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직 2021.12.16.나무.



바꾸려 하지 않기에 안 바뀔는지 모르지만, 아직 바뀔 때가 아니라서 ‘그 모습’을 더더더 보고 느끼고 생각해야 하기도 해. ‘그 모습’을 더는 보기 싫다고 여기기에 ‘더더’ 그 모습을 보아야 하기도 하고, ‘그 모습’이 보기 싫은데 왜 자꾸 더 보아야 하느냐며 더 싫기도 하지? 그래, 더 싫으니 ‘그 모습’을 더 보아야 한단다. 남이 치워 주지 않거든. 네가 ‘그 모습이 싫다’는 마음을 씻어서 녹이고 없애야 하거든. ‘없앤다’고 했는데, 네 마음에 ‘그 모습이 싫다’가 아닌 ‘나는 이 모습을 그린다’고 하는 생각이 가만히 맑게 떠오르면 된단다. 온마음을 다하여 보고 느끼고 생각할 모습은 ‘네(내)가 스스로 그리는 사랑’ 하나야. 사랑을 그리지 않는 동안에는 ‘네(내)가 싫어하는 모습’을 잔뜩 본단다. 네(내)가 바라지 않는다고 여기는 일이 늘 곁에서 자꾸 불거지지. 왜 그러겠니? 너 스스로 사랑이 아닌걸. 너 스스로 사랑일 적에는 너 스스로 바라는 모습으로 둘러싸일 뿐 아니라, 너 스스로 바라는 숨결이 되어 ‘모든 것’을 네 사랑으로 녹여서 새롭게 깨우지. 왜 아직 사랑이 아닌지를 생각하렴. 왜 스스로 사랑에 온마음을 안 쏟는지 느끼렴. 네가 ‘싫다는 그 모습’을 생각하느라 그만 네 길을 건너뛰거나 지나치려 하지 않았는가 하고 돌아보렴. 늘 차근차근 간단다. 늘 하나씩 한단다. 너희가 밥을 짓는 길도, 빨래를 해서 옷을 입는 길도, 바느질이나 뜨개질도, 씨앗을 심고 나무를 가꾸는 길도, 언제나 하나씩 하지. 건너뛰어도 되겠니? ‘라’를 쓸 적에 ‘ㄹ’을 건너뛰고 ‘ㅏ’만 적어도 되니? 더디거나 느린 일이란 없어. 늘 가야 할 때에 맞게 가고, 가야 할 곳에 맞게 간단다. 이 길을 그저 웃으면서 바라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바보 2021.12.15.물.



수컷이 바보라면 암컷이 바보란 뜻이고, 암컷이 바보라면 수컷이 바보란 뜻일까? 누가 바보인 줄 누가 알까? 바보스럽지 않은 길은 누가 알고 어떻게 짚어 줄까? 흐름을 모르기에 바보일까? 흐름을 알기에 바보가 아닐까? 같은 짓을 되풀이하니 바보로 여기기도 하는데, ‘그 같은 짓’을 어떤 마음으로 하는지 얼마나 바라보니? 바보를 깨우는 길은 뭘까? “네가 하는 짓이 바로 바보스럽단다.” 하고 말하면 눈을 뜰까? 아마 이 말에 눈을 뜨자면, 바보짓을 1억×1억 벌을 하고서도 모자라겠지. 달래든 다그치든 바보는 눈뜨지 않아. 포근히 품어서 풀어줄 적에 바보가 눈뜨지. ‘아직도 바보’인 줄 알기에, 또는 ‘이제 바보를 끝내’려고, 다시 바보짓을 하기도 한단다. 잘 보렴. 너희가 몸뚱이라는 ‘살옷’을 입은 오늘이야말로 바보짓 아닐까? 그런데 너희는 이 바보짓을 하지. 왜 그럴까? 바보짓은 깨부술 수 없고, 바보를 죽일 수 없단다. 깨거나 죽이면 그만큼 새로 나거든. 오직 사랑으로 풀고 녹일 적에 눈을 떠. 늘 사랑일 적에 깨어나지. 허튼 꿈에 스스로 가둔 사람은 이 허튼 꿈에서 깨어날 생각이 없어. 옆에서 온갖 얘기를 들려주어 본들, 바보같은 잔소리에 그치지. 눈뜨거나 깨어나는 사랑은 스스로 샘솟을 뿐이란다. 이 살옷을 입은 몸으로 온갖 흔한 일을 하는 참으로 작은 삶을 보내는 자리에서 하나부터 열어가지. ‘탁 틔운 하늘에 가만히 솟아 온누리를 따스히 비추는 해’ 같은 마음하고 눈빛일 적에 스스로 눈을 뜨고 일어난단다. 어떤 ‘옷(수컷·암컷)’을 입었든 스스로 사랑인 줄 보렴. 스스로 빛나는 줄 보렴. 스스로 부르는 노래를 듣고, 스스로 어깻짓하는 춤을 보렴. 노래하고 춤추었으면 사르르 물러가서 자면 돼. 일하고 놀고 이야기하고 쉬는 사이에 스스로 빛나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재미 2021.12.14.불.



재미있지 않니? 손을 씻으려고 꼭지를 틀었더니 위쪽에서 솨아아 물이 쏟아지면? “아, 머리 좀 감으라는 뜻이구만?” 하고 여길 수 있니? “아하, 옷 좀 갈아입고 씻으란 뜻이네?” 하고 볼 수 있니? “이크, 아까 제대로 안 씻어서 새로 씻어야 하는구낭?” 하고 느낄 수 있어? 배고픈데 밥이 없으면 재미있지 않아? 너는 “밥이 없다니!” 하고 버럭할 수 있어. 전화를 걸어 밥을 시킬 수 있어. “그럼 밥을 할까?” 하면서 콧노래를 부를 수 있어. “밥이 없구나. 그러면 실컷 굶어 보자!” 하면서 기쁘게 몸을 다스릴 수 있어. 언제 어느 곳에 있더라도 마음으로 그리는 대로 나아간단다. 깨닫는 길을 바라면 빨래하고 밥하고 치우면서 깨달아. 툴툴대는 길을 바라면 눈앞에 마주하는 모든 일에 골을 부리면서 벌컥·왈칵·화르르·바르르·부들부들…… 신나게 불태울 수 있어. 너는 너를 보려고 ‘그 몸’을 입고 태어났어. 너는 너를 ‘보아주(봐주)려고’ 태어났어. 네가 너를 봐주지 않는데, 누가 너를 봐줄까? 네가 너를 보며 눈을 홉뜨거나 치켜뜨는데 누가 너를 보며 웃을까? 네가 너를 보며 거친말·막말 잔뜩 쏘아붙이는데 누가 너를 폭 안을까? 부글부글 끓어오른다면 잎물(차)을 우려서 마시렴. 활활 타오른다면 고구마를 놓아 구워서 먹으렴. 차갑게 얼어붙는다면 물을 얼려 여름을 식히렴. 네가 하면 돼. 네가 가면 돼. 네가 일어나면 돼. 네가 그리고 말하고 짓고 가꾸고 나누면 돼. 네 손은 네 입에서 ‘하자!’나 ‘해볼까?’ 하는 말이 터지기를 기다린단다. 아들은 아름답게, 딸은 따사롭게 그리렴. 둘은 아름답고 따사롭게 만나기에 즐거이 사랑으로 간단다. 스스로 찾는 아름다움으로, 스스로 짓는 따사로움으로, 스스로 노는 마음으로 가렴. 다 재미있게 가는 오늘이란다. 모두 즐거울 오늘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솔직 2023.1.2.달.



“감추지 않음”이나 “거짓이 없음”을 가리킨다는 한자말 ‘솔직’이라지? 그래, 이 낱말은 나쁘지 않아. 다만, 생각해 볼까? 너희는 왜 “감추지 마”나 “거짓이 없이”라 말하지 않고, 굳이 ‘뜻을 한 꺼풀 씌우는’ 한자말 ‘솔직’을 쓰니? 처음부터 한 꺼풀도 두 꺼풀도 안 씌우는 말로 ‘고스란히’ 하면 될 텐데? 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면 될 텐데? ‘꾸밈없이’ 하면 되고, “그야말로 있는 그대로” 하면 될 텐데? 알다시피(아직 모른다면 모르다시피) ‘솔직’은 나쁜 말이 아니야. 그러나 ‘솔직’이라는 말은 너희 삶자리에서 ‘꺼풀을 씌운’ 말 가운데 하나이지. 너한테 ‘솔직’이 익숙하더라도 ‘누구한테나’ 익숙할까? 너는 ‘솔직’이라는 말을 쓴다지만, 어린이가 쓸 만한 말이니? 너희는 왜 말에 자꾸 꺼풀을 씌울까? 나라(정부), 마을(사회), 배움터(학교)는 왜 ‘쉽고 부드러우면서 누구나 마음을 넉넉히 그리는 말’이 아닌, ‘외워서 써야 하는, 한두 꺼풀씩 뒤집어씌우는’ 말을 붙잡을까? 꾸밈없이 겉속을 다 볼 수 있기를 바라. 꺼풀을 씌울수록 참을 가리지. 꺼풀을 내세울수록 마음을 쉽게 잊어. 그러니까 꺼풀이 없는 말은 마음을 환하게 펼치면서 둘레를 밝혀. 겉에 ‘두꺼운 방패나 갑옷’이 없는 홑몸인 ‘꾸밈없음’은 오히려 따뜻하고 가볍고 튼튼하지. 겉에 ‘두꺼운 방패나 갑옷’을 씌운 ‘꾸밈있음’은 으레 차갑고 무겁고 허술해. 보렴! 해바람비에 이슬에 풀꽃나무를 맨몸으로 그대로 머금으니 얼마나 아름답고 튼튼하니? 쇳더미로 꺼풀을 씌우니 얼마나 무겁고 차갑게 죽어가는 꼴이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꾸미려면 꿈이려면 2023.1.1.해.



꿈이려면 미움도 두려움도 걱정도 시샘도 멍울도 아픔도 없어. 꿈이 아닌, 꾸미려 하면, 미움도 두려움도 걱정도 시샘도 멍울도 아픔도 골고루 있어. 꿈이려면 오직 하나를 본단다. 꿈이 아닌, 꾸미려 하면, 여기도 기웃 저기도 기웃 오락가락 헤매다가 늘 쳇바퀴를 돌면서 어느 자리에 고이거나 멈춘 채 앞으로도 옆으로도 뒤로도 못 가. 꿈이려면 어디를 가든 둘레를 넉넉히 보고 누리면서 네 갈 길에 고르게 서지. 꿈이 아닌, 꾸미려 하면, 네 갈 길을 잊거나 놓친 채 둘레를 구경하느라 바빠서 그만 넋을 잃고는 길까지 잃지. 꿈이려면 마음 가득 즐겁게 생각씨앗을 심으니, 네가 스스로 하루를 짓고 언제나 넉넉하면서 홀가분히 걷는 몸짓이 춤사위로 빛나니 노래가 가득하단다. 꿈이 아닌, 꾸미려 하면, 한 발 내딛기도 벅차고 한 걸음 뗄 적마다 무겁고, 온하루가 가시밭길이나 자갈길이라 여기면서 고단하니 지치지. 네가 무엇을 하든 힘들거나 아프거나 지치면 ‘꿈’이 아닌 ‘수렁·굴레·벼랑·쳇바퀴’라는 뜻이야. 얼른 이 수렁·굴레·벼랑·쳇바퀴를 너 스스로 내려놓으렴. 네가 언제나 하루를 꿈길로 여기고 가꾸면서 걸어갈 적에는 새롭게 노래가 흐르면서 웃을 테지. 오늘 보내는 하루에 이야기꽃이 가득하니? 오늘 맞이한 하루가 반가워서 웃음이 터져나오니? 심심하거나 따분해서 뭔가 다르다 싶은 것을 찾니? 네 마음을 보렴. 거울이 아닌 네 숨결마다 감도는 네 마음을 스스로 보아야 꿈씨가 자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