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3.7.


《누워서 부르는 사랑노래》

김해화 글, 실천문학사, 2000.8.1.



  완주군 삼례면에서 사는 이웃님이 마실을 오셨다. 책숲집에서 이야기를 하다가 팔영산에 함께 오른다. 언제나처럼 고무신차림으로 간다. 북한산 인왕산 한라산도 맨발 고무신으로 올랐던 터라 팔영산도 고무신으로 신나게 오른다. 재미있네. 아이들이 조금 더 크면 다 같이 멧골타기를 누리겠구나 싶다. 엊저녁에 한달음에 시집 《누워서 부르는 사랑노래》를 읽었고, 어느새 판이 끊어지고 만 이 시집을 쓴 김해화 님을 돌아본다. 요즈막에 말밥에 오르는 En시인을 떠올리면 참 멋진 김해화 시인이 아닌가 싶다. 교과서에서 En시인 글을 덜어내기로 했다면 김해화 시인이 쓴 글을 실으면 무척 좋겠다고 생각한다. 땀방울마다 꽃같은 사랑을 실어서 삶을 노래한 글이 아프면서 아름답다. 사랑노래란 말 그대로 사랑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다른 성별을 갖고 놀거나 주무르거나 깎아내리는 몸짓이란 바보나 얼간이요, 이를 문학이나 예술이라 할 수 없다. 참사랑으로 슬기롭게 어깨동무하는 길을 걸을 때라야 비로소 문학이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삼례 이웃님하고 이야기를 하다가 자동차를 얻어타고서 전주마실까지 한다. 저녁에는 전주 마을책방 〈조지 오웰의 혜안〉에 들른다. 이곳이 서학동에 있었네. 서학동이란 대단하네. 밤에는 눈이 온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3.6.


《나라는 부유한데 왜 국민은 불행할까?》

오건호·남재욱·김종명·최창우·홍순탁 글, 철수와영희, 2018.2.28.



  한국은 아직 아름나라가 아니다. 아름나라가 되려면 한참 멀지만, 천천히 아름나라로 나아가지 싶다. 요 한 달 남짓 여러모로 불거진 ‘권력자 막짓’을 돌아보면 잘 느낄 만하다. 이제는 모든 권력자 막짓을 누구나 말할 수 있는 때에 이른다. 지난날에는 “저 사람이 막짓을 끔찍하게 저질렀어요.” 하고 털어놓을 적에 으레 “저 사람이 저렇게 민주와 평화와 진보에 앞장서는데 왜 함부로 깎아내리려고 하나요?” 하고 대꾸하기 일쑤였다. 그래서 막짓에 생채기를 입은 이들은 입을 꾹 다물며 속울음을 삼켜야 했다. 이제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입 진보·글 좌파’는 진보도 좌파도 아니다. 이들은 민주나 평화나 평등하고도 동떨어진다. 입이나 글로만 떠벌이는 이는 몰아낼 때가 되었다. 《나라는 부유한데 왜 국민은 불행할까?》를 읽으며 내내 이 생각이 든다. 그래, 이 나라는 가난하지 않다. 이 나라는 돈이 없지 않다. 중앙정부도 지역정부도 엉뚱한 데에 돈을 들이붓거나 빼돌리니 복지가 엉성하다. 대통령이나 군수 아닌 우리 스스로 나라지기가 되어 우리 살림을 우리가 스스로 가꾸도록 목소리를 내고 움직일 줄 알아야지 싶다. 우리 스스로 슬기롭지 않으면 온갖 갈래 권력자가 우리를 짓누르면서 구워삶고 말리라.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3.5.


《히노코 4》

츠다 마사미 글·그림/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8.25.



  우체국에 가서 책을 부친다. 빗길을 걸어 즐겁게 다닌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시골버스 일꾼이 구시렁댄다. 시골 할매나 할배한테도, 시골 어린이나 푸름이한테도, 게다가 조용히 단추를 눌러 짐을 꾸려서 내리는 나한테도, 참말 이 시골버스에 탄 모든 사람한테 구시렁댄다. 이이 참말 삶이 힘든가 보네. 얼마나 시골버스 일꾼 노릇이 힘들면 이 시골버스에 타고 내리는 모든 사람한테 구시렁대는 말을 끝없이 늘어놓을까. 집으로 돌아오니 곁님이 케익을 굽는다! 곁님한테서 케익굽기를 배웠으나 어느새 잊었다. 오랫동안 안 하면 다 잊네. 다시 배울 노릇이다. 따끈따끈한 케익이 더 맛있는 줄 알지만 그리 배고프지 않아 나중에 먹기로 한다. 아이들은 신난다. 집케익을 먹으면 바깥케익은 너무 달고 기름져서 도무지 못 먹는다. 느긋이 쉬며 만화책 《히노코》 2∼4권을 읽는다. 1권도 주문했으나 안 오네. 5권은 언제 나올는지 까마득하네. 글씨에 힘을 불어넣어 새 숨결로 태어나도록 한다는 히노코. 거짓말이 아니라고 느낀다. 우리가 쓰는 글에도 우리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히노코》를 읽으며 일본 역사를 새삼스레 돌아본다. 일본에서 ‘본토’라는 말을 으레 쓰는데, 일본에서도 이웃 고장은 모두 ‘식민지’였지. 그렇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3.4.


《노견 만세》

진 웨인가튼 글·마이클 윌리엄슨 사진/이보미 옮김, 책공장더불어, 2018.2.25.



  우리 집 두 아이는 가끔 마을개 한 마리를 떠올린다. 어떤 마을개인가 하면, 이 시골마을에 버려진 개이다. 무척 나이가 많아 보이던 개로, 어느 날 갑자기 우리 마을에 나타났다. 아마 다른 도시에서 사랑받으며 살던 개이지 싶은데, 나이가 든 뒤로 버려졌구나 싶었다. 우리 마을뿐 아니라 이웃 마을에서도 복슬복슬 귀염개를 아무도 안 기르니까 말이다. 이 버려진 늙은 개는 먹이를 얻지 못한 채 며칠을 떠돌다가 우리 마을까지 왔지 싶은데, 식은밥에 된장국을 따뜻하게 말아서 내주니 한 점을 안 남기고 비웠다. 이렇게 얼마쯤 함께 살았을까. 떠돌이개는 우리 집에서 먹이를 얻은 뒤에는 마을을 휘 둘러보며 놀았는데 어느 날 ‘떠돌이짐승을 잡아서 보신탕집에 파는 짐차’에 붙들려 사라졌다. “염소 삽니다 ……” 하고 방송하는 짐차가 우리 마을을 지나갈 적에 떠돌이개가 안 보여서 두리번거렸으나 이미 늦은 터. 사진책 《노견 만세》를 받아서 펼치니 마을개, 떠돌이개, 버림개, 귀염개, 늙은개, 복슬복슬 커다란 흰개가 떠오른다. 그 흰둥이는 틀림없이 고운 봄꽃으로 새롭게 태어나서 이 땅 어느 한켠을 환하게 비추면서 조용히 노래하리라. 《노견 만세》에 흐르는 사진 하나하나가 이쁘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3.3.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이오덕 글, 양철북, 2018.2.2.



  아이들은 앞으로 자라서 어떤 어른이 되면 좋을까? 아이들은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면 좋을까, 아니면 이름을 날리거나 돈을 잘 벌면 좋을까? 어버이 된 사람으로서 아이들 앞날을 어떻게 그릴 만한가? 이오덕 어른이 멧골 아이 글을 갈무리한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는 1979년에 처음 나왔으나, 그때 이 책을 펴낸 청년사는 《일하는 아이들》이 불티나게 팔리자 팔림새를 속였고, 이를 둘레에서 알려주어 이오덕 어른이 출판사에 몇 차례 따지다가 도무지 안 되어 그곳 모든 책을 그만 내도록 했다. 그 뒤 2005년에는 보리 출판사에서 유족 허락을 안 받고 이 책을 다시 내놓았다. 다들 왜 그랬을까? 돈을 많이 거머쥐고 싶기 때문에? 출판사 이름을 높이고 싶기 때문에? 이오덕 어른은 1979년에는 ‘농부’라는 낡은 이름을 미처 못 느낀 바람에 그냥 냈으나 나중에는 ‘농사꾼’으로 고치기를 바랐다. 2001년에 써낸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를 보면 잘 알 만하다. 2018년에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가 새로 나오는데 ‘농부’를 ‘농사꾼’으로 바로잡지 못했네. 그래도 이 책이 다시 나오니 반갑다. 애틋하고 그리운 시골지기 아이들, 두멧골 노래를 가만히 되읽는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