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가는 말 50] 산들보라

 둘째 아이 이름을 지었습니다. 둘째 아이 이름 또한 애 엄마가 짓습니다. 애 아빠가 곁에서 거들며 함께 지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아이 이름을 놓고 ‘눈보라’나 ‘봄눈보라’도 생각해 보았으나, ‘산들보라’로 마무리짓습니다. ‘산들’이란 산들바람에서 나오는 ‘산들’이요, 산들바람이란 “시원하고 가볍게 부는 바람”입니다. ‘보라’는 눈보라에서 나온 말인 한편, “이 사람을 보라” 할 때에 나오는 ‘보라’이기도 합니다. ‘산들’이라는 이름은 “산과 들”을 일컫는 산들이 되기도 합니다. ‘보라’는 보라빛 보라이기도 합니다. 뜻이야 이밖에도 여러모로 더 헤아릴 수 있습니다. 생각하기에 따라 한결 깊어지거나 넓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좋은 뜻이나 더 사랑스러운 느낌이나 더 고운 결에 걸맞게 붙이는 이름은 아닙니다. 둘째를 낳아 함께 살아갈 어버이 스스로 어느 곳에서 어떤 매무새로 어떤 살림을 꾸리면서 지내려 하느냐 하는 꿈을 담는 이름입니다. 둘째 아이 또한 첫째 아이처럼 어쩔 수 없이 아버지나 어머니 성을 붙여야 할 테며, 의료보험증에는 끝 이름 하나가 잘리겠지요. 그래도 우리 둘째는 그예 ‘산들보라’일 뿐이고, 산들보라처럼 어여삐 이 땅으로 찾아오리라 믿고 기다립니다. (4344.4.1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함께 살아가는 말 49] 봄꽃

 봄에 피어 봄꽃을 시골자락에서 쉬나무 꽃으로 처음 마주합니다. 도시에서 살던 지난날에는 개나리를 보며 봄꽃을 처음 느꼈으나, 멧자락 시골집에서는 쉬나무 꽃이 맨 먼저 우리들을 반깁니다. 텃밭에 거름을 내려고 풀을 뽑고 흙을 갈아엎다 보니 아주 조그마한 풀에 곧 맺히려는 풀잎 빛깔 작은 꽃망울이 보입니다. 이 꽃망울이 활짝 터지면 풀빛 꽃이 조그맣게 흐드러지려나요. 사람 눈으로는 아주 작다 싶지만, 개미한테는 무척 함초롬한 꽃이 되겠지요. 봄날이기에 봄꽃을 봅니다. 멧자락 집이기에 멧꽃입니다. 시골마을인 터라 시골꽃입니다. 도시에서는 도시꽃이었고, 도시에서도 골목동네였기에 골목꽃이자 동네꽃이었습니다. 시골마을 들판에서는 들꽃이며, 도시자락 길바닥에서는 길꽃입니다. 종이로 만들면 종이꽃일 테고, 나무에는 나무꽃이요, 풀은 풀꽃입니다. 사람들 마음에는 마음꽃이 필까요. 사람들이 사랑을 나눈다면 사랑꽃이 흐드러질까요. 사람들이 서로를 믿거나 아끼면 믿음꽃이 소담스러울 수 있나요. 그렇지만 요즈음 도시내기들로서는 돈꽃과 이름꽃과 힘꽃에 자꾸 끄달릴밖에 없다고 느낍니다. 참꽃과 삶꽃과 말꽃과 꿈꽃을 사랑하면서 일꽃과 놀이꽃과 아이꽃과 살림꽃과 글꽃과 그림꽃을 피우기란 힘든 나날입니다. (4344.4.1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62] ‘뮤직 홈’과 ‘음악 감상’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지 않는 한국사람이기 때문에, 한국사람은 한국말 ‘노래’를 즐겨쓰지 못할 뿐 아니라, 널리 북돋우지 못합니다. ‘노래’하고 ‘音樂’이 다른 말일 수 없을 뿐 아니라, ‘music’은 ‘노래’를 가리키는 영어일 뿐입니다. 노래는 한국말이고, 음악은 중국말이며, 뮤직은 영어입니다. 이를 옳게 가누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사람 스스로 ‘노래’라는 낱말 쓰임새를 줄이거나 옭아맵니다. ‘노래듣기’는 못하고 ‘뮤직플레이어’만 하겠지만, ‘뮤직비디오’를 우리 말로 옮기려고 마음쓰지도 못합니다. ‘海外’는 일본사람이 쓰는 낱말이라고들 이야기하지만, ‘해외음악’ 같은 말마디도 ‘나라밖 노래’로 적을 줄 모릅니다. 스스로 생각할 줄 알 때에는 ‘최근 들은 음악’이라는 말마디 글자수를 살피며 ‘관심음악’을 ‘좋아하는 노래’쯤으로 이야기할 수 있었겠지요. (4344.4.1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61] 뮤직 컴필레이션

 “내가 들은 음악”을 모으거나 찾는 자리에 붙는 이름은 ‘뮤직’입니다. 우리한테는 ‘노래’라는 우리 말이 있지만, 노래를 하는 사람들은 정작 “저는 노래하는 사람입니다.”라 말하기보다 “저는 음악하는 사람입니다.”라 말하기를 좋아합니다. 스스로 ‘노래꾼’이나 ‘노래쟁이’라 말하는 사람은 아직 못 보았습니다. 다들 ‘음악인’이라 하거나 ‘뮤지션’이라 할 뿐입니다. 네이버라는 곳에서는 내가 좋아하는 노래를 그러모으는 자리에 “나만의 컴필레이션은 내 리스트에”라고 적바림합니다. ‘목록(目錄)’은 우리 말이 아니라 합니다. 그렇다고 이 낱말을 어찌저찌 가다듬는다든지 털어낸다든지 알맞고 좋은 우리 말을 새롭게 빚는다든지 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이제는 이 낱말이 우리 말이고 아니고를 떠나 아무렇지 않게 쓸 뿐 아니라, 아예 영어로 ‘리스트(list)’를 쓸 뿐입니다. 회사에서 ‘영업부’가 ‘마케팅부’로 바뀌듯, 그냥 한자에서 영어로 갈아타면 그만입니다. 곱게 쓸 우리 말이냐라든지, 바르게 쓸 우리 말이냐는 벌써 머나먼 나라 이야기입니다. (4344.4.5.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 우리말 살가이 살피기 ㉠ 띄어쓰기


 우리말에는 띄어쓰기가 없었습니다. 처음 훈민정음이 태어나서 훈민정음으로 쓴 책이든, 지난날 한문으로 쓴 책이든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굳이 띄어서 쓰지 않아도 되는 우리말이며 한문이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에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글을 읽기 몹시 어렵습니다. 지난날에는 따로 띄어서 쓰지 않더라도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가를 훤히 알 수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하나하나 잘 띄어서 쓰지 않으면 엉뚱한 이야기로 여길 수 있습니다.

 띄어쓰기는 알파벳을 쓰는 서양에서 쓰는 글법입니다. 한자를 쓰는 중국이라든지 가나를 쓰는 일본은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본책도 띄어쓰기를 아예 안 하지는 않으나, 굳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기도 합니다.

 글을 쓸 때에 띄어서 쓰는 까닭은, 띄어서 적지 않으면 무슨 글이고 무슨 뜻이며 무슨 얘기인지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말사랑벗들이 가만히 생각하면 어렵지 않게 깨달을 텐데, 요즈음 글을 쓰는 사람치고 쉽고 알맞으며 바르게 글을 쓰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갖은 영어에 한자 지식 자랑이 넘칩니다. 쉽고 바르게 썼더라도 모두 붙여서 적으면 읽기에 만만하지 않을 텐데, 쉽지도 않고 바르지도 않은데다가 갖가지 영어와 한자를 집어넣은 글일 때에는 띄어서 적지 않으면 읽기에 얼마나 힘들까요.

 그러니까, 띄어쓰기란, 읽기에 알맞거나 좋도록 띄자고 하는 글법이요, 서로서로 맞은편 사람을 헤아리는 글쓰기입니다. ‘글 읽는 사람’ 마음이 되어 쓰는 글법이에요.

 그런데 우리말 띄어쓰기는 뒤죽박죽입니다. 한 가지로 튼튼히 서지 못해요. 어느 때에는 붙여도 되고 어느 때에는 띄어도 된다고 하는 예외규정이 아주 많아요. 더구나, 정부 국립국어원에서 마련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낱말이면 붙이고, 이 사전에 안 실린 낱말이면 띄어야 한다는 틀까지 있습니다.

 한편, 국어사전에 안 실렸으나 ‘한자로 지은 낱말’은 붙여서 써도 괜찮다는 ‘말없는 예외규정’이 있어요. 이를테면 ‘百夢’이나 ‘千夢’은 국어사전에 안 실립니다. 그런데 이 한자말을 ‘띄어서 쓰라’ 하지 않아요. ‘百夢’이라면 백 가지 꿈이고, ‘千夢’이라면 천 가지 꿈일 테지요. 한자로 지은 이러한 낱말은 붙여서 쓰라 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꿈길’을 이야기하듯 ‘사진길’이나 ‘책길’이나 ‘마음길’이나 ‘사람길’이나 ‘자전거길’이나 ‘버스길’을 이야기하려고 하면, 이러한 낱말은 국어사전에 안 실렸으니 띄라고만 합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새롭게 일구거나 빚도록 도와주지 못하는 띄어쓰기인 셈입니다.

 띄어쓰기를 옳게 가다듬는 일이란 어려울 수 있으나, 아주 쉬울 수 있습니다. 국어사전에 부록으로 실리는 띄어쓰기 말법을 읽으면 되고, 정 모르겠으면 ‘내 글을 읽을 사람이 잘 알아보도록 알맞게 띄자’고 생각하면 됩니다.

 알고 보면, 신문기자이든 출판사 편집자이든 국어학자이든 빈틈없이 띄어쓰기를 맞추지는 못해요. 중·고등학교 국어교사나 대학교 국어학과 교수이든 띄어쓰기를 알뜰살뜰 여미지는 못합니다. 학자들조차 띄어쓰기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나머지 ‘늘 국어사전을 다시 들추고 규정을 거듭 읽으’면서 살펴야 한답니다.

 아무렇게나 띄거나 함부로 붙여서는 안 됩니다만, 글을 쓸 때에 띄어쓰기에 지나치게 매이지 않아야 한결 홀가분하면서 아름다이 내 생각을 펼칩니다. 사랑스러이 말하고 싶어 ‘사랑말’을 빚을 수 있고, ‘사랑편지’뿐 아니라 ‘사랑일기’를 쓸 수 있어요. 이러한 말마디를 내 나름대로 만들고 싶으면 얼마든지 붙여도 됩니다. ‘즐겨찾기’가 한 낱말이 되듯, 말사랑벗 스스로 즐기는 말삶을 차근차근 일구면서 좋은 새말을 ‘붙여쓰기’ 하면서 마련할 수 있어요.

 언제나 살아숨쉬는 말입니다. 말사랑벗부터 살아숨쉬는 고운 목숨입니다.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