르쇠·못 본 척하다·묻든 말든·콧방귀’라 하면 되어요. ㅅㄴㄹ



남편은 이 아내의 위급지경에도 여전히 오불관언인 것이다

→ 곁님은 이 내가 몹시 바빠도 여태 모르는 척이다

→ 곁짝은 이 내가 바빠맞아도 그저 노닥거린다

→ 짝꿍은 이 내가 바빠맞아도 그냥 불구경이다

→ 짝지는 이 내가 바빠맞아도 멍하다

→ 그이는 이 내가 아슬아슬해도 먼나라 일이다

→ 이 사람은 바빠맞은 나한테 마음쓰지 않는다

→ 곁씨는 바빠맞은 내한테 딴청일 뿐이다

→ 사내는 바빠맞은 나를 본 척도 안 한다

→ 이녘은 바빠맞은 나한테 심드렁하다

《제3의 여성》(이순, 어문각, 1983) 109쪽


오불관언의 경지에 달하는 비법을 가진 따뷔랭은 자연스레 남을 웃게 하는 재주도 겸비하게 되었다

→ 딴청을 잘하는 따뷔랭은 어느새 사람들을 웃기기까지 했다

→ 모르쇠를 잘하는 따뷔랭은 문득 사람들을 웃기기도 했다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장 자끄 상뻬/최영선 옮김, 별천지, 1998) 36쪽


그야말로 오불관언이었음은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못 본 척했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불구경이었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남일로 여겼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안 쳐다보았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딴전만 부렸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팔짱만 꼈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콧방귀였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시큰둥했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 그야말로 구경만 했다고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역사가의 시간》(강만길, 창비, 2010) 5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소문자자



 소문자자한 음식점을 탐방한다 → 붐비는 맛집을 찾아간다

 소문이 자자해서 쉽게 현혹된다 → 이름이 높아서 쉽게 홀린다

 최고라는 소문이 자자하다는데 → 첫째라는 말이 나온다는데


소문자자 : x

소문(所聞) : 사람들 입에 오르내려 전하여 들리는 말 ≒ 성문·성식

자자(藉藉) :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떠들썩함



  따로 낱말책에 없는 ‘소문자자’입니다. 곰곰이 보면 두 한자말 ‘소문·자자’는 “입에 오르내리다”라는 뜻이 같으니, 나란히 쓰면 겹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오르내리다·알려지다·알다’로 손볼 만하고, ‘떠들썩하다·시끄럽다·왁자지껄’로 손볼 만해요. 때로는 ‘드높다·드날리다·도마에 오르다·입방아’나 ‘나돌다·돌고돌다·돌다·말많다·말밥·말이 나오다’로 손볼 만하지요. ‘판치다·살판·차고 넘치다·흘러넘치다’나 ‘가득하다·넘실거리다·넘치다·물결치다’로 손볼 수 있고, ‘이름나다·이름있다·이름높다·이름꽃’으로 손봅니다. ‘북새통·북적이다·붐비다’로 손보아도 돼요. ㅅㄴㄹ



소문이 자자한 노상강도라도 만나면 어쩌려고

→ 시끌벅적한 길털이라도 만나면 어쩌려고

→ 말많은 길앗이라고 만나면 어쩌려고

《배가본드 34》(요시카와 에이지·이노우에 타카히코/서현아 옮김, 2013) 61쪽


잉꼬부부로 온 동네에 소문이 자자하지만

→ 깨소금짝으로 온마을에 떠들썩하지만

→ 사랑짝으로 온마을에 알려졌지만 

《남편이 일본인입니다만》(케이, 모요사, 2016) 8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시합 試合


 달리기 시합 → 달리기 자리 / 달리기 겨루기 / 달리기

 시합을 벌이다 → 겨루기로 하다 / 겨루다

 축구 시합을 관람하였다 → 공차기를 보았다


  ‘시합(試合)’은 “서로 재주를 부려 승부를 겨루는 일. ‘겨루기’로 순화”을 뜻한다고 합니다. ‘승부(勝負)’는 “이김과 짐”을 뜻한다는데, 일본말로는 ‘쇼부’나 ‘진검승부(眞劍勝負)’라고 합니다. 곰곰이 헤아리면 우리말로는 예부터 ‘다투다·싸우다·겨루다’로 이기고 지는 일을 나타냈습니다. ‘겨루기·겨룸마당·겨룸판·겨룸터’나 ‘다투기·다툼질·다툼판·다툼터’나 ‘싸움·싸움질·쌈질·쌈박질’로 손봅니다. ‘싸움판·싸움마당·싸움터·싸움수렁·싸움자리’나 ‘쌈판·쌈마당·쌈터·쌈자리’로 손보고, ‘내기·노름·길미놀이·길미장사·돈놀이·돈장사’로 손볼 만해요. ‘놀다·노닐다·놀이·놀음’이나 ‘달리다·달려가다·달려오다·달음박질·들이받다·뛰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대들다·대척·마주·맞·외길싸움’이나 ‘판겨룸·판싸움·판다툼’으로 손보고, ‘한판겨룸·한판싸움·한판다툼’이나 ‘마주받다·마주서다·마주버티다’나 ‘맞받다·맞받아치다·맞서다·맞버티다·맞붙다’로 손봅니다. ‘부대끼다·부딪치다·부닥치다·붙다·지지고 볶다’나 ‘뽐내다·자랑·해보다’나 ‘자리·판’으로 손보아도 됩니다. ㅅㄴㄹ



달리기 시합을 했습니다

→ 달리기를 겨룹니다

→ 누가 빠르나 봅니다

《흰 토끼와 검은 토끼》(가스 윌리엄스/강성자 옮김, 다산기획, 1994) 13쪽


운동장까지 달리기 시합이다!

→ 너른터까지 달리자!

→ 놀이터까지 달린다!

《쥐 1》(아트 슈피겔만/권희섭·권희종 옮김, 아름드리, 1994) 5쪽


그는 시합 도중 기권을 했다

→ 그는 달리다가 그만뒀다

→ 그는 겨루다가 손들었다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장 자끄 상뻬/최영선 옮김, 별천지, 1998) 45쪽


상대의 죽음은 시합의 결과에 지나지 않아

→ 그쪽이 죽어도 겨루기에 지나지 않아

→ 그녀석 죽음은 겨루기였을 뿐이야

《창천의 권 1》(부론손 글·하라 테츠오 그림/조진숙 옮김, 학산문화사, 2002) 72쪽


달리기 시합의 스타트 라인에 선 선수와 같은 모습으로

→ 달리기 첫줄에 선 사람 같은 모습으로

→ 달리기 첫금에 선 모습으로

→ 달리기 첫발짝에 선 모습으로

《화학 이야기》(요네야마 마사노부/송현아 옮김, 이지북, 2002) 16쪽


누가 더 오래 춤추나 공주와 시합을 해야 했고

→ 누가 더 오래 춤추나 꽃님과 겨루어야 했고

→ 누가 더 오래 춤추나 빛님과 맞붙어야 했고

→ 누가 더 오래 춤추나 꽃순이 맞서야 했고

→ 누가 더 오래 춤추나 빛순이와 다퉈야 했고

《내 멋대로 공주》(배빗 콜/노은정 옮김, 비룡소, 2005) 11쪽


우린 틀림없이 이 시합에서 지고 말 거야

→ 우린 틀림없이 이 겨루기에서 져

→ 우린 틀림없이 이 판을 져 

《올리버 버튼은 계집애래요》(토미 드파올라/이상희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5) 8쪽


멀리뛰기 시합을 했어요

→ 멀리뛰기를 겨루었어요

→ 멀리뛰기를 다투었어요

→ 멀리뛰기를 했어요

→ 멀리뛰기를 함께했어요

《불량 꽃게》(박상우, 문학동네, 2008) 76쪽


좀 있다 봐. 시합 중이니까

→ 좀 있다 봐. 한판 뛰니까

→ 좀 있다 봐. 한창 뛰니까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 1》(아오노 슌주/송치민 옮김, 세미콜론, 2012) 102쪽


시합 중에 멍 때리고 있으면 어떡해

→ 겨루다가 멍 때리면 어떡해

→ 맞붙다가 멍 때리면 어떡해

《하이큐 3》(후루다테 하루이치/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3) 138쪽


전국을 여행하며 각지에서 시합을 한다

→ 온나라를 돌며 곳곳에서 겨룬다

→ 온누리를 다니며 곳곳에서 한판 붙는다

→ 나라 곳곳을 돌며 겨루기를 한다

→ 이곳저곳 떠돌며 한판 겨룬다

→ 여기저기를 돌며 솜씨를 다툰다

《눈의 고개·검의 춤》(이와아키 히토시/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 300쪽


시합이 다 끝나도록

→ 판이 다 끝나도록

→ 겨루기가 다 끝나도록

→ 달리기가 다 끝나도록

《우물에서 하늘 보기》(황현산, 삼인, 2015) 257쪽


일본은 이미 규칙이 정해져 있던 제국주의 시합에 뛰어들었다

→ 일본은 이미 틀이 따로 있던 총칼나라 다툼에 뛰어들었다

→ 일본은 이미 틀이 있던 마구나라 싸움판에 뛰어들었다

→ 일본은 이미 틀이 있던 망나니 싸움마당에 뛰어들었다

《세계제국사》(제인 버뱅크·프레더릭 쿠퍼/이재만 옮김, 책과함께, 2016) 452쪽


누가 더 큰소리를 내는지 시합이라도 하듯

→ 누가 더 큰소리를 내는지 내기라도 하듯

→ 누가 더 큰소리를 내는지 겨루기라도 하듯

→ 누가 더 큰소리를 내는지 뽐내기라도 하듯

→ 누가 더 큰소리를 내는지 자랑이라도 하듯

《우리는 꿈꿀 거예요!》(윤지영·김수경, 분홍고래, 2016) 93쪽


좋았어. 그럼 첫 시합

→ 좋았어. 그럼 첫 겨룸

→ 좋았어. 그럼 첫 판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2》(야마모토 소이치로/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6) 75쪽


달리기 시합에서 꼴찌만 하다가 드디어

→ 달리기 내기에서 꼴찌만 하다가 드디어

→ 달리기에서 꼴찌만 하다가 드디어

→ 달리기하며 꼴찌만 하다가 드디어

《아홉 살 마음 사전》(박성우, 창비, 2017) 7쪽


누가 빨리 뛰나 시합할까

→ 누가 빨리 뛰나 내기할까

→ 누가 빨리 뛰나 겨룰까

→ 누가 빨리 뛰나 해볼까

→ 누가 빨리 뛰나 붙어 볼까

《열두 살 삼촌》(황규섭, 도토리숲, 2017) 100쪽


“네가 더 냄새 나거든” 하고 반격하면 거기서 시합종료

→ “네가 더 냄새 나거든” 하고 받아치면 얘기는 끝

→ “네가 더 냄새 나거든” 하고 맞받으면 마무리

《파도여 들어다오 3》(히로아키 사무라/김준균 옮김, 대원씨아이, 2017) 67쪽


단 한 시합만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야구의 요령을 캐치했어

→ 꼭 한 자리만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공치기 길을 익혔어

→ 꼭 한 판만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공치기를 알았어

→ 꼭 한 마당만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공치기를 알아차렸어

《메이저 세컨드 1》(미츠다 타쿠야/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7) 113쪽


풍선껌 크게 불기 시합을 했어

→ 바람껌 크게 불기 내기를 했어

→ 부레껌 크게 불기를 겨뤘어

《아홉 살 함께 사전》(박성우·김효은, 창비, 2018) 12쪽


준비… 땅! 드디어 시합이 시작됐다

→ 자, 달려! 드디어 달리기를 겨룬다

→ 자, 가! 드디어 모두 달린다

《아! 병호》(최우근, 북극곰, 2018) 172쪽


지난번 시합, 연습의 성과가 나왔잖아

→ 지난 자리, 땀흘린 보람이 나왔잖아

→ 지난때에, 미리 해본 보람이 나왔잖아

《스바루와 스우 씨 2》(타카하시 나츠코/김현주 옮김, 소미미디어, 2018) 52쪽


다음 시합에서 좋은 경쟁을 하자

→ 다음에 기쁘게 겨루자

→ 다음에 즐겁게 붙자

《티어문 제국 이야기 4》(오치츠키 노조우·모리노 미즈/반기모 옮김, AK comics, 2022) 81쪽


분노해선 안 되는 시합이 어떤 것인지 견학하도록 하세요

→ 불타선 안 되는 자리가 어떠한지 구경하세요

→ 둘끓어선 안 되는 판이 어떠한지 지켜보세요

《드래곤볼 슈퍼 22》(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24) 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641 : 중요한 것 차를 통해 즐겁게 만드는 것



중요하다(重要-) : 귀중하고 요긴하다

차(茶) : 1. 차나무의 어린잎을 달이거나 우린 물 2.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따위를 달이거나 우리거나 하여 만든 마실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통하다(通-) : 14. 어떤 과정이나 경험을 거치다



한자로는 ‘차·다’로 적는 ‘茶’라지요. 곰곰이 보면 잎을 솎은 다음에 덖거나 말립니다. 나중에 물을 끓여서 잎기운을 우려요. 모든 ‘차·다’는 ‘잎물’이나 ‘잎꽃물’이라 할 만합니다. 잎물을 즐깁니다. 무엇보다 잎꽃물을 마시면서 즐겁습니다. 너랑 나랑 모든 사람들이 잎빛을 나누면서 함께 즐거워요. ㅅㄴㄹ



중요한 것은 차를 통해 사람을 즐겁게 만드는 것입니다

→ 무엇보다 잎물을 즐겨야 한다

→ 잎물은 즐겁게 마셔야 합니다

→ 사람들이 잎꽃물을 마시며 즐겁기를 바랍니다

→ 사람들이 잎꽃물을 즐겁게 마셔야지요

《파리 상점》(김예림, 생각을담는집, 2012) 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