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94 봐주다



  우리말 ‘봐주다’는 한자말로 치자면 ‘용서 + 조력’입니다. 잘못이나 허물을 너그러이 토닥이거나 감싸고, 어렵거나 힘들다고 느끼기에 돕거나 알려줍니다. 이 ‘봐주다’는 ‘보아주다’를 줄인 말씨요, ‘보다 + 주다’입니다. “보면서 주다”인 셈이에요. ‘보다’는 ‘돌보다·돌아보다’하고 맞물리고, ‘주다’는 ‘내주다·해주다’하고 맞닿으니, ‘봐주다·보아주다’는 어마어마한 숨빛을 품었다고 할 만합니다. 남이 나를 보아줄 수 있습니다만,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보아줄 노릇이에요. 우리 넋이 어떠한가를 스스로 보고, 우리 마음·꿈·사랑이 어떠한지를 스스로 알아보아야지요. 낱말 하나를 가만히 보기에 문득 뜻이며 쓰임이며 빛을 시나브로 깨닫습니다. 외워서는 뜻도 쓰임도 빛을 못 깨달아요. 언제나 물끄러미 보면서 익힙니다. 늘 차분히 보다가 차근차근 맞아들입니다. 봐주는 마음이란, 사랑으로 품겠다는 눈빛이지 싶습니다. 보아주는 손길이란, 사랑스레 토닥이거나 달래면서 함께하겠다는 몸빛이지 싶어요. 늘 쓰는 수수한 낱말부터 보아주기를 바라요.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말씨부터 봐주기를 바랍니다.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는 낱말을 가만히 보고, 서로 이야기꽃을 지필 말씨를 즐겁게 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93 의



  국립국어원 낱말책을 뒤적이면 ‘-의’를 토씨로 다루고 자그마치 스물한 가지 뜻풀이를 답니다만, 1920년 조선총독부 《조선어사전》에는 ‘-의’가 없습니다. 1938년 문세영 님 《조선어사전》에 비로소 ‘-의’를 넣고, 한글학회 1957년 《큰사전》에 ‘-의’ 풀이를 달지만, 최현배 님이 영어 말틀에 맞춰 우리말 매김자리(소유격)로 ‘-의’를 다룬 뒤로 “나의 집”하고 “나의 원하는 것” 같은 보기글이 퍼지면서 엇나갑니다. “우리 집”하고 “내가 바라는 길”인데 말이지요. 엉뚱히 퍼진 토씨 ‘-의’를 일부러 손질해 보아도 좋습니다만, 이보다는 “먼먼 옛날, 글이란 없던 때,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즐겁게 살림하면서 보금자리를 돌보고 하루를 손수 짓던 사람들은 어떻게 말하면서 이야기를 들려주었을까” 하고 생각해 보면 한결 부드럽고 쉽게 실마리를 찾을 만합니다. 참말로 “글 없이 말로만 살던 무렵 살림꾼 사랑스런 눈빛”으로는 ‘-의’가 불거질 일이 없습니다. 어제·오늘·모레를 잇는 낱말책은 예나 이제나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면서 삶을 짓는 슬기로운 살림길을 말씨 하나에 얹어 징검다리를 놓습니다. 영어나 일본말처럼 우리말을 써야 할 까닭이 없어요. 언제나 즐겁게 노래하면서 새롭게 찾고 가꿀 말씨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92 고삭부리



  어느 분은 저더러 뜻(사명)이 있어 이 일(말꽃짓기)을 한다고 말씀합니다. 그리 틀리지 않은 말입니다. 저는 고삭부리에 말더듬이에 혀짤배기로 태어났고, 어릴 적에 말소리가 새서 놀림받았고 노래를 못 부른다고 또 놀림받았어요. 다만 배움터 길잡이(교사)가 웃거나 나무랄 적에 동무가 나란히 놀렸고, 마음으로 아끼는 여러 동무가 바람막이가 되어 이런 저를 지켜주곤 했습니다. ‘고삭부리’란 낱말을 썼는데, 이 낱말은 ‘골골대다·삭다’하고 얽힌 낱말입니다. 둘레 어른은 흔히 “허약 체질”이란 한자말을 썼어요. 저는 한자말을 잘 안 쓰는데, 어릴 적에 읽기를 시키면 소리를 내기 어려운 한자말이 참 많았어요. 열 살에 마을 할배한테서 천자문을 배우고서 옥편이랑 낱말책을 뒤지면서 소리를 내기 쉬운 말씨를 찾다보니 ‘오랜 우리말’은 어린이가 소리내기에 알맞고 부드럽더군요. 좋거나 나쁜 말은 따로 없습니다만, 모든 말은 삶에서 비롯하고, 삶은 우리 넋을 비춰요.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본 수수한 어른들은 아이들이 쉽게 익히고 소리낼 만한 낱말을 물려주었겠지요? 말밑을 찬찬히 캐노라면 “좋은 삶도 나쁜 삶도 없”이 오직 우리 삶을 담는 말이 있을 뿐입니다. 툭하면 앓으면서 포근히 나눌 말을 더 찾아보았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91 민주



  한자말 ‘민주’에서 ‘민(民)’은 ‘종(노예)’을 가리켜요. ‘민주’는 “종으로 억눌린 사람이 떨쳐일어나 스스로 서는 길”을 뜻해요. 이 대목을 안 읽거나 안 헤아리면서 허울만 ‘민주’로 외친다면, ‘종살이’에서 맴도는 쳇바퀴로 그칩니다. 한자말 ‘국민’에서 ‘민(民) = 종(노예)’인데, ‘국(國)’은 “그냥 ‘나라’가 아닌, 이웃나라를 총칼로 짓밟아 차지한 우두머리 나라”를 가리킵니다. 일본스런 한자말 ‘국민’은 “일본 우두머리를 섬기는 종으로 지낼 사람들”이란 뜻입니다. 얼핏 ‘나라사람’을 가리킨다고 잘못 알기 쉬운 ‘국민’입니다. 말결을 제대로 안 짚으면 우두머리 채찍질에 휘둘립니다. 우리는 “무늬만 한글인 말”이 아니라 “알맹이가 아름사랑인 말”을 살필 노릇입니다. 겉만 핥아서는 배부르지 않아요. 속알을 누려야 배부릅니다. 겉발림말은 참빛하고 등질 뿐 아니라, 참빛을 가립니다. 속사랑말일 적에 참빛을 스스로 일으키는 슬기로운 살림길을 짓는 밑돌로 서요. 듣기 좋은 말이 아닌, 언제나 사랑인 말을 생각해서 쓰기에 우리말이 무럭무럭 자랍니다. 듣기 좋게 달래거나 나무라면 아이들 마음이 꺾이거나 밟혀요. 언제나 사랑으로 아이들을 마주하면서 어른부터 스스로 참사랑말을 펼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90 무늬만 한글



  “무늬만 한글”인 말이 넘칩니다. 우리말인 척하지만 정작 우리말이 아닌 일본말씨·옮김말씨(번역체)가 어마어마하게 퍼집니다. 이런 터전이기에, 길들거나 익숙한 일본말씨·옮김말씨를 그대로 써도 안 나쁘지 않느냐고 묻더군요. 다들 일본말씨·옮김말씨를 쓴다면 이런 말씨를 우리말씨로 여겨야 하지 않느냐고도 따지더군요. 그러나 후박을 후박 아닌 호박이라 말하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후박나무’란 이름을 ‘호박나무’로 바꿀 까닭이 없습니다. 울릉섬 ‘후박엿’을 사람들이 ‘호박엿’으로 잘못 알거든요. 자, “잘 됐으면 좋겠어요”는 무늬만 한글입니다. “잘 되면 좋겠어요”가 우리말씨입니다. 예부터 말은 삶을 짓는 어버이가 언제나 살림빛으로 아이한테 물려주었기에 “무늬만 한글인 틀린말씨”는 아예 없었으나, 오늘날은 배움터(학교)에서 ‘학습도구·시험공부’로 외우라고 길들이기에 그만 “무늬만 한글인 바깥말씨”가 잔뜩 불거져요. 이 대목을 짚는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하고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하고 《읽는 우리말 사전 3》을 썼습니다. 이러한 곁책을 읽되, ‘살림빛 짓는 어진 어른’이란 마음을 스스로 밝혀, 누구나 다 다른 삶터에서 삶말을 깨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