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인터넷에서 ‘뭥미’처럼 쓰는 말도 나중에 표준말이 되나요
 : ‘뭥미’이기 때문에 표준말이 되지 말란 법이 없어요. 어떠한 말이든 우리가 두루 쓸 만하거나 우리가 알뜰히 쓸 만하다면 언제라도 표준말이 됩니다. 다만, 인터넷에서 장난스레 쓰는 낱말이 표준말이 되는 일은 아주 드물어요. 딱 하나, ‘꿀꿀하다’는 표준말이 되었습니다. ‘꿀꿀하다’는 인터넷에 앞서 컴퓨터통신이라는 매체가 쓰이던 무렵에 태어난 낱말이에요. 1990년대 첫무렵부터 젊은이와 푸름이 사이에서 널리 쓰인 ‘꿀꿀하다’를 놓고 수많은 어른들은 몹시 못마땅해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낱말은 이제 표준말이 되었습니다. 억지스레 새로 만들어 본다 해서 널리 쓰이는 말이 될 수는 없고, 사람들 마음을 살며시 건드리면서 예쁘게 움직일 수 있으면 얼마든지 새말이 태어납니다.

 5. 한자말은 쓰면 안 되나요
 : 밑생각을 말씀드린다면, 한자말은 쓰면 안 됩니다. 한자말은 한자말을 써야 하는 자리에만 써야 합니다. 이는, 영어도 마찬가지예요. 영어는 영어를 해야 하는 자리에만 써야지, 아무 데에서나 영어를 해서는 안 됩니다. 일본말을 아무 데에서나 써도 되겠습니까. 네덜란드말이나 핀란드말을 아무 곳에서나 써도 될까요. 한자말은 우리말이 아니라 중국사람이 중국사람끼리 생각을 주고받으려고 쓰는 중국말이에요. 우리는 중국사람이 쓰는 중국말 가운데 우리도 쓰기에 괜찮다 싶은 낱말을 받아들이곤 합니다. 영어에서도 매한가지예요. 영어 가운데에서도 우리가 쓰기에 알맞다 싶은 낱말을 받아들입니다. 한자말이든 영어이든 일본말이든 러시아말이든 필리핀말이든, 우리 삶과 넋을 북돋우는 말이라면 곰곰이 살피며 알맞게 가다듬어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내 지식이나 정보를 자랑하려고 함부로 쓰는 한자말이나 영어가 될 때에는 올바르지 않아요. 하나도 아름답지 않습니다. 우리가 써도 될 한자말이란 ‘한자로 지은 중국사람 낱말’이라고 느끼지 않을 뿐 아니라, ‘따로 한자를 밝힐 까닭 없이 한글로만 써도 누구나 알아듣는 낱말’입니다. 이를테면 ‘학교’나 ‘학생’이나 ‘칠판’이나 ‘교과서’나 ‘시험’ 같은 낱말이 우리말로 녹아든 한자말입니다.

 6. 똥오줌은 지저분한 말인가요
 : 똥과 오줌을 지저분하다고 여긴다면 ‘똥오줌’이라는 낱말을 지저분하다고 여길 테지요. 아마, 요즈음은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는 사람이 몹시 적은데다가, 어린이나 푸름이 가운데 어버이를 도와 농사를 짓는 동무는 아주 적을 테니까, 똥오줌을 지저분하다고 여길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농사를 지으며 똥과 오줌을 거름으로 삼지 않으면 농약과 화학비료를 써야 합니다. 요사이는 ‘유기농’이라는 말을 제법 쓰지요? ‘유기농(有機農)’이 무엇일까요? 한자로 지어서 쓰니까 알기 참 어려운 낱말이 되고 마는데, 유기농이란 “똥과 오줌을 거름으로 삼아 짓는 농사”입니다. 한 마디로 ‘똥오줌농사’예요. 그런데 유기농이라는 낱말을 쓰는 분들은 여느 사람들이 ‘똥오줌’이라는 낱말을 안 좋게 받아들이니까, 이렇듯이 한자로 뒤집어씌워서 이야기합니다. 정작 똥오줌을 거름으로 농사를 지어야 ‘깨끗한’ 농사이고 ‘깨끗한’ 먹을거리를 얻는다고 하지만, 이러한 농사이름을 ‘똥오줌농사’라 가리키지 못하는 우리나라예요. ‘똥오줌농사’라 말하면 지저분한 듯 여기는 한국사람이에요. 그러면서 ‘유기농’ 먹을거리를 맛있다며 즐기는 한국사람입니다. 저도 텃밭농사를 지으면서 똥오줌을 거름으로 쓰는데, 내 몸으로 들어온 밥이 똥과 오줌이 되어 나와서, 이를 잘 갈무리하여 거름으로 쓰면 흙이 한결 살아나며 제 마음과 몸도 한결 튼튼해집니다. 도시에서는 똥오줌을 거름으로 삼지 않으니까, 도시에서는 똥오줌은 모두 수세식변기로 흘려보내며 쓰레기처럼 버리니까, 도시사람한테는 똥오줌이 참 지저분하다고 느끼는 낱말이 되고 맙니다. 

(난 유기농이라는 말이 참 싫다. 왜 똥오줌을 이런 한자말로 뒤집어씌워서 말해야 하나.)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 푸름이와 어깨동무하는 삶말

 - 교과서와 신문은 띄어쓰기가 왜 다른가요
 : 교과서를 만드는 어른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꼼꼼히 살펴서 만듭니다. 신문을 만드는 어른은 신문사에 교열부라는 곳이 있기는 하나, 교열부에서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맞게 다듬더라도 편집부 기자가 도로 고쳐서 내놓곤 합니다. 신문을 만드는 기자로 일하는 사람 가운데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모르는 사람이 제법 많아요. 이러하기 때문에 교과서와 신문은 띄어쓰기가 다릅니다. 그리고, 신문은 작은 지면에 쓰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고 하면서 띄어쓰기보다는 ‘띄어야 할 말을 붙이’더라도 글월 하나에 더 많은 낱말을 넣으려고도 합니다. 그런데, 교과서도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과서는 서로 띄어쓰기가 달라요.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에 가 보면, 대학교재에서 쓰는 띄어쓰기도 달라요. 어린이가 보는 어린이책 띄어쓰기는 출판사에 따라서 다르고, 푸름이가 되어 보는 푸른책 또한 어린이책과 띄어쓰기가 다르며, 어른들이 읽는 여느 책은 책을 내는 출판사마다 다 다르답니다. 초등학교 교과서를 엮는 분하고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엮는 분은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다르게 받아들이는 바람에 서로 엇갈립니다. 대학교재를 쓰는 어른은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잘 모릅니다. 출판사들은 ‘나라에서 세운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가운데 옳지 않거나 알맞지 않다고 여기는 대목이 있어 다르게 쓰기도 하지만, 출판사부터 오래도록 저희 나름대로 쓴 틀에 따라 쓰기도 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책마다 맞춤법이랑 띄어쓰기가 다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표준말과 사투리란 무엇인가요
 : 표준말이란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누구나 알아듣도록 한 가지로 맞춘 말이에요. 사투리란 내가 살아가는 터전에서 쓰는 말이에요. 사투리는 ‘고장말’이라고도 해요. 고장말이란 고장에 따라 달리 쓰는 말인데, 처음부터 표준말이 있지 않았어요. 함경도는 함경도대로 전라도는 전라도대로 제주도는 제주도대로 말이 달라요. 충청도에서도 충청남도와 충청북도가 말이 다르고, 충청북도에서도 음성과 괴산과 진천이 모두 말이 달라요. 왜냐하면, 오늘날은 자동차나 기차나 버스가 많아 서로서로 쉽게 오가지만, 옛날에는 처음 태어난 곳에서 죽는 날까지 그대로 살았거든요. 옛날에는 따로 표준말이 없었어요. 고장마다 다 다른 말을 썼는데, 이렇게 다 달리 쓰던 고장말을 일제강점기 즈음해서 비로소 ‘표준말’을 마련하려고 국어학자가 애썼고, ‘표준말 맞춤’은 1933년에 처음 마무리됩니다.

 - 띄어쓰기도 달라지나요
 : 띄어쓰기도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사람들도 늘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달라지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터전이 달라지기 때문에, 달라지는 터전에서 달라지는 사람들이 쓰는 말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어요. 예전에는 이렇게 띄어서 적도록 할 때가 나았다고 여겼지만, 이제는 이처럼 띄어서 적도록 할 때가 낫다고 여기거든요. 새로운 낱말을 받아들일 때에도 띄어쓰기는 달라집니다. ‘글쓰기’나 ‘책읽기’나 ‘즐겨찾기’ 같은 낱말을 오늘날에는 흔히 붙여서 쓰지만, 이 낱말을 붙여서 적은 지는 얼마 안 되었습니다.
 

어느덧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를 적는다. 아이들은 왜 이런 이야기들을 궁금해 할까. 우리 어른은 우리 말과 글이 어떠한가를 놓고 궁금해 하기는 할까.)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51] Office Alpha

 한글로는 ‘알파문구’라 적지만, 정작 이 회사가 쓰는 이름은 우리 말이 아닙니다. 겉으로는 한글일 뿐입니다. 문방구에 가서 볼펜이나 종이나 붓을 사는 사람은 볼펜이나 종이나 붓을 사지만, 이 물건에 붙는 이름은 우리가 바라거나 생각하는 이름이 아닙니다. 물건을 만드는 회사에서 더 돋보이고 싶어서 붙이는 이름이요, 여느 사람들이 더 멋스러이 여기거나 좋아할 만한 이름입니다. 우리 스스로 이 땅에서 수수한 삶을 사랑하면서 아끼는 사람이라 한다면, ‘알파문구’이든 ‘Office Alpha’이든 태어나지 않습니다. 우리 스스로 속삶과 속마음과 속알맹이를 사랑하거나 아끼지 못하면서 겉치레와 겉옷과 겉차림에 마음을 빼앗기니까, ‘Penast’이니 ‘Artmate’이니 ‘SOMA’이니 ‘FABER CASTELL’이니 ‘PRISMACOLOR’이니 ‘DERWENT’이니 하는 이름이 춤을 춥니다. ‘COCA COLA’는 ‘코카콜라’일 수밖에 없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왜 우리 스스로 ‘hite’나 ‘CASS’여야 할까요. 왜 우리 스스로 ‘Office Alpha’여야 할까요. (4344.3.9.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50] Artmate 카탈로그존

 ‘Art’는 무엇이고 ‘mate’는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예술(Art)’하고 ‘친구(mate)’라는 뜻으로 이런 이름을 지었겠지요. 영어를 쓰는 서양사람이라면 이와 같은 이름이 참 좋습니다. 그러나, 한국말을 쓰는 한국사람이라면, 적어도 ‘예술친구’라거나 ‘예술동무’라거나 ‘그림동무’쯤으로 이름을 붙여야 올바를 텐데요. 화방용품을 파는 회사에서 ‘Artmate’ 같은 이름을 예쁘장하다 여기며 붙이기 때문에, 이러한 화방용품을 누리집에서 찾아보는 자리에 쓰는 이름 또한 ‘카탈로그존’이 되고 맙니다. ‘목록(目錄)’은 일본말이기는 하더라도 ‘인터넷목록’이라고조차 쓰지 못합니다. ‘인터넷목록’이라는 이름이 달갑지 않거나 즐겁지 않다면, ‘상품보기’처럼 적을 수 있습니다. 화방용품을 파는 누리집 한쪽을 보면 “모든카테고리 보기”라는 차림판이 있습니다. 이 자리에 쓴 ‘보기’를 잘 가누어 ‘상품보기’나 ‘화방용품보기’처럼 이름을 붙이면 돼요. (4344.3.8.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49] contact us

 누리집을 만드는 사람들은 누리집을 꾸리는 사람들한테 ‘편지를 띄워 연락하라’고 하는 자리를 으레 알파벳으로만 적바림하곤 합니다. ‘contact us’라는 이름을 달아서. 그나마 ‘관리자에게’라 적으면 알아볼 만하지만, 아예 알파벳으로 ‘contact us’라고 적으면 누가 알아보라는 누리집일는지 몹시 궁금합니다. 말이 길어지더라도 ‘관리자한테 편지쓰기’처럼 이름을 적어야 제대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이름을 붙여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이 말이 길다면 짧거나 단출하게 적어서 잘 알릴 수 있는 이름을 더 생각해야 합니다. (4344.3.8.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