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 92 | 93 | 94 | 95 | 9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책숲마실. 아이랑 놀려고 어버이가 된다

― 수원 〈마그앤그래〉

경기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177번길 90 104호

https://blog.naver.com/sogano

https://www.instagram.com/magandgra



  서울에 가는 길에 살짝 내려 보자고 생각합니다. 내처 서울까지 달리며 책읽기하고 글쓰기를 누릴 수 있지만, 모처럼 서울길을 가는 만큼 다른 고장 나들이까지 살풋 누려도 즐겁습니다. 길그림을 펴놓고 어느 고장에서 내릴까 하고 어림하다가 수원을 찍습니다. 수원에서 아직 찾아가지 못한 마을책집을 헤아리다가 〈마그앤그래〉를 콕 찍습니다. 저녁 일곱 시까지 서울로 들어가면 되니, 수원역에서 내려 책집까지 걸어가자면 한 시간 남짓 책을 볼 수 있으려나 싶습니다.


  애써 걸음하는데 고작 한 시간 남짓이라니 싶으나, 어쩌면 올 한 해에 꼭 한 걸음만 할 수 있는지 모르니, 이 한 해 한 걸음에 한 시간이라도 대단히 고마운 한때이리라 하고 마음을 고칩니다. 이제부터 동시쓰기입니다. 수원역에 닿아 걸어가서 만날 이쁜 책집을 마음에 그리면서 그곳 책집지기한테 드릴 동시를 기차에서 새로 씁니다.


  눈을 감습니다. 오늘 처음 만날 책집에 어떤 책이 있을는지 모릅니다. 책집지기 목소리도 모르고, 책집에 스미는 햇살이 어떠할는지도 모릅니다. 하나도 모르지만, 마음으로 문득 와닿는 소리가 있습니다. 이 소리를 손끝으로 옮겨 연필을 놀리니 어느덧 열여섯 줄짜리 새로운 동시 하나가 태어납니다. 동시 수첩에 먼저 잰글씨로 적은 뒤, 흰종이에 찬찬히 정갈글씨로 옮깁니다.


  수원역부터 걸어가도 될 만하지 싶은 길이라 여겼는데, 막상 걸어서 〈마그앤그래〉로 찾아가니 그다지 걸을 만하지는 않습니다. 아차 했지요. 여기는 시골이 아닌 도시인걸! 자동차가 끊임없이 달리는 널따란 찻길 옆인걸! 길그림만 펴놓고 보면 이곳에서 저곳으로 얼마쯤 되나 하는 생각만 할 뿐, 정작 좁다란 거님길을 지나는 동안 자동차가 얼마나 씽씽거리는가를 생각하지 않기 일쑤입니다. 다음에는 수원역부터 그냥 택시로 달려오자고 생각합니다.


  책집에 닿아 끌짐이며 등짐을 내려놓습니다. 먼저 바깥에서 햇볕을 쬐면서 이곳이 얼마나 볕바른가를 느낍니다. 안으로 들어갑니다. 한켠에 짐꾸러미를 몰아놓고서 슬금슬금 골마루를 걷습니다. 오늘 한 시간을 한 해로 여기며 누리기로 합니다. 《까마귀책》(마츠바라 하지메/김봄 옮김, ㅁㅅㄴ, 2018)이 재미나 보입니다. 이런 책을 쓴 분도 재미나고, 이런 책을 펴낸 곳도, 이런 책을 알아보면서 갖추는 책집지기도 재미납니다.


  《북한 여행 회화》(김준연·채유담, 온다프레스, 2019)를 집습니다. 첫머리는 톡톡 튀는구나 싶었는데, 뒤로 갈수록 이야기가 좀 느슨해지면서 샛길로 자꾸 빠집니다. 글쓴이 다른 이야기는 좀 접어두고서 ‘북녘말’ 이야기에 더 마음을 쏟으면 이 책이 더 돋보였을 텐데 싶습니다.


  《세상에 둘도 없는 반짝이 신발》(제인 고드윈 글·안나 워커 그림/신수진 옮김, 모래알, 2018)을 살핍니다. 우리 집 큰아이 여덟아홉 살 무렵 모습이 환하게 드러납니다. 그러나 우리 집 큰아이는 열한 살 무렵부터 ‘반짝이 신’을 더 찾지 않아요. 요새는 ‘새까만 신’만 뀁니다. ‘반짝이 신’도 한때이려나 싶다 보니, 아이들이 이 그림책을 재미나게 읽으려나 궁금하기도 합니다.


  《엄마도 행복한 놀이터》(이소영·이유진, 오마이북, 2017)는 바로 〈마그앤그래〉 책집지기님이 손수 쓴 책이더군요. 미처 몰랐습니다. 책집지기님이 밝히지 않으셨으면 모르는 채 지나갔겠네 싶었어요. 놀이 이야기를, 놀이터 이야기를, 같이 놀고 웃고 뛰면서 즐기는 삶 이야기를 다룬 책이 싱그럽습니다. 어른이 된 몸으로 사랑하는 짝꿍하고 아이를 낳아 ‘어버이’란 이름을 새로 얻는 까닭이라면, 자칫 잊거나 잃을 수 있는 놀이를 아이하고 새롭게 누리려는 뜻도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책마실을 마치고 서울로 일하러 갈 때입니다. 마침 오늘 이곳에서 얼추 스무 해 만에 이웃님을 만났습니다. 이웃님은 서울로 자가용을 몰고 가신답니다. 서울로 가시는 길에 제가 가야 할 곳하고 가까운 자리를 스쳐 지나간다고 하셔서, 얼결에 자가용을 얻어탑니다.


  어느 책을 만날는지 모르던 마실길이었지만, 새로운 책을 만났습니다. 누구를 만날는지 생각도 안 하던 책마실이었는데, 오랜 이웃님을 스쳤습니다. 새로 만나고 새삼스레 스친 살림결이 반짝반짝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집에서 살다 (2019.2.3.)

― 전남 순천 〈책방 심다〉 / 061-741-4792

전남 순천시 역전2길 10

 https://www.instagram.com/simdabooks

 https://www.facebook.com/thesimda



  혼자서 순천마실을 하기도 하지만, 아이들한테 슬쩍 묻기도 합니다. “순천으로 책집마실 같이 가겠니?” 아이들은 가만히 생각하면서 말한다. “으음, 오늘은 안 갈래요. 아버지 혼자 다녀오셔요.”라든지 “음음, 그래요. 같이 가요.” 하고.


  두 아이하고 함께 순천마실을 합니다. 먼저 이모저모 들를 곳에 들릅니다. 고흥에 없는 살림거리를 장만하고서 도시락을 먹고, 느긋하게 걸어서 〈책방 심다〉로 찾아갑니다. 낙안읍성 곁으로 옮긴 〈형설서점〉을 가면 아이들이 더 좋아하는데, 새터로 가는 길은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형설서점〉 새터는 폐교에 깃들었기에 골마루도 길고 운동장도 있어서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며 하루를 즐길 수 있어요.


  〈책방 심다〉도 새로 자리잡은 곳은 이모저모 재미있습니다. 2층이 있고, 계단이 있지요. 조그마한 마당이 있고, 알뜰한 전시장도 있어요. 죽 둘러보다가 다리가 아프면 책상맡에 앉아서 그림을 그리기도 합니다. 책집 한켠에 있는 책걸상이란 얼마나 대단한가 하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책걸상을 놓는 만큼 책꽂이를 덜어야 하지만, 책꽂이를 덜고서 책걸상을 놓기에 책집이 한결 빛나는구나 싶어요.


  생각해 보면 그래요. 지난날에는 어느 책집이고 굳이 책걸상을 안 놓았습니다. 걸상 하나 없는 책집이 아주 많았어요. 지난날에는 책집에 왜 걸상을 안 놓았을까요? ‘책집에 와서 책을 안 사고, 그냥 읽고 가는 사람’을 줄이려고 걸상을 안 놓았지요.


  그러나 책을 즐기는 사람은 걸상이 없어도 꿋꿋합니다. 선 채로 한나절을 책읽기를 즐길 수 있어요. 책손이란 대단합니다. 마음을 사로잡는 책을 손에 쥐면, 한나절을 꼼짝않고 한곳에 서더라도 다리가 아픈 줄을 몰라요. 아름다운 이야기에 푹 잠기면서 오늘 이곳에 있는 몸을 까맣게 잊습니다. 배고픈 줄도 잊어요.


  《한 달 책방》(김정현, 심다, 2018)은 책집지기로 ‘한 달’을 살아낸 분이 단출하게 적어낸 이야기입니다. ‘고작 한 달을 살고서?’라 물을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바로 한 달’을 살아낸 이야기이니, 이렇게 단출하게 묶을 만합니다. 책집지기 한 달 이야기는 한 달을 살아낸 만큼 값있으면서 뜻있어요.


  《푸른 용과 강과 착한 물고기들의 노래》(곽재구, 문학동네, 2019)를 고릅니다. 순천을 사랑해 마지않는 목소리를 시집 구석구석에서 느낍니다. 곽재구 님은 순천 텃사람이 아니라지만, 꼭 텃사람이어야 순천사랑을 그려내지 않아요. 사랑할 사람이 그려내는 사랑입니다.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순천 할머니, 남해의봄날, 2019)를 집어듭니다. 순천 할머니 이야기를 통영에 있는 출판사에서 펴냈어요. 재미난 흐름입니다. 두 고장이 책 하나로 만났어요. 할머니는 전라도하고 경상도를 책으로 이었어요. 이러면서 생각합니다. 순천에 듬직한 출판사가 새롭게 서서 순천 할머니하고 할아버지 이야기를 살뜰히 담아낼 수 있어도 좋겠다고.


  《토요일의 기차》(제르마노 쥘로·알베르틴/이주희 옮김, 문학동네, 2013)를 작은아이가 고릅니다. 기차가 흐르는 그림책을 오래오래 들여다봅니다. 네가 푹 빠지는 그림책이라면 장만해야지, 하고서 같이 값을 치릅니다. 기차는 토요일에도 달리고, 월요일에도 수요일에도 달립니다. 어디로든, 꿈을 그리면서, 기쁘게 노래하면서 하늘을 훨훨 날듯이 달립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이곳은 이곳이다

― 전남 순천 〈골목책방 서성이다〉

 전남 순천시 향교길 39

 061.751.1237.

 https://www.instagram.com/walking_with_book/



  〈골목책방 서성이다〉를 두걸음째 찾아가면서 생각합니다. 이곳은 이곳입니다. 이곳은 다른 곳이 아닙니다. 이곳은 ‘다른 곳을 이어서’ 하는 곳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그보다는 ‘이곳에서 이 나름대로 새롭게 길을 가려는 곳’이라고 여겨야지 싶어요.


  그렇지만 두걸음째로 딛는 마을책집에서 문득문득 ‘예전에 이곳에서 책집을 하던 분들은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할까?’ 하는 생각이 가시지 않습니다. 문득문득 드는 이런 생각을 내려놓고서 책을 보기로 합니다. 오늘 이곳에 있는 ‘오늘책’을 바라보면서 마음에 담기로 합니다.


  저는 어느 책집에 가든 ‘내가 읽을 책’을 살펴서 고릅니다. 제가 고르는 책이 어린이책이든 그림책이든 ‘아이한테만 읽히려고 고르는 책’은 없습니다. 아이에 앞서 제가 먼저 찬찬히 읽을 책이고, 저부터 가만히 누리고 나서야 아이한테 건넬 수 있는 어린이책이요 그림책입니다.


  《지렁이가 세균 아저씨를 꿀꺽 삼키면》(에릭 바튀/박나리 옮김, 책속물고기, 2016)을 고릅니다. 에릭 바튀 님이 빚은 다른 그림책을 즐겁게 읽은 터라, 이런 그림책이 있었구나 하고 반기면서 고릅니다. 다만 아이들한테 이 그림책을 읽히자면 덧말을 요모조모 붙여서 들려주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세균’이란 ‘나쁜 것’이 아니거든요. 또 ‘좋고 나쁜’ 것이 없을 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몸하고 마음을 가꾸는 길에서 ‘무엇’을 살펴서 몸으로 받아들이고 마음으로 지을 만한가를 같이 이야기해야겠다고 여깁니다.


  《타인을 안다는 착각》(요로 다케시·나코시 야스후미/지비원 옮김, 휴, 2018)을 집어듭니다. 책이름이 줄거리를 모조리 밝힙니다. 참말로 우리는 ‘내가 너를 안다는 엉뚱한 생각’이 되곤 합니다. 내가 너를 어떻게 알까요? 네가 나를 어떻게 아는가요?


  우리는 서로 모릅니다. 서로 모르니 쳐다봅니다. 서로 모르니 말을 섞습니다. 서로 모르니 글을 쓰고, 책을 읽습니다. 서로 모르니 만납니다. 서로 모르니 함께 살림을 짓는 보금자리를 꾸립니다.


  자, 생각해 봐요. 우리가 서로 안다면 구태여 말을 할 까닭이 없어요. 서로 아는데 뭐 하러 책을 쓰고 엮어서 읽을까요? 서로 안다면 한 집에 같이 살지 않아도 사랑이 어떻게 피어나서 흐르는가를 참말로 잘 알 테니,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딴짓을 할 까닭도 없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서로 모르는 줄 알면서 살아야지 싶어요. 저는 이 마을책집을 모릅니다. 그래서 이 마을책집으로 찾아가서 한나절을 누리면서 아직 제가 모르는 책을 살펴서 아직 모르는 길을 헤아립니다. 저는 아직 모르는 것투성이라,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보자는 마음으로 바깥마실도 하고 집안일도 합니다. 아이들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가르친다기보다, 어버이로서 모르는 것투성이인 삶을 어떻게 다스릴 적에 사랑이 되려나 하고 생각합니다.


  《까만 아이》(세바스티엥 조아니에·다니엘라 티에니/김주열 옮김, 산하, 2014)를 고릅니다. 이 책은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서 이내 다 읽습니다. 겉보기로는 까만 아이인데, 속으로 보면 어떤 빛일까요? 겉보기로 하얀 아이라면, 파란 아이나 푸른 아이라면, 이 아이들은 속눈으로 어떤 빛을 느낄 만할까요?


  책손한테 책집은 낯선 곳입니다. 책집지기로서 책손도 낯선 사람입니다. 책손은 어떤 책을 오늘 만날는지 까맣게 모르는 채 책집마실을 합니다. 책집지기는 어떤 책손이 어떤 책을 만나려고 이곳까지 그렇게 품하고 돈하고 하루를 들여서 찾아오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알지 못하는 책손하고 이어진 끈을 알아보고 싶어서 책집 한켠을 쓸고닦으면서 조용히 기다립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살짝 거쳐도 (2019.6.7.)

―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 / 032.766.9523



  저한테 책집은 책만 있는 집이 아닙니다. 책이 있어 포근한 집이요, 책이랑 같이 있으면서 마음을 넉넉히 추스르는 집입니다. 그런데 여태 어느 책집에 살짝 들렀다 하더라도 빈손으로 나간 일이 없습니다. 아주 짧게 1분만 들렀다 가더라도 한두 자락은 손에 쥐고서야 돌아섭니다.


  굳이 이러지 않아도 될 수 있으나, 책집에 깃들면 저를 반가이 바라보는 뭇책 눈길을 느껴요. 그렇다고 모든 책을 다 살필 수는 없어, 뭇책한테 ‘너희를 모두 쓰다듬으면서 읽고 가지는 못한단다. 너그러이 헤아려 주렴’ 하고 속삭여요. 이러면서도 두 자락쯤은 손에 쥐려 합니다.


  그림책 《Arthus's perfect christmas》(Marc Brown, little brown, 2000)를 집어듭니다. 곁님이 아이들하고 한동안 같이 보던 만화영화를 담아내었어요. ‘아서’ 그림책이 있는 줄 알았되, 따로 장만하자는 생각은 못했습니다. 뜻밖에 코앞에서 보았어요. 딱 1∼2분, 또는 3∼4분쯤 머물 수 있던 헌책집 〈아벨서점〉에서 이 그림책을 만나니 시골집 곁님하고 아이들이 먼저 떠오릅니다.


  아서 그림책 옆에 《Clifford's good deed》(Norman Bridwell, scholastic, 1975)가 꽂혔어요. 노만 브리드웰 님 ‘크고 빨간 개’ 꾸러미 가운데 하나입니다. 클리포드 이야기가 흐르는 얇고 가볍지만 속은 알차고 두툼한 사랑스러운 그림책이 보이면 언제나 기쁘게 집어들어요.


  예전에는 클리포드 그림책을 보기 매우 어려웠는데, 나날이 ‘영어 그림책’을 읽히는 분이 늘고, 또 영어 그림책 가운데 ‘아직 한국에는 안 알려지거나 덜 알려졌어도 세계 명작’으로 꼽히는 그림책을 읽히며 영어를 가르치는 분이 늘기에, 요새는 헌책집에서 클리포드 그림책을 드문드문 만납니다.


  책집하고 더없이 먼 두멧시골에서 살다 보니 인천까지 마실을 오기는 만만하지 않습니다. 한 해에 한 걸음을 하기도 빠듯하달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 지나고 이튿날에는 배다리 책방골목에 사진을 걸고, 이튿날 아침에 책집 아주머니한테 잘 계시라고 말씀을 여쭈고 돌아갈 테니, 짧은 틈이라도 이곳에서 몇 가지 책을 더 볼 수 있겠거니 생각합니다. 영어 그림책 두 자락으로 마음이 부풉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숲마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헌책방 나들이] 이름이던 게시판하고

[책방마실] 이름이던 게시판을

하나로 묶으려 하다가

그만 [헌책방 나들이] 게시판을

통째로 날렸습니다.


딱 하나를 잘못 누르면서

그동안 [헌책방 나들이]에 올린

아마 271꼭지에 이르는

헌책방 이야기가

갑자기 사라졌어요.


일부러 지우지는 않았습니다.

단추를 잘못 눌러서

사라졌습니다.


글이 통째로 사라져 버렸어도

그 글에 깃든 마음이나

이 나라 여러 책집이 걸어온 자취와

이 마음하고 자취를 그리는 숨결은

고스란히 흐르겠지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9-06-08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째 이런일이...알라딘에 말하면 아마 다시 백업되지 않을까 싶어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 92 | 93 | 94 | 95 | 9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